엑셀 16진수, 8진수, 2진수를 10진수로 변환? HEX2DEC, OCT2DEC, BIN2DEC 함수 완전 정복 가이드

 

안녕하세요! 엑셀의 모든 것을 알려드리는 블로거입니다. 😊

혹시 컴퓨터 과학이나 프로그래밍 관련 데이터를 다루면서 '0x1A', '77', '10110' 같은 알 수 없는 숫자들 때문에 골치 아팠던 경험, 다들 한 번쯤 있으시죠? 전산팀에서 받은 재고 코드나 IP 주소 목록이 온통 암호처럼 보여서 당황스러웠던 순간, 저도 있었습니다.

 

이런 숫자들은 사실 컴퓨터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인 16진수, 8진수, 2진수인데요, 엑셀만 있다면 우리가 사용하는 10진수로 아주 간단하게 변환할 수 있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바로 이 암호 같은 숫자들을 명쾌하게 풀어줄 HEX2DEC, OCT2DEC, BIN2DEC 함수 사용법을 완벽하게 마스터해 보겠습니다!

 

📌 [핵심] 16진수, 8진수, 2진수를 10진수로 변환하는 가장 빠른 방법, 지금 바로 알려드릴게요!

 


⚙️ 1. 16진수를 10진수로! HEX2DEC 함수

가장 먼저 만나볼 함수는 16진수를 10진수로 바꿔주는 HEX2DEC 함수입니다. 16진수는 0부터 9, 그리고 A부터 F까지의 문자를 사용해서 숫자를 표현하는 방식인데요, 웹사이트 색상 코드(#FFFFFF)나 컴퓨터 메모리 주소 등에서 자주 볼 수 있죠.

 

(1) HEX2DEC 함수 기본 설명

기능: 16진수(Hexadecimal)를 10진수(Decimal)로 변환합니다.

구문:

=HEX2DEC(number)

인수:

-number (필수): 10진수로 변환하려는 16진수입니다. 텍스트 형식으로 입력해야 하며, 최대 10자(40비트)까지 입력할 수 있어요.

⚠️ 노트!

number 인수는 반드시 따옴표(" ")로 묶어주거나, 16진수 값이 입력된 셀을 참조해야 합니다. 숫자로만 구성된 16진수라도 텍스트로 인식시켜야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요.

 

(2) HEX2DEC 함수 사용 예제

1️⃣ 16진수 제품 코드를 10진수 관리 번호로 변환하기

회사에서 사용하는 제품 코드가 16진수로 되어 있을 때, 이를 익숙한 10진수 관리 번호로 바꾸는 간단한 예제입니다.

제품 코드,10진수 변환
A1,
FF,
100,
3E8,
1A,
2B,
C,
FFF,

수식:

=HEX2DEC(A2)

예제1. 엑셀 HEX2DEC 함수로 16진수를 10진수로 변환

 

2️⃣ 오류 처리(IFERROR)를 중첩한 16진수 변환

데이터 중간에 16진수가 아닌 값이 섞여 있을 경우, #NUM! 오류가 발생하는데요. IFERROR 함수를 함께 사용하면 오류 대신 "입력 오류"와 같은 특정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장비 ID,10진수 ID
3F,
G1,
7B,
55,
ZZ,
10A,
FFF,
ABC,

수식:

=IFERROR(HEX2DEC(A2), "입력 오류")

예제2. 엑셀 HEX2DEC 함수로 16진수를 10진수 변환+오류 대체 텍스트

 

3️⃣ 16진수 색상 코드를 10진수 RGB 값으로 분리 변환하기

웹 디자인이나 보고서 작성 시 사용하는 16진수 색상 코드(#RRGGBB)를 10진수 RGB 값으로 각각 분리하는 실무 예제입니다. MID, RIGHT 함수와 함께 사용해 보세요.

색상 코드,R (10진수),G (10진수),B (10진수)
#FF5733,
#33FF57,
#5733FF,
#FFC300,
#900C3F,
#C70039,
#FFFFFF,
#000000,

수식:

' R 값 변환 (B2셀)
=HEX2DEC(MID(A2, 2, 2))

' G 값 변환 (C2셀)
=HEX2DEC(MID(A2, 4, 2))

' B 값 변환 (D2셀)
=HEX2DEC(RIGHT(A2, 2))

예제3. 엑셀 HEX2DEC 함수와 MID 함수 조합 RGB 분리후 10진 변환

 

(3) HEX2DEC 함수 오류

  • #NUM!: number 인수가 유효한 16진수가 아니거나(G, H 등 포함), 10자를 초과할 때 발생합니다.

 


⚙️ 2. 8진수를 10진수로! OCT2DEC 함수

다음은 8진수를 10진수로 변환하는 OCT2DEC 함수입니다. 8진수는 0부터 7까지의 숫자를 사용하며, 주로 파일 권한 설정 등 일부 시스템에서 사용됩니다.

 

(1) OCT2DEC 함수 기본 설명

기능: 8진수(Octal)를 10진수(Decimal)로 변환합니다.

구문:

=OCT2DEC(number)

인수:

-number (필수): 10진수로 변환하려는 8진수입니다. 최대 10자까지 입력 가능해요.

⚠️ 노트!

8진수는 0~7 사이의 숫자로만 구성되어야 합니다. 8이나 9가 포함되면 오류가 발생하니 주의하세요!

 

(2) OCT2DEC 함수 사용 예제

1️⃣ 8진수 파일 권한 코드를 10진수로 확인하기

리눅스 서버 등에서 사용하는 8진수 파일 권한 코드를 우리가 이해하기 쉬운 10진수로 변환하는 예제입니다.

파일 권한(8진수),10진수 변환
755,
644,
777,
400,
600,
700,
1755,
2775,

수식:

=OCT2DEC(A2)

예제4. 엑셀 OCT2DEC 함수 8진수를 10진수로 변환하기

 

(3) OCT2DEC 함수 오류

  • #NUM!: number 인수가 유효한 8진수가 아니거나(8, 9 포함), 10자를 초과할 때 발생합니다.

 


⚙️ 3. 2진수를 10진수로! BIN2DEC 함수

마지막으로 2진수를 10진수로 변환하는 BIN2DEC 함수입니다. 0과 1로만 이루어진 2진수는 컴퓨터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죠. IP 주소 계산이나 네트워크 설정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1) BIN2DEC 함수 기본 설명

기능: 2진수(Binary)를 10진수(Decimal)로 변환합니다.

구문:

=BIN2DEC(number)

인수:

  • number (필수): 10진수로 변환하려는 2진수입니다. 최대 10자(10비트)까지 입력 가능해요.

⚠️ 노트!

맨 앞 비트는 부호 비트로 사용됩니다. 10번째 비트가 1이면 음수로 인식해요! 10자리의 2진수는 -512에서 511 사이의 10진수로 변환됩니다.

 

(2) BIN2DEC 함수 사용 예제

1️⃣ 2진수 IP 주소 일부를 10진수로 변환하기

IP 주소의 각 자리는 원래 8자리의 2진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를 우리가 흔히 보는 10진수 형태로 변환하는 예제입니다.

IP 주소(2진수),10진수 변환
11000000,
10101000,
00000001,
00000001,
11111111,
11110000,
11001000,
00001010,

수식:

=BIN2DEC(A2)

예제5. 엑셀 BIN2DEC 함수 이진수를 10진수로 변환하기

 

(3) BIN2DEC 함수 오류

  • #NUM!: number 인수가 0과 1 이외의 숫자를 포함하거나, 10자를 초과할 때 발생합니다.

 


💡 함께 알아두면 좋은 관련 함수들

반대로 10진수를 다른 진수로 변환하는 함수들도 있답니다!

  • DEC2HEX : 10진수를 16진수로 변환
  • DEC2OCT : 10진수를 8진수로 변환
  • DEC2BIN : 10진수를 2진수로 변환
  • BASE : 10진수를 각각의 다른 진법으로 변환
  • DECIMAL : 각 진수의 값들을 10진수로 변환, 게시물의 세 함수를 한방해 대신할 함수
  • (BIN 또는 OCT 또는 HEX)2(BIN 또는 OCT 또는 HEX) : 각 진법을 의미하는 문자들 사이에 2 를 끼워우면 2 뒤의 진법으로 변환하는 엑셀 함수 시리즈

 

📚 핵심 요약 및 마무리

오늘 우리는 낯설게만 느껴졌던 16진수, 8진수, 2진수를 우리가 사용하는 10진수로 손쉽게 변환하는 세 가지 함수에 대해 배웠습니다.

  • HEX2DEC: 16진수 👉 10진수 (ex: 웹 색상 코드, MAC 주소)
  • OCT2DEC: 8진수 👉 10진수 (ex: 파일 권한)
  • BIN2DEC: 2진수 👉 10진수 (ex: IP 주소, 시스템 On/Off 신호)

이 함수들만 잘 기억해두시면, 앞으로 전산 데이터나 컴퓨터 관련 자료를 다룰 때 훨씬 수월하게 업무를 처리할 수 있을 거예요!

 

오늘 배운 내용이 유용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려요! 여러분의 작은 응원이 제게는 큰 힘이 된답니다. ❤️ 다음에도 더 유익하고 알찬 엑셀 꿀팁으로 돌아오겠습니다!

 


📱 모바일에서 빠르게 보는 핵심 정리

1. HEX2DEC (16진수 → 10진수)

  • 언제 써요?: 웹 색상 코드(#FFC300), MAC 주소 등을 10진수로 바꿀 때
  • 사용법: =HEX2DEC("FF") → 255

2. OCT2DEC (8진수 → 10진수)

  • 언제 써요?: 파일 권한 코드(755) 등을 10진수로 바꿀 때
  • 사용법: =OCT2DEC(755) → 493

3. BIN2DEC (2진수 → 10진수)

  • 언제 써요?: IP 주소(11000000), 시스템 신호 등을 10진수로 바꿀 때
  • 사용법: =BIN2DEC(11000000) → 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