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러분의 칼퇴를 도와드리는 엑셀 블로거입니다. 😊 오늘은 개발자나 IT 관련 업무를 하시는 분들이라면 특히 주목해야 할 아주 유용한 함수를 들고 왔어요. 바로 숫자의 진법을 자유자재로 변환해 주는 BASE 함수랍니다!
혹시 "10진수 255를 16진수로 바꾸면 뭐지?" 하면서 계산기를 두드리거나, IP 주소를 2진수로 변환하느라 골치 아팠던 경험 있으신가요? 이제 그런 걱정은 끝! BASE 함수 하나면 엑셀에서 클릭 몇 번으로 모든 게 해결된답니다. 이 글 하나로 BASE 함수의 기초부터 실무 활용 꿀팁까지 완벽하게 마스터하게 되실 거예요!
📌 [핵심] BASE 함수 하나로 복잡한 10진수 숫자를 원하는 진수(2진수, 16진수 등)의 텍스트로 간단하게 변환할 수 있어요!
🤔 엑셀 BASE 함수, 대체 뭔가요?
BASE 함수는 아주 간단 명료한 친구예요.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10진수 숫자를 지정된 진법(Radix)의 텍스트로 변환해 주는 역할을 하죠. 예를 들어 10진수 '10'을 2진수로 바꾸면 '1010'이 되는데, 이 과정을 자동으로 처리해 준답니다.
함수 구문 및 인수 살펴보기
BASE 함수의 기본 생김새는 이렇습니다.
=BASE(Number, Radix, [Min_length])
- Number (필수): 변환하려는 10진수 숫자예요. 0 이상의 정수만 입력할 수 있답니다.
- Radix (필수): 변환할 진법을 의미해요. 예를 들어 2진수로 바꾸고 싶으면 '2', 16진수로 바꾸고 싶으면 '16'을 입력하면 되죠. 2부터 36 사이의 정수를 사용할 수 있어요.
- Min_length (선택): 변환된 결과값의 최소 길이를 지정해요. 만약 결과가 지정한 길이보다 짧으면, 앞부분을 '0'으로 채워서 보여준답니다. 웹 컬러코드처럼 자릿수를 맞춰야 할 때 아주 유용해요!
💬 노트: BASE 함수가 반환하는 결과는 숫자가 아닌 '텍스트' 형식이라는 점, 꼭 기억해 주세요! 그래서 이 결과값으로 바로 사칙연산을 하려고 하면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답니다.
💻 엑셀 BASE 함수, 직접 사용해봐요! (예제 4종 세트)
백문이 불여일견! 직접 예제를 통해 BASE 함수가 얼마나 편리한지 알아볼까요?
예제 1. 기본 사용법 : 10진수를 2진수로 변환하기
컴퓨터의 기본 언어인 2진수! 10진수 숫자들이 2진수로는 어떻게 표현되는지 간단하게 변환해 볼게요.
[데이터]
10진수
0
1
2
7
8
10
15
16
[수식 및 결과]
=BASE(A2, 2)

A2 셀의 10진수 값을 2진수(Radix = 2)로 변환하라는 아주 간단한 수식이죠? 정말 쉽죠?
예제 2. 중급 활용 : 최소 자릿수 지정으로 깔끔하게!
웹디자인이나 파워포인트 작업을 할 때 사용하는 RGB 컬러코드는 보통 16진수로 표현돼요. 이때 각 색상값(0~255)을 두 자리 16진수로 표현해야 하는데요, Min_length 인수가 빛을 발하는 순간입니다! 🌞
[데이터]
RGB 값,설명
255,Red
10,Green
128,Blue
0,Black
240,Light Gray
15,Dark Red Component
[수식 및 결과]
=BASE(A2, 16, 2)

Min_length 를 '2' 로 지정했더니, 'A' 나 'F' 처럼 한 자리로 변환될 수 있는 값들도 앞에 '0' 이 붙어서 '0A', '0F'처럼 두 자리로 깔끔하게 정리된 것 보이시나요?
예제 3. IP 주소를 2진수로 변환하여 이해하기
네트워크 공부하시는 분들이라면 IP 주소를 2진수로 변환해서 서브넷 마스크를 계산하는 경우가 많죠? 각 자리(Octet)를 8자리 2진수로 변환해 봅시다.
[데이터]
Octet1,Octet2,Octet3,Octet4
192,168,1,1
10,0,0,1
255,255,255,0
[수식 및 결과]
=BASE(A2, 2, 8)

이렇게 각 자리 숫자를 8자리 2진수로 변환하면 네트워크 구조를 한눈에 파악하기 훨씬 쉬워진답니다!
예제 4. 실무 활용 : 짧고 유니크한 상품/관리 번호 생성하기
숫자로만 된 긴 상품 코드는 외우기도, 사용하기도 불편하죠. 숫자(0-9)와 알파벳(A-Z)을 모두 사용하는 36진수를 활용하면 훨씬 짧고 유니크한 코드를 만들 수 있어요.
[데이터]
순번,상품명
1000,노트북 A
1001,모니터 B
12345,키보드 C
54321,마우스 D
99999,웹캠 E
[수식 및 결과]
="PROD-" & BASE(A2, 36, 4)

순번을 4자리 36진수로 변환해서 "PROD-"라는 접두어와 합쳤어요. 훨씬 세련되고 관리하기 편한 코드가 완성되었죠?
🌞 노트. 10진수 순번 99999 를 36진수로 변환하는 내부과정
ㄱ. 99999 ÷ 36 = 몫 2777, 나머지 27 (36진수에서 R)
ㄴ. 2777 ÷ 36 = 몫 77, 나머지 5 (36진수에서 5)
ㄷ. 77 ÷ 36 = 몫 2, 나머지 5 (36진수에서 5)
ㄹ. 2 ÷ 36 = 몫 0, 나머지 2 (36진수에서 2)
-결과를 역순으로 조합하면 255R 이 됩니다.
-최종 결과: PROD-255R
🚨 이런 오류, 당황하지 마세요! (오류 해결 가이드)
- #NUM! 오류: 이 오류가 뜬다면 인수를 잘못 입력했을 가능성이 높아요.
- Number가 0보다 작거나, Radix가 2~36 범위를 벗어났거나, Min_length가 0보다 작은 음수일 경우 발생해요. 각 인수의 조건을 다시 한번 확인해 보세요!
- #VALUE! 오류:
- 숫자가 들어가야 할 자리에 텍스트를 입력하는 등, 인수의 데이터 형식이 잘못되었을 때 발생합니다.
🚀 함께 쓰면 시너지 폭발! 관련 함수 알아보기
- DECIMAL 함수: BASE 함수의 완벽한 파트너! BASE 함수와는 반대로, 특정 진법의 텍스트를 10진수 숫자로 다시 변환해 주는 함수예요. (=DECIMAL(Text, Radix))
- DEC2BIN / DEC2HEX / DEC2OCT 함수: 각각 10진수를 2진수(Binary), 16진수(Hexadecimal), 8진수(Octal)로 변환하는 전용 함수들이에요. 특정 진수 변환만 필요하다면 이 함수들을 사용하는 게 더 빠를 수도 있지만, 다양한 진법 변환이 필요하다면 만능 키인 BASE 함수 하나만 기억하셔도 충분하답니다!
🎉 마무리하며
오늘 배운 BASE 함수, 어떠셨나요? 처음엔 낯설게 느껴질 수 있지만, 알고 보면 정말 강력하고 활용도 높은 함수랍니다. 특히 컴퓨터 데이터나 코드를 다루는 분들에게는 선택이 아닌 필수 함수라고 할 수 있죠.
오늘 배운 내용을 그냥 눈으로만 보지 마시고, 꼭 엑셀을 열어서 직접 예제를 따라 해보세요. 직접 해보는 것만큼 좋은 공부는 없으니까요! 궁금한 점이나 더 좋은 활용 아이디어가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시구요.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공유 부탁드려요! ❤️ 여러분의 응원이 제게는 큰 힘이 된답니다!
작성자: 마늘빵
[모바일용] 엑셀 BASE 함수 1분 요약 📱
바쁘신 분들을 위해 핵심만 빠르게 정리했어요!
1. BASE 함수란?
- 10진수 👉 다른 진법(2~36진수) 텍스트로 변환하는 함수
2. 함수 공식
- =BASE(숫자, 진법, [최소길이])
- =BASE(10, 2) => 10을 2진수로 => "1010"
- =BASE(15, 16, 2) => 15를 16진수(최소 2자리)로 => "0F"
3. 언제 쓸까?
- 💻 2진수 변환: IP 주소, 컴퓨터 데이터 분석
- 🎨 16진수 변환: 웹 컬러코드(RGB) 생성
- 🆔 36진수 변환: 짧고 유니크한 상품/관리 코드 제작
4. 핵심 주의사항!
- 결과값은 숫자가 아닌 텍스트! 바로 계산 안돼요!
- 짝꿍 함수: DECIMAL (다른 진법 -> 10진수로 변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