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10진수 변환 마스터하기: DEC2HEX, DEC2OCT, DEC2BIN 함수 완전 정복 (ft. 실무 예제)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칼퇴를 돕는 엑셀 블로거입니다. 😊

혹시 컴퓨터 IP 주소나 웹 색상 코드 같은 알쏭달쏭한 숫자들 때문에 골치 아팠던 적 없으신가요? 개발자나 IT 부서와 협업할 때 16진수, 2진수 이야기가 나오면 살짝 작아지곤 했죠. 오늘은 이런 숫자 변환 스트레스를 한 방에 날려버릴 아주 유용한 엑셀 함수 삼총사를 소개해 드릴게요!

 

📌 [핵심] 엑셀 진수 변환 함수 삼총사는 10진수를 16진수, 8진수, 2진수로 손쉽게 변환할 수 있어요!

 


🤔 왜 진수 변환이 필요한가요?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숫자는 0부터 9까지, 총 10개의 숫자로 모든 수를 표현하는 10진수예요. 하지만 컴퓨터는 0과 1로만 소통하는 2진수를 기본으로 사용하죠. 그리고 이 2진수를 더 효율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8진수16진수를 사용하기도 한답니다.

  • 16진수(Hexadecimal): 웹 색상 코드(#FFFFFF), MAC 주소 등에 사용
  • 8진수(Octal): 프로그래밍, 파일 권한 설정 등에 사용
  • 2진수(Binary): 컴퓨터의 가장 기본적인 데이터 표현, IP 주소 분석 등에 사용

이처럼 특정 업무에서는 진수 변환이 필수적인데, 이걸 일일이 계산하기란 너무 번거롭죠? 이럴 때 DEC2HEX, DEC2OCT, DEC2BIN 함수가 우리의 구세주가 되어준답니다!

 


💻 1. 10진수를 16진수로! DEC2HEX 함수

가장 먼저 배워볼 함수는 10진수를 16진수로 바꿔주는 DEC2HEX 함수입니다. 웹디자인이나 IT 자산 관리를 할 때 특히 유용해요.

 

함수 기본 설명

DEC2HEX 함수는 10진수(Decimal)를 16진수(Hexadecimal) 텍스트로 변환해 줍니다.

함수 구문

=DEC2HEX(number, [places])

인수 설명

  • number (필수): 변환하려는 10진수 정수입니다.
  • [places] (선택): 반환할 텍스트의 자릿수를 지정합니다. 생략하면 필요한 최소 자릿수로 표시되고, 지정된 자릿수보다 부족하면 앞에 0을 채워서 표시해 줘요.

📌 주의할 점!

  • number 인수는 -549,755,813,888에서 549,755,813,887 사이의 값이어야 해요.
  • [places] 가 숫자가 아니면 #VALUE! 오류가 발생합니다.

 

사용 예제

[기본 및 실무 활용] 웹 색상(RGB) 코드 변환하기

 

웹디자인 부서에서 요청한 색상 목록을 16진수 코드로 변환해야 하는 상황을 가정해 볼게요. RGB 값은 각각 0~255 사이의 10진수인데, 이걸 16진수로 바꿔줘야 하죠.

 

[데이터]

색상명,R (10진수),G (10진수),B (10진수)
레드,255,0,0
그린,0,128,0
블루,0,0,255
화이트,255,255,255
블랙,0,0,0
그레이,128,128,128
옐로우,255,255,0
마젠타,255,0,255

 

[수식 및 결과]

 

R(16진수) 변환 (E2셀):

=DEC2HEX(B2, 2)

G(16진수) 변환 (F2셀):

=DEC2HEX(C2, 2)

B(16진수) 변환 (G2셀):

=DEC2HEX(D2, 2)

예제1. 엑셀 DEC2HEX 함수로 10진수를 16진수로 변환하기

 

최종 HEX 코드 (H2셀):

=CONCATENATE("#", E2, F2, G2)

 

결과를 보면 10진수 RGB 값이 2자리 16진수로 깔끔하게 변환되고, CONCATENATE 함수로 합쳐져 우리가 흔히 보는 #RRGGBB 형태의 색상 코드가 완성된 것을 볼 수 있어요. 정말 간편하죠?

 


🖥️ 2. 10진수를 8진수로! DEC2OCT 함수

다음은 10진수를 8진수로 변환하는 DEC2OCT 함수입니다. 서버 관리나 프로그래밍 분야에서 가끔씩 필요하죠.

 

함수 기본 설명

DEC2OCT 함수는 10진수(Decimal)를 8진수(Octal) 텍스트로 변환합니다.

함수 구문

=DEC2OCT(number, [places])

인수 설명

  • number (필수): 변환할 10진수 정수입니다.
  • [places] (선택): 반환할 텍스트의 자릿수를 지정합니다.

📌 주의할 점!

  • number 인수는 -536,870,912에서 536,870,911 사이의 값이어야 해요.

 

사용 예제

[실무 활용] 서버 파일 권한 코드 변환하기

 

리눅스 서버의 파일 권한은 3자리의 8진수 숫자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예: 755, 644). 10진수로 표현된 권한 값을 8진수로 변환해야 할 때 유용하게 쓸 수 있어요.

 

[데이터]

파일/폴더,권한코드(10진수)
index.html,420
config.php,436
/uploads,509
user_manual.pdf,420
script.js,493
style.css,420
/images,509

 

[수식 및 결과]

 

8진수 권한 코드 (C2셀):

=DEC2OCT(B2, 3)

예제2. 엑셀 DEC2OCT 함수로 10진수를 8진수로 변환하기

 

결과를 보면 10진수 권한 코드가 우리가 흔히 보는 3자리 8진수 코드(644, 664, 755 등)로 보기 쉽게 변환되었어요. 이제 어떤 권한인지 한눈에 파악하기 쉬워졌네요!

 


⌨️ 3. 10진수를 2진수로! DEC2BIN 함수

마지막 주자는 10진수를 2진수로 변환하는 DEC2BIN 함수입니다. 네트워크 관리나 컴퓨터 과학의 기본을 다룰 때 필수적인 함수죠.

 

함수 기본 설명

DEC2BIN 함수는 10진수(Decimal)를 2진수(Binary) 텍스트로 변환합니다.

함수 구문

=DEC2BIN(number, [places])

인수 설명

  • number (필수): 변환할 10진수 정수입니다.
  • [places] (선택): 반환할 텍스트의 자릿수를 지정합니다.

📌 주의할 점!

  • number 인수는 -512에서 511 사이의 값이어야 해요. 변환할 수 있는 숫자 범위가 다른 함수들에 비해 작으니 꼭 기억해 주세요!

 

사용 예제

[실무 활용] IP 주소 분석하기

 

IP 주소는 4개의 10진수(옥텟, Octet)로 이루어져 있지만, 실제 컴퓨터는 이를 8자리 2진수로 인식합니다. 네트워크 문제를 분석할 때 각 옥텟을 2진수로 변환하여 확인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데이터]

구분,옥텟1,옥텟2,옥텟3,옥텟4
내 PC,192,168,27,10
게이트웨이,192,168,0,1
DNS 서버,8,8,8,8

 

[수식 및 결과]

 

옥텟1의 2진수 변환 (F2셀):

=DEC2BIN(B2, 8)

나머지 옥텟들도 동일하게 적용하여 2진수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F2 셀을 오른쪽으로 쭉 끌어주면 되겠죠?

예제3. 엑셀 DEC2BIN 함수로 10진수를 2진수로 변환

 

결과를 보면 10진수 IP 주소의 각 자리가 8자리의 2진수로 깔끔하게 변환되었어요. 이제 서브넷 마스크 계산이나 네트워크 대역을 확인할 때 훨씬 수월하겠죠?

 


🚨 자주 발생하는 오류 정리

오류 원인 해결 방법
#NUM! number 인수가 각 함수의 유효한 숫자 범위를 벗어난 경우 발생합니다. DEC2BIN은 -512~511, DEC2HEX는 약 ±5490억 등 각 함수의 입력 값 범위를 확인하세요.
#VALUE! [places] 인수가 숫자가 아닌 텍스트일 경우 발생합니다. 입력값이 숫자인지 확인하고, 숫자처럼 보이는 텍스트라면 VALUE 함수로 변환 후 사용하세요.

 


🔗 함께 쓰면 좋은 관련 함수들

오늘 배운 함수들은 10진수를 다른 진수로 바꾸는 것들이었죠? 반대로 다른 진수를 10진수로 바꿀 수도 있답니다!

  • HEX2DEC: 16진수를 10진수로 변환
  • OCT2DEC: 8진수를 10진수로 변환
  • BIN2DEC: 2진수를 10진수로 변환
  • BASE: 10진수를 원하는 기수로 변환, 위의 삼총사 함수를 한번에 해결할 수 있는 함수
  • DECIMAL: 지정한 기수의 수치를 10진수로 변환

이 함수들도 함께 알아두면 진수 변환 작업이 훨씬 자유로워질 거예요!

 


💙 마무리하며

오늘은 엑셀을 이용해 10진수를 16진수, 8진수, 2진수로 변환하는 DEC2HEX, DEC2OCT, DEC2BIN 함수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처음엔 낯설게 느껴질 수 있지만, IT 관련 업무나 데이터 분석 시 매우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답니다. 복잡한 계산은 이제 엑셀에 맡기시고, 우리는 더 중요한 업무에 집중하자고요! 😉

 

오늘 배운 내용, 어떠셨나요? 실무에 바로 적용해 보시고, 궁금한 점이나 더 좋은 활용 팁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로 공유해주세요! 여러분의 공감과 공유는 제게 큰 힘이 됩니다. 그럼 다음에도 유용한 엑셀 꿀팁으로 돌아올게요!

 

 

작성자: 마늘빵


📱 모바일에서 빠르게 보는 핵심 요약

DEC2HEX: 10진수 → 16진수

  • 구문: =DEC2HEX(숫자, [자릿수])
  • 용도: 웹 색상 코드(#RRGGBB) 변환, MAC 주소 표기 등
  • 팁: 자릿수 인수를 '2'로 지정하면 #FF 처럼 2자리로 깔끔하게!

DEC2OCT: 10진수 → 8진수

  • 구문: =DEC2OCT(숫자, [자릿수])
  • 용도: 서버 파일 권한(예: 755) 변환 등
  • 팁: 권한 코드는 보통 3자리이므로 자릿수를 '3'으로 지정하면 보기 편해요.

DEC2BIN: 10진수 → 2진수

  • 구문: =DEC2BIN(숫자, [자릿수])
  • 용도: IP 주소 분석, 컴퓨터 데이터 구조 이해 등
  • 팁: IP 주소 옥텟은 8비트이므로 자릿수를 '8'로 지정하면 분석에 용이해요.
  • 주의! 변환 범위가 -512 ~ 511로 다른 함수보다 좁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