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DSUM 함수 사용법, 이제 다중 조건 합계는 이걸로 끝내세요! (실무 예제 포함)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엑셀 업무 효율을 책임지는 블로거, 엑셀러레이터입니다. 😊

엑셀로 데이터 합계를 낼 때 주로 어떤 함수를 쓰시나요? 아마 많은 분들이 SUM 이나 SUMIFS 함수를 떠올리실 거예요. 하지만 조건이 여러 개가 되거나, ANDOR 조건이 섞이는 등 복잡해지기 시작하면 SUMIFS 함수만으로는 한계에 부딪히곤 하죠. 이럴 때 데이터 목록 전체를 하나의 작은 데이터베이스처럼 다룰 수 있는 아주 강력한 함수가 있답니다.

 

📌 [핵심] DSUM 함수는 표 전체를 데이터베이스처럼 활용하여 여러 개의 복잡한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값의 합계를 구하는 강력한 함수입니다.

 

오늘은 저와 함께 데이터베이스 함수의 꽃, DSUM 함수에 대해 쉽고 재미있게 배워보도록 할게요! 이 글 하나로 여러분의 조건부 합계 실력은 한 단계 업그레이드될 거예요. 💥

 

🤔 엑셀 DSUM 함수, 대체 뭔가요?

DSUM 함수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Database SUM의 줄임말이에요. 지정한 데이터베이스(표 범위)에서, 주어진 조건(Criteria)과 일치하는 레코드(행)의 특정 필드(열)의 합계를 구하는 함수랍니다.

 

SUMIFS 함수가 각 조건 범위를 따로따로 지정해야 했던 것과 달리, DSUM 함수는 조건 자체를 표 형태로 만들어 사용하기 때문에 훨씬 직관적이고 복잡한 조건도 쉽게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 DSUM 함수 구문 완전 정복

DSUM 함수의 기본 구조는 아래와 같아요. 생각보다 간단하죠?

=DSUM(database, field, criteria)
  • database: 데이터베이스로 사용할 셀 범위입니다. 반드시 열 제목(머리글)을 포함해야 해요. 우리가 다룰 데이터 표 전체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 field: 합계를 계산할 열의 제목(예: "매출액") 또는 열 번호(예: 3)를 지정합니다.
  • criteria: 조건을 지정한 셀 범위입니다. database의 열 제목과 동일한 제목을 반드시 포함해야 하며, 그 아래에 조건을 입력합니다.

⚠️ 여기서 잠깐! DSUM 함수 사용 시 가장 중요한 주의사항!

criteria 범위에 사용하는 열 제목은 database 범위의 열 제목과 반드시! 글자 하나 틀리지 않고 똑같아야 해요. 띄어쓰기 하나만 달라도 함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니 꼭 기억해 주세요!

 


🚀 예제로 배우는 DSUM 함수 활용법

백문이 불여일견이죠! 직접 예제를 통해 DSUM 함수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볼게요.

 

📊 예제 데이터 (공통)

아래는 한 회사의 분기별 부서별 판매 실적 데이터예요. 모든 예제는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행됩니다.

"지점","부서","담당자","상품분류","매출액","판매수량"
"서울","영업1팀","김민준","가전",3500000,5
"부산","영업2팀","이서연","가구",2800000,8
"서울","마케팅팀","박하은","가전",1200000,3
"서울","영업1팀","정우진","생활용품",800000,12
"대구","영업3팀","최유나","가전",4200000,6
"부산","영업2팀","강지훈","생활용품",1500000,15
"서울","마케팅팀","윤채원","가구",2100000,7
"대구","영업3팀","임도현","가구",3300000,9

1️⃣ 기본 예제: AND 조건으로 합계 구하기

가장 기본적인 사용법이에요. 여러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데이터의 합계를 구해볼게요.

 

문제: 서울 지점영업1팀 매출액 합계는 얼마일까요?

  1. 조건(Criteria) 범위 설정

엑셀 시트의 빈 공간에 아래와 같이 조건을 작성합니다. 원본 데이터의 머리글 '지점', '부서'를 그대로 복사해서 사용하세요.

"지점","부서"
"서울","영업1팀"
  1. DSUM 함수 수식 작성

이제 DSUM 함수를 사용해 합계를 구해봅시다.

(데이터 범위가 A1:F9 이고, 조건 범위가 A12:B13 라고 가정할게요)

=DSUM(A1:F9, "매출액", A12:B13)

예제1. 엑셀 DSUM 함수로 조건에 맞는 합계 계산하기 기본

 

결과: 4,300,000 (3,500,000 + 800,000)

이렇게 같은 행에 조건을 나란히 쓰면 '지점이 서울이면서 부서가 영업1팀인' AND 조건으로 작동해요.

 

2️⃣ 중급 예제: OR 조건으로 합계 구하기

이번엔 둘 중 '하나라도' 만족하는 데이터의 합계를 구해볼게요. SUMIFS로는 구현하기 까다로운 부분이죠!

 

문제: 부서가 '마케팅팀' 이거나 상품분류가 '가구' 인 데이터의 매출액 합계는 얼마일까요?

  1. 조건(Criteria) 범위 설정

OR 조건은 조건을 서로 다른 행에 입력하는 것이 핵심이에요!

"부서","상품분류"
"마케팅팀",
,"가구"
  1. DSUM 함수 수식 작성

(데이터 범위: A1:F9, 조건 범위: A16:B18)

=DSUM(A1:F9, "매출액", A16:B18)

예제2. 엑셀 DSUM 함수 논리합 다중조건 처리 합계 계산

 

결과: 9,400,000 (마케팅팀 매출액 1,200,000 + 2,100,000 과 가구 매출액 2,800,000 + 2,100,000 + 3,300,000의 합계. 중복되는 마케팅팀의 가구 매출액 2,100,000은 한 번만 더해집니다.)

 

3️⃣ 고급 예제: 복합 조건 및 비교 연산자 활용하기

AND, OR 조건뿐만 아니라 '초과', '이상' 같은 비교 연산자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요.

 

문제: 서울 지점매출액이 2,000,000원을 초과하거나, 판매수량이 10개 이상인 모든 데이터의 매출액 합계는?

  1. 조건(Criteria) 범위 설정

복잡해 보이지만 원리는 같아요. AND 조건은 같은 행, OR 조건은 다른 행에 배치하면 됩니다.

"지점","매출액","판매수량"
"서울",">2000000",
,,">=10"
  1. DSUM 함수 수식 작성

(데이터 범위: A1:F9, 조건 범위: A21:C23)

=DSUM(A1:F9, 5, A21:C23)

이번엔 field 인수를 "매출액" 대신 5번째 열이라는 의미로 숫자 5를 사용해봤어요! 이렇게도 계산할 필드를 지정할 수 있어요.

예제3. 엑셀 DSUM 함수로 AND 조건과 OR 조건 함께 처리하기

 

결과: 7,900,000 ('서울 지점이면서 매출액 200만 초과' 인 3,500,000 과 2,100,000 + '판매수량 10개 이상' 인 800,000과 1,500,000의 합계)

 

4️⃣ 실무 활용: 특정 기간 데이터 합계 구하기

실무에서는 날짜 조건을 정말 많이 쓰죠. DSUM은 날짜 조건에도 아주 유용해요. (위 예제 데이터에는 날짜가 없으므로, 아래와 같이 날짜가 포함된 데이터가 있다고 가정해볼게요.)

 

데이터 예시

"판매일","상품명","매출액"
"2025-08-01","상품A",50000
"2025-08-15","상품B",70000
"2025-09-05","상품C",60000
...

 

문제: 2025년 8월 1일부터 2025년 8월 31일까지의 매출액 합계 구하기

  1. 조건(Criteria) 범위 설정

날짜 비교 연산자를 활용하여 시작일과 종료일 조건을 모두 만족하도록 AND 조건으로 설정합니다.

"판매일","판매일"
">=2025-08-01","<=2025-08-31"
  1. DSUM 함수 수식 작성

(데이터 범위: A1:C4, 조건 범위: A7:B8)

=DSUM(A1:C4, 3, A7:B8)

예제4. 엑셀 DSUM 함수로 날짜를 조건비교하여 합계 계산

 

위 수식은 해당 기간(판매일과 판매일 사이)의 매출액 합계를 손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실무에서 정말 유용하겠죠?

 


⚠️ 이런 오류, 당황하지 마세요!

  • #VALUE! : 가장 흔한 오류예요. criteria의 제목이 database의 제목과 일치하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오타나 띄어쓰기를 꼭 확인하세요!
  • 0 : 합계가 0으로 나온다면, 조건에 맞는 데이터가 정말 하나도 없거나, 조건에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조건을 다시 한번 꼼꼼히 살펴보세요.

 


💡 함께 쓰면 좋은 D-Family 함수들

DSUM을 배우셨다면 다른 데이터베이스 함수들도 쉽게 사용하실 수 있어요. 사용법은 거의 똑같거든요!

  • DAVERAGE: 조건에 맞는 데이터의 평균을 구합니다.
  • DCOUNT: 조건에 맞는 데이터 중 숫자가 포함된 셀의 개수를 셉니다.
  • DCOUNTA: 조건에 맞는 데이터 중 비어있지 않은 셀의 개수를 셉니다.
  • DMAX: 조건에 맞는 데이터의 최댓값을 구합니다.
  • DMIN: 조건에 맞는 데이터의 최솟값을 구합니다.
  • DGET: 조건에 맞는 단 하나의 데이터를 가져옵니다. (결과가 2개 이상이면 오류 발생)

 


👋 마무리하며

오늘은 엑셀의 숨은 고수, DSUM 함수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처음에는 조건 범위를 따로 만들어야 해서 조금 낯설 수 있지만, 한번 익숙해지면 SUMIFS 보다 훨씬 유연하고 강력하게 데이터를 다룰 수 있게 될 거예요. 특히 보고서를 만들 때 다양한 조건으로 데이터를 요약해야 하는 경우, DSUM 함수는 여러분의 든든한 무기가 되어줄 겁니다.

 

오늘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여러분의 실무 데이터에 직접 적용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궁금한 점이나 더 알고 싶은 내용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세요! 여러분의 엑셀 실력 향상을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공유 부탁드려요! ❤️

 

 

작성자: 마늘빵


📱 모바일에서 빠르게 복습하기

엑셀 데이터베이스 함수 시리즈의 시작 DSUM

Q. DSUM 함수는 언제 사용하나요?

A. 여러 개의 AND, OR 조건이 섞인 복잡한 조건부 합계를 구하고 싶을 때 사용해요. SUMIFS 로 해결하기 어려울 때 아주 유용해요!

 

Q. DSUM 함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A. 조건 범위의 '열 제목'과 원본 데이터의 '열 제목'이 100% 똑같아야 한다는 점!

 

Q. AND 조건과 OR 조건은 어떻게 구분하나요?

A. AND 조건은 같은 행에, OR 조건은 다른 행에 조건을 입력하면 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