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최소공배수 쉽게 구하기! LCM 함수 사용법부터 실무 활용 팁까지 총정리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엑셀 업무 효율을 책임지는 엑셀 길잡이입니다. 😊

 

오늘은 숫자들의 관계 속에서 특정 규칙을 찾아야 할 때 정말 유용한 함수, 바로 엑셀 LCM 함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여러 개의 작업 주기가 겹치는 날을 찾거나, 반복되는 이벤트의 공통 시점을 계산해야 할 때 막막하셨던 경험, 다들 한 번쯤 있으시죠? 이제 LCM 함수 하나면 그런 고민은 끝이랍니다! 저와 함께라면 어렵게만 느껴졌던 함수도 쉽고 재미있게 마스터할 수 있을 거예요.

 

📌 [핵심] 엑셀 LCM 함수는 여러 숫자의 '최소공배수' 를 한 번에 찾아주는 편리한 기능이에요.

 


📊 엑셀 LCM 함수, 대체 뭔가요?

혹시 학창 시절에 배웠던 '최소공배수' 기억나시나요? LCM 함수는 바로 그 최소공배수(Least Common Multiple)를 엑셀에서 손쉽게 구해주는 함수랍니다. 최소공배수란, 주어진 숫자들의 공통된 배수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의미해요.

 

예를 들어, 3 과 4 의 최소공배수는 무엇일까요?

 

3 의 배수는 3, 6, 9, 12, 15...

4 의 배수는 4, 8, 12, 16...

 

공통된 배수 중 가장 작은 값은 바로 12이죠! LCM 함수는 이 계산을 순식간에 해준답니다.

 

✅ 함수 구문 및 인수

LCM 함수의 구조는 정말 간단해요.

=LCM(number1, [number2], ...)
  • number1 (필수): 최소공배수를 구하려는 첫 번째 숫자 또는 셀 범위입니다.
  • [number2], ... (선택): 최소공배수를 구하려는 추가 숫자 또는 셀 범위입니다. 최대 255개까지 지정할 수 있어요.

✍️ 노트

- 인수에는 숫자나, 숫자가 포함된 셀, 셀 범위를 넣을 수 있어요.
- 만약 인수가 정수가 아닌 소수라면, 소수점 이하는 버리고 정수 부분만 계산에 사용돼요.
- 인수 중에 숫자가 아닌 텍스트 값이 포함되면 #VALUE! 오류가 발생해요.
- 음수를 입력하면 #NUM! 오류가 발생하니 꼭 양수를 사용해주세요!

 


🚀 엑셀 LCM 함수, 직접 사용해보기!

백 마디 설명보다 한 번의 실습이 더 중요하죠? 다양한 예제를 통해 LCM 함수를 완벽하게 익혀봅시다!

 

예제 1: 기본 사용법 익히기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에요. 여러 숫자의 최소공배수를 직접 구해보겠습니다. 숫자 6, 8, 12의 최소공배수를 찾아볼까요?

 

수식

=LCM(6, 8, 12)

예제1. 엑셀 LCM 함수로 최소 공배수를 구하는 기본 수식

 

결과: 24

정말 간단하죠? 6의 배수, 8의 배수, 12의 배수 중 공통으로 나타나는 가장 작은 숫자가 24라는 것을 바로 알려주네요.

 

예제 2: 중급 활용 (마케팅 이벤트 동시 진행일 찾기)

A, B, C 세 가지 제품이 각각 다른 주기로 할인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가정해볼게요. 각 이벤트가 다시 동시에 시작되는 날이 언제인지 LCM 함수로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이벤트명,이벤트 주기(일)
A제품 할인,15
B제품 증정,20
C제품 쿠폰,25

 

수식

=LCM(B2:B4)

예제2. 엑셀 LCM 함수를 활용하여 공통 주기를 계산하는 방법

 

결과: 300

설명: A, B, C 이벤트가 오늘 동시에 시작했다면, 앞으로 300일 뒤에 세 이벤트가 다시 동시에 시작된다는 의미예요! 이렇게 각기 다른 주기를 가진 업무의 공통 시점을 찾을 때 정말 유용하답니다.

 

예제 3: 실무 활용 (기계 부품 동시 교체 주기 예측)

공장에서 여러 기계를 관리할 때, 각 기계의 부품 교체 주기가 모두 다르다면 관리가 복잡해지겠죠? 모든 기계의 핵심 부품을 동시에 점검하고 교체할 수 있는 주기를 파악하면 유지보수 계획을 효율적으로 세울 수 있습니다.

 

데이터

부품 ID,부품명,권장 교체 주기(일)
P-001,메인 필터,90
P-002,윤활유,120
P-003,컨베이어 벨트,180
P-004,냉각 팬,75
P-005,전원 케이블,365
P-006,안전 센서,150
P-007,구동 모터,240
P-008,제어기판,300

 

수식

=LCM(C2:C9)

예제3. 엑셀 LCM 함수 범위의 여러 수들 최소공배수 계산

 

결과: 262800

설명: 와, 숫자가 꽤 크죠? 모든 부품의 교체 주기를 고려했을 때, 모든 부품을 한날한시에 동시에 교체하게 되는 날은 262,800일 후라는 계산이 나옵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모든 부품을 한 번에 교체하는 것보다는 그룹별로 묶어 별도의 최소공배수 주기를 계산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판단을 내릴 수도 있겠죠? 이처럼 LCM 함수는 장기적인 관점의 유지보수 계획 수립에 중요한 데이터를 제공해준답니다.

 


🤔 이런 오류, 당황하지 마세요!

LCM 함수를 사용하다 보면 가끔 오류 메시지를 만날 수 있어요. 하지만 원인만 알면 전혀 당황할 필요 없답니다!

  • #VALUE! 오류: 함수에 인수로 전달된 값 중에 숫자가 아닌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을 때 발생해요. 범위를 지정했다면, 해당 범위 안에 글자가 섞여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NUM! 오류: 인수로 음수를 입력했을 때 발생합니다. LCM 함수는 양의 정수에 대해서만 작동하기 때문에, 모든 숫자가 양수인지 꼭 확인해주세요! 만약 음수가 있다면 ABS 함수를 이용해 양수로 바꿔준 뒤 계산할 수 있어요.

 


🔗 함께 사용하면 좋은 함수들

LCM 함수와 함께 알아두면 업무 효율이 200% 상승하는 관련 함수들도 소개해 드릴게요!

  • GCD 함수: 최소공배수(LCM)의 단짝 친구, 최대공약수(Greatest Common Divisor)를 구해주는 함수예요. 두 숫자의 관계를 분석할 때 함께 사용하면 좋습니다.
  • QUOTIENT 함수: 나눗셈의 몫(정수 부분)만 반환하는 함수예요. 주기 계산 후 특정 기간 동안 해당 주기가 몇 번 반복되는지 계산할 때 유용하게 쓸 수 있어요.
  • ABS 함수: 숫자의 절댓값을 반환해요. 위에서 설명했듯이, 실수로 입력된 음수를 양수로 바꿔 #NUM! 오류를 피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오늘 배운 내용, 한눈에 복습하기

자, 오늘 배운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해볼까요?

  1. LCM 함수는 여러 숫자의 최소공배수를 쉽고 빠르게 구해준다.
  2. =LCM(숫자1, 숫자2, ...) 형태로 사용하며, 셀 범위를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3. 반복되는 이벤트나 작업의 공통 주기를 찾을 때 (이벤트 계획, 부품 교체 주기 등) 실무에서 매우 유용하다.
  4. 인수에 텍스트가 있거나 음수를 넣으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이제 여러분도 각기 다른 주기들 속에서 공통점을 찾아내는 '주기 분석 전문가'가 되셨어요! 오늘 배운 LCM 함수를 여러분의 업무에 꼭 한번 적용해보세요. 분명히 업무 효율이 눈에 띄게 달라질 거예요. 혹시 사용하시다가 궁금한 점이 생기거나, 더 재미있는 활용 아이디어가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세요! 여러분의 소중한 의견이 저에게는 큰 힘이 된답니다. 😊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공유 부탁드려요!

 

 

작성자: 마늘빵


📱[모바일용 퀵 가이드] 엑셀 LCM 함수 1분 정복!

바쁘신 분들을 위해 핵심만 쏙쏙 뽑았어요! 📱

  • 이럴 때 사용해요!
    • 여러 이벤트가 다시 겹치는 날짜 찾을 때 🗓️
    • 부품, 자재 등의 공통 발주/교체 주기 계산할 때 ⚙️
    • 반복되는 여러 작업의 공통 실행 시점 파악할 때 ⏰
  • 사용법은?
    • =LCM(숫자1, 숫자2)
    • 범위로도 가능! =LCM(A1:A10)
  • 주의할 점!
    • 숫자만 가능해요 (텍스트는 #VALUE! 오류)
    • 양수만 가능해요 (음수는 #NUM! 오류)
  • 꿀팁!
    •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GCD 함수와 단짝이에요! 함께 기억해두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