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엑셀 꿀팁을 전하고픈 블로그입니다. 😊 재무나 회계 업무를 하다 보면 '채권' 을 다룰 일이 종종 생기죠. 특히 채권을 보유했을 때, "그래서 만기까지 이자를 총 몇 번 받는 거지?" 하고 궁금할 때가 많아요. 이럴 때 달력을 넘겨가며 날짜를 하나하나 세고 계셨다면, 오늘 강의에 꼭 집중해 주세요!
이 모든 복잡한 계산을 한 번에 해결해 줄 엑셀 COUPNUM 함수라는 멋진 친구가 있거든요. 오늘은 이 재무 함수, COUPNUM에 대해 A부터 Z까지 확실하게 파헤쳐 보겠습니다!
📌 [핵심] : COUPNUM 함수는 특정 채권의 결제일(매입일)과 만기일 사이의 총 이자지급 횟수를 계산해 줍니다.
📊 엑셀 COUPNUM 함수란 무엇인가요?
COUPNUM은 이름 그대로 '쿠폰(Coupon)의 수(Number)' 를 계산하는 함수예요. 여기서 쿠폰은 채권의 '이자' 를 의미한답니다.
즉, 내가 이 채권을 산 날(결제일)부터 이 채권의 수명이 다하는 날(만기일)까지, 총 몇 번의 이자를 받게 되는지 그 횟수를 알려주는 아주 유용한 재무 함수죠.
재무 모델링이나 투자 포트폴리오 관리 시, 미래 현금 흐름을 예측할 때 이 '이자지급 횟수' 가 아주 중요한 기준이 되거든요!
🔍 COUPNUM 함수 구문 및 인수 완전 정복
COUPNUM 함수는 이렇게 생겼어요. 언뜻 보면 복잡해 보이지만, 하나씩 뜯어보면 간단하답니다.
=COUPNUM(settlement, maturity, frequency, [basis])
🎉 COUPNUM 함수 인수 살피기
각 인수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자세히 알아볼까요?
-settlement (결제일): 채권을 실제 매입한 날짜, 즉 이자 계산이 시작되는 기준일입니다. 엑셀이 인식할 수 있는 날짜 형식( 예: 2025-10-29 )이나 DATE 함수를 사용해야 해요. (필수)
-maturity (만기일): 해당 채권의 만기 날짜입니다. (필수)
-frequency (이표지급 빈도): 1년 동안 이자를 몇 번 지급하는지 지정하는 숫자입니다. (필수)
1 : 연 1회 (매년)
2 : 연 2회 (반기)
4 : 연 4회 (분기)
-[basis] (날짜 계산 기준): 날짜 계산 방식을 정하는 규칙인데, 국가나 채권의 종류마다 다를 수 있어요. 생략하거나 0 을 입력하면 미국(US) 방식인 30/360 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선택)
0 (또는 생략): US (NASD) 30/360
1: 실제 일수 / 실제 일수 (Actual/actual)
2: 실제 일수 / 360 (Actual/360)
3: 실제 일수 / 365 (Actual/365)
4: 유럽 30/360 (European 30/360)
📝 [중요 노트]
settlement 와 maturity 는 반드시 엑셀 날짜 형식이어야 해요. "2025년 10월 29일" 같은 텍스트는 #VALUE! 오류를 발생시킵니다!
basis 인수는 재무 계산의 정확도에 큰 영향을 줍니다. 실무에서는 다루는 채권의 기준(예: 국채는 Actual/Actual)을 꼭 확인하고 정확한 값을 입력해 주세요!
🚀 COUPNUM 함수 실전 예제 (기본부터 실무까지)
백문이 불여일견이죠! 실제 데이터를 가지고 연습해 볼게요.
아래는 우리가 관리하는 채권 포트폴리오 목록이라고 가정해 봅시다. (오늘은 2025년 10월 29일이라고 가정할게요!)
채권명,발행일,만기일,결제일,이표지급(연),날짜기준
A-회사채,2020-01-01,2030-01-01,2025-10-29,2,1
B-국채,2022-03-15,2032-03-15,2025-10-29,4,1
C-특수채,2021-06-30,2026-06-30,2025-10-29,1,0
D-회사채,2023-09-01,2028-09-01,2025-10-29,2,1
E-국채,2018-05-20,2028-05-20,2025-10-29,2,3
F-회사채,2024-01-10,2034-01-10,2025-10-29,4,1
G-특수채,2020-12-01,2027-12-01,2025-10-29,1,0
예제 1: 기본 사용법 (셀 참조)
첫 번째 'A-회사채' 의 남은 이자지급 횟수를 계산해 봅시다. (위 표가 A1 셀부터 시작한다고 가정)
- 결제일 (settlement): D2 셀 (2025-10-29)
- 만기일 (maturity): C2 셀 (2030-01-01)
- 이표지급 (frequency): E2 셀 (2)
- 날짜기준 (basis): F2 셀 (1)
H2 셀에 아래와 같이 수식을 입력합니다.
=COUPNUM(D2, C2, E2, F2)

결과: 9
해석: 'A-회사채' 는 오늘(2025-10-29 / 즉 결제일)부터 만기일(2030-01-01)까지 총 9번의 이자를 더 받을 수 있다는 뜻이에요. (연 2회씩 약 4년 2개월 정도 남았네요!)
예제 2: 다른 방법의 수식 (DATE 함수 사용)
이번엔 'B-국채'의 횟수를 계산해 볼까요? 이번엔 셀 참조 대신 DATE 함수로 날짜를 직접 입력해 볼게요.
- 결제일: DATE(2025, 10, 29)
- 만기일: DATE(2032, 3, 15)
- 이표지급: 4 (분기 1회)
- 날짜기준: 1 (Actual/actual)
=COUPNUM(DATE(2025, 10, 29), DATE(2032, 3, 15), 4, 1)

결과: 26
해석: 'B-국채' 는 만기까지 총 26번의 이자(분기별)를 더 받을 수 있습니다.
예제 3: 실무 활용 (전체 목록 계산)
실무에서는 H2 셀에 첫 번째 수식을 입력한 뒤, 채우기 핸들(셀 오른쪽 아래 모서리)을 더블클릭해서 목록 전체의 남은 이자지급 횟수를 한 번에 계산할 수 있겠죠?

H2:H8 범위에 각각의 남은 이자지급 횟수가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정말 편리하죠!
❗ 잠깐! COUPNUM 함수 사용 시 주의사항 및 오류
COUPNUM 함수를 사용할 때 자주 만나는 오류와 주의할 점들을 정리해 봤어요.
- #VALUE! 오류 : settlement (결제일)나 maturity (만기일) 인수에 유효하지 않은 날짜 형식(예: "2025년10월29일" 같은 텍스트)을 입력하면 발생해요. 반드시 2025-10-29 형태나 DATE(2025, 10, 29) 함수로 날짜를 입력하세요.
- #NUM! 오류 :
- frequency (빈도)에 1, 2, 4 이외의 숫자를 입력했을 때 발생합니다. (예: 3이나 12는 안 돼요!)
- basis (기준)에 0, 1, 2, 3, 4 이외의 숫자를 입력했을 때도 발생해요.
- settlement (결제일)이 maturity (만기일)보다 날짜가 더 늦을 때도 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결제일은 만기일보다 항상 빨라야겠죠?)
- 결과값은 항상 '정수' : COUPNUM은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결과값을 반환해요. 예를 들어, 다음 이자지급일이 하루 남았든, 5개월 남았든 '1회'로 카운트됩니다. "남은 기간"이 아니라 "남은 횟수"를 세는 함수라는 점을 기억하세요!
🤝 함께 쓰면 좋은 재무 함수들
COUPNUM 함수를 사용하신다면, 분명 아래 함수들도 필요하실 거예요. 채권 분석을 도와주는 친구들이랍니다.
- COUPNCD: 결제일 이후에 돌아오는 다음 이자지급일
- COUPPCD: 결제일 이전의 직전 이자지급일
- COUPDAYBS: 결제일부터 다음 이자지급일까지의 남은 일수
- COUPDAYS: 결제일이 속한 이자지급 기간의 총 일수
이 함수들을 조합하면 "이번 이자 기간 중에 며칠이나 보유했는지(경과 이자 계산)" 등 더 복잡한 재무 계산도 가능해져요. 이 함수들은 다음 강의에서 하나씩 다뤄볼게요! 😉
💡 정리하며: 채권 이자 횟수, 이젠 클릭 한 번으로!
오늘은 엑셀 재무 함수 중에서도 조금은 낯설었던 COUPNUM 함수에 대해 배워봤습니다.
재무나 회계 담당자분들께는 채권의 미래 현금 흐름을 예측하는 데 정말 유용한 무기가 될 수 있고요, 재무 관리를 공부하는 학생분들께도 꼭 알아둬야 할 필수 함수 중 하나예요.
복잡해 보였던 채권 이자지급 횟수 계산, 이제 COUPNUM 함수로 스마트하게 해결해 보세요!
오늘 내용이 유용하셨다면 공감(하트) 꾹! 눌러주시고요, 여러분의 응원이 제게는 큰 힘이 된답니다. 😊
📱 모바일에서 빠르게 보는 핵심 요약
(바쁘신 분들을 위해 모바일에서 빠르게 훑어볼 수 있도록 요약했어요!)
- 함수: COUPNUM
- 기능: 결제일 ~ 만기일 사이의 총 이자지급 횟수 계산
- 구문: =COUPNUM(결제일, 만기일, 연간빈도, [날짜기준])
- frequency (빈도): 1(연), 2(반기), 4(분기) 중 하나만 가능
- basis (기준): 0 (생략 가능, US 30/360), 1 (실제/실제) 등 채권 기준에 맞게 입력
- 오류 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