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함수] 찾기와 참조 함수 CHOOSE 함수 강좌

엑셀 찾기와 참조 함수를 배우고 있습니다. 수평으로 찾는 엑셀 HLOOKUP 함수와 수직으로 찾는 함수인 VLOOKUP을 배웠습니다. 마지막 검색유형 인수만을 정확히 이해하시면 어려움이 없었을 것입니다.

이번에 배우실 엑셀 함수는 이전 두 함수보다 훨씬 쉬운 함수입니다. 엑셀 CHOOSE 함수입니다. CHOOSE, '선택하다' 라는 뜻이지요. 함수의 기능도 그렇습니다. 여러개의 값들 중 원하는 값을 선택하는 함수입니다.

자세히 살펴봅니다.

* 엑셀 CHOOSE 함수

기능: 첫번째 인수로 나머지 여러값들 중의 한 값을 선택합니다.
용법: =CHOOSE( 선택인수, 값1, 값2, ...)
- 선택인수의 수치로 나머지 값들의 순번을 설정하면 그 값을 반환합니다 (값은 선택인수 포함 255개까지입니다)
- 값 인수는 숫자, 셀 참조, 정의된 이름, 수식, 함수 또는 문자열이 될 수 있습니다.

용례1: =CHOOSE(2, "월", "화", "수", "목")
용례1의 결과: 화
선택인수 2 가 의미하는 것은 두번째 값을 선택하라는 것입니다. 선택인수를 제외한 두번째 값 "화" 를  반환하는 것입니다.

용례2: =CHOOSE(2.7, "KOR","ENG","JPG")
용례2의 결과: ENG
이번 예는 선택인수가 2.7 이라는 소수입니다. 하지만 2.7 이 수식의 값들의 수, 3개 보다 적기에 정수부만을 취한 위치의 값인 2 로 두번째 값인 "ENG" 를 선택하여 반환합니다.
엑셀 CHOOSE 함수에서 선택인수의 사용 가능 범위는 1 ~ 선택인수 제외한 값의 갯수까지 입니다.  만일 1보다 작거나 값의 갯수보다 크다면 #VALUE! 에러를 발생합니다.

용례3: =CHOOSE(2, A3, B4, C2)
용례3의 결과: B4 의 값
선택인수가 2이기에 두번째 인수 B4를 선택하고 그 값을 반환합니다. 셀 참조를 값으로 사용한 경우입니다.

용례4: =SUM( CHOOSE(2, A1:A10, B1:B10, C1:C10) )
용례4의 결과: =SUM(B1:B10)
이 예는 엑셀 CHOOSE 함수로 범위를 선택한 경우입니다. 선택인수가 2, 선택인수 이후로 두번째 값을 선택합니다. 이 범위가 그대로 반환되고 SUM 함수가 그 값을 취하여 결국은 =SUM(B1:B10) 의 결과와 같아지는 것입니다. 범위가 값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드린 것입니다.)

용례5: =SUM(A2:CHOOSE(2, A3, A4, A5))
용례5의 결과: A2:A4 범위의 합계
이 예는 좀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중첩 함수의 외곽에서 합계를 구합니다. 시작 위치는 A2 로 결정 되었고 종료 위치를 엑셀 CHOOSE 함수를 이용 선택하는 것입니다. 첫번째 선택인수가 2이기에 두번째 값, A4가 선택되고 이 셀 주소값을 엑셀 SUM 함수의 종료 위치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기출 예제1: 이전 게시물의 CHOOSE 함수 부분을 참조해주세요

기출 예제2
: 사원코드[A3:A11]의 오른쪽 끝 문자가 '1' 이면 '영업부', '2' 이면 '인사부', '3' 이면 '총무부', '4' 이면 '기획부' 로 소속부서[D3:D11]에 표시하시오. (컴활 2005년 2회 A형)

- CHOOSE 와 RIGHT 함수 사용.



기출풀이2:
D4 셀에 셀 포인터를 놓고 위에 수식을 입력합니다. 아래의 수식을 입력합니다.

=CHOOSE(RIGHT(A3, 1), "영업부", "인사부", "총무부", "기획부")

위의 엑셀 수식 입력후 D11 셀까지 수식 복사합니다. 녹색의 사원코드를 엑셀 RIGHT 함수를 이용 사원코드의 오른쪽 1자리를 얻은 후 이 수치형 문자를 엑셀 CHOOSE 함수의 선택인수로 사용합니다. 이 값이 1 이면 '영업부', 2 이면 '인사부', 3 이면 '총무부', 4 이면 '기획부' 가 반환 되지요.

엑셀 CHOOSE 함수는 사용 방법에 따라 여러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여러모로 유용한 함수입니다. 기억해 주세요.

@ 이상이 엑셀 CHOOSE 함수 입니다. 첫번째 인수인 선택인수의 순서에 해당하는 이후 인수를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값으로 여러가지가 사용될 수 있어 여러모로 유용한 함수 입니다.

* 컴활2급과 컴활3급 함수목록 ver 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