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의 시간 표시 서식 중 하나인 [h]:mm
은 누적 시간 계산을 할 때 정말 유용한 형식이에요. 일반적인 시간 서식과는 작동 방식이 조금 달라서 헷갈릴 수 있거든요. 심플하지만 확실히 누적 시간 서식을 배워봅니다. 😊
✅ 엑셀 [h]:mm 서식이란?
[h]:mm
서식은 시간이 24시간을 넘어가도 누적해서 보여주는 엑셀 사용자지정 서식이에요.- 괄호 없이
h:mm
을 쓰면, 시계처럼 24시간을 기준으로 다시 0부터 시작하지만[h]:mm
처럼 대괄호를 쓰면, 초과된 시간도 누적해서 그대로 표시됩니다. 그래서, 날짜가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표시값이 달라질 수 있어요!
🔎 관련 게시물: 이 블로그 사용자 지정 서식 게시물 검색
🔄 일반 서식과 비교해볼게요
시간 값 (숫자 값 기준) | 시간 서식 h:mm |
누적 시간 서식 [h]:mm |
설명 |
---|---|---|---|
0.5 (= 12시간) |
12:00 |
12:00 |
같음 |
1.0 (= 24시간) |
0:00 |
24:00 ✅ |
일반 서식은 24시간 → 0시로 리셋 |
1.5 (= 36시간) |
12:00 |
36:00 ✅ |
[h] 덕분에 누적 시간 표시 |
서식에 대괄호 [ ]
가 없다면, 시간은 최대 23시 59분까지만 표현되고 24시간을 넘으면 다시 0부터 시작합니다.
A2:A4 범위의 값을 B열과 C열로 복사하고 서식을 바꿔봅니다. C2:C4 범위는 Ctrl+1 단축키를 사용해서 누적시간서식 [h]:mm 을 적용해 봅니다.
위와 같이 평범한 시간 서식( h:mm )과 누적시간 서식( [h]:mm )의 차이를 확인합니다. A4의 값 1.5 는 1일(24시간) 과 0.5(12시간) 결국 36:00 이 되는 것입니다. 일반시간 서식( h:mm ) 은 날짜 부분인 정수부는 제외하고 소수점 이하만으로 시간처리 합니다. 그래서 12:00 이 결과 표시되는 것입니다.
💡 실무에서 자주 쓰이는 경우
📊 1. 프로젝트 시작부터 완료까지 진행시간 계산
예: 여러 프로젝트의 진행 시간을 시간으로 계산하는데는 누적시간 서식이 필요합니다.
D열과 E열의 계산 수식은 모두 =완료시간-시작시간
입니다. 하지만 서식이 다르지요. D열은 일반 시간서식 h:mm 이어서 24시가 되면 다시 0으로 리셋되어 계산됩니다. 하지만 E열은 시간을 누적해 계산하기에 날짜까지 계산에 포함되는 것입니다.
🛠 TIP: 일반
h:mm
서식으로 표시하면 24시간이 넘으면 다시 0부터 시작해서 결과가 황당하게 보일수 있어요!
⏱ 2. 기계 가동시간 누적 표시할 때
예: 어떤 기계가 총 73시간 동안 가동됐을 경우
h:mm
서식 →1:00
으로 표시됨 (헷갈림!)[h]:mm
서식 →73:00
으로 정확히 보여줌 (👍)
⚠️ 꼭 기억 하세요!
- [h]는 반드시 대괄호 포함해야 누적시간으로 인식됩니다.
[hh]:mm:ss
도 가능해요 (초까지 포함하고 싶을 때)- 날짜가 있는 자정 (1900-01-01 12:00 AM) →
1.0
→ [h]:mm = 24:00 - 날짜 없는 자정 (12:00 AM) →
0.0
→ [h]:mm = 00:00 - 날짜와 시간이 일련번호로 입력된 경우,
1.0
은 1일 24시간,2.5
는 2일+12시간 = 60시간으로 누적 계산됩니다.
날짜 유무는 겉보기로는 잘 안 보여요. 의심될 땐 서식을 '일반'으로 바꿔서 숫자 값을 확인해보세요!
숫자 값이 1
이상이면 날짜가 포함되어 있다는 뜻입니다.
✨ 마무리 한줄 요약
📌 [h]:mm
서식은 24시간을 초과하는 누적 시간 계산에 꼭 필요한 서식이에요! 날짜가 포함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집니다.
엑셀 여러 셀 서식들이 있어요. 시간 관련 서식으로 많은 서식들이 있고 사용자 지정 가능하죠. 특히 누적시간 서식은 반드시 기억해 주세요. 엑셀의 날짜와 시간 개념은 엑셀 사용자라면 필수 습득요소 입니다. 일련 번호로 정수부 날짜,소수부 시간. 기억 완료!!
오늘은 간단한 주제로 게시물 올렸지만 자주 방문해 주시고 함께 배워가요. 😊
작성자: 마늘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