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COUNTIF 함수는 전달 범위에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셀 수를 구하여 반환한다. IF 함수의 기능을 포함하기에 조건 비교할 수 있어 이전의 COUNT 함수 그룹들과는 또 다른 사용이 가능하다. COUNTIF 함수는 단일 조건만이 전달되며 다중 조건을 전달할 수 있는 함수인 COUNTIFS 함수도 이전에 함께 배운 적이 있다. 여러 상황에서 여러 모로 사용도가 높은 COUNTIF 함수를 배워보자. [컴활 2급] 컴퓨터활용능력 실기 COUNTIFS 함수 - 통계 : http://secstart.tistory.com/558 엑셀 COUNTIF 함수 기본 설명 설명 : COUNTIF 함수는 range 범위에서 criteria 조건을 만족하는 셀의 수를 구하는 함수이다. 구문1 : COUNTIF( ra..
엑셀 SMALL 함수는 전달된 숫자 배열이나 범위에서 k 번째로 작은 값을 얻는다. 컴퓨터활용능력 2급에 출제되는 엑셀 통계 함수이면서 최소값만이 아닌, 원하는 만큼 작은 값을 얻고자 할 때 사용하는 함수이다. 여러 숫자들 중 원하는 크기 순의 값을 찾을 때 사용한다는 것이다. LARGE 함수와 상반되는 SMALL 함수를 배워보자. [엑셀 모바일] LARGE 함수로 k 번째로 큰 값 구하기 : http://secstart.tistory.com/770 엑셀 SMALL 함수 기본 설명 설명 : 엑셀 SMALL 함수는 전달된 배열이나 범위에서 k 번째로 작은 값을 구하여 결과로 반환한다. 구문 : SMALL( array, k ) 인수 : array : k 번째로 작은 값을 구할 숫자의 배열( 혹은 범위 ) k..
엑셀 LARGE 함수는 숫자 배열( 범위 )로 전달된 인수에서 k 번째로 큰 값을 반환한다. 엑셀 통계 함수이면서 컴퓨터활용능력 2급에 출제되며 최대값만이 아닌, 원하는 만큼 큰 값을 얻고자 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말은 이 함수로 최대값을 구할 수도 있다는 말이다. 자, LARGE 함수를 자세히 살펴보자. 엑셀 LARGE 함수 기본 설명 설명 : 엑셀 LARGE 함수는 전달된 배열이나 범위에서 k 번째로 큰 값을 계산하여 결과 반환한다. 구문 : LARGE( array, k ) 인수 : array : k 번째로 큰 값을 원하는 숫자 값의 배열( 혹은 범위 ) k : array 인수의 크기 인덱스 ( array 에서 k 번째 큰 값 ) 노트1 : array 인수에 포함된 텍스트 값은 무시된다..
엑셀 COUNTBLANK 함수는 전달 범위에서 공백 셀( 빈 셀 )의 개수를 구하는 함수이다. 이전에 배운 COUNT, COUNTA 함수도 값(셀)의 수를 세는 함수이다. 이 COUNT 함수의 종류들은 값을 세는 목표가 다를 뿐이다. COUNT 는 수치, COUNTA 는 비공백, 이번의 COUNTBLANK 는 공백 셀이 기준이 된다. [엑셀 모바일] COUNT 함수로 숫자 셀의 개수 세기 : http://secstart.tistory.com/765 엑셀 COUNTBLANK 함수 기본 설명 설명 : 엑셀 COUNTBLANK 함수는 전달된 범위에서 공백 셀의 개수를 구하여 결과 반환한다. 구문 : COUNTBLANK( range ) 인수 : range : 빈 셀을 카운트할 1개의 셀 범위 노트1 : 셀이 공..
엑셀 COUNTA 함수는 전달된 인수( 값이나 셀 범위 )들 중 빈 셀이 아닌 값의 개수를 세는 함수이다. 컴퓨터활용능력 2급 출제 기준에 포함된 엑셀 통계 함수이며 COUNT 함수와 매우 유사한 함수이다. 두 함수 모두 값의 수를 세는 함수인 것은 같다. 차이가 있다면 다음과 같이 간략히 요약할 수 있다. - COUNT 함수는 숫자나 날짜.시간 값의 개수를 카운트한다. - COUNTA 함수는 모든 비공백 셀의 개수를 카운트한다. [엑셀 모바일] COUNT 함수로 숫자 셀의 개수 세기 : http://secstart.tistory.com/765 엑셀 COUNTA 함수 기본 설명 설명 : 엑셀 COUNTA 함수는 전달된 값이나 셀 범위에서 모든 비공백 개수를 구하여 결과 반환한다. 구문 : COUNTA( ..
엑셀 AVERAGEA 함수는 전달된 인수 목록에서 산술 평균을 구하는 또 하나의 엑셀 통계 함수이다. AVERAGEA 함수는 AVERAGE 함수와 매우 유사하다. 두 함수 모두 수치값의 평균을 구하는 것은 기본으로 동일한다. 차이가 있다면 참조나 배열로 전달되는 논리값과 텍스트의 처리 방법에 있다. 자세히 살펴보자. [엑셀 모바일] 숫자 인수의 평균을 구하는 AVERAGE 함수 : http://secstart.tistory.com/757 엑셀 AVERAGEA 함수 기본 설명 설명 : 엑셀 AVERAGEA 함수는 전달된 인수 목록의 산술 평균을 구하여 반환하는 함수이다. 구문 : AVERAGEA( value1, [value2], ... ) 인수 : value : 평균 계산을 원하는 1개 이상의 값 혹은 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