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ROUNDDOWN 함수는 숫자를 지정한 자릿수에서 내림하는 함수입니다. 실무에서도 수시로 사용되기에 컴퓨터활용능력 2급의 출제 기준에 포함되어 있어 컴활 필기와 실기에도 자주 출제되는 중요 함수입니다. 함께 배워봅니다.
참고1 : 노트1과 2의 개념은 엑셀의 모든 자릿수 관련 함수( ROUND 함수 시리즈, TRUNC, FIXED 등 )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참고2 : 엑셀 ROUNDDOWN 에서 자리 내림이란 0 에 가깝게 자릿수를 줄이는 작업입니다.
[엑셀 모바일] ROUND 함수로 지정 자릿수에서 반올림하기 :
http://secstart.tistory.com/732
수학과 삼각 함수로 분류되는 엑셀 ROUNDDOWN 함수는 0 에 가깝게 자리 내림한다는 것을 반드시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나머지 자리수 인수는 이전의 ROUND 함수와 동일하기에 쉽게 이해될 것입니다.
[엑셀 함수] ROUND, ROUNDUP, ROUNDDOWN - 이전 게시물 :
http://secstart.tistory.com/150
엑셀 TRUNC , ROUNDDOWN 함수를 이용한 자릿수 줄이기 비교 :
http://secstart.tistory.com/690
[함수] 엑셀 수학과 삼각 함수 ROUND - 이전 게시물 :
http://secstart.tistory.com/102
마늘빵.
엑셀 ROUNDDOWN 함수 기본 설명
설명 : ROUNDDOWN 함수는 첫 번째 인수를 두 번째 인수의 자릿수로 ( 0 에 가깝게 ) 자리 내림하는 함수입니다.
구문 : ROUNDDOWN( number, num_digits )
인수 :
number : 자리 내림할 실수 ( 노트3 )
num_digits : number 인수를 내림할 자리수 지정.
- 양수라면 소수부의 지정 자리수로 내림
- 0 이라면 0 쪽으로 가장 가까운 정수를 반환
- 음수라면 정수부의 지정 자리수에서 내림
노트1 : num_digits 는 소수점( 0 )을 기준으로 소수부로 내려가면 숫자가 증가하고 정수부로 올라가면 감소합니다. [그림1]
노트2 : num_digits 로 소수점 이하( 0 이상 )가 지정되면 그 자리까지를 남기고, 정수부( 음수 )가 지정되면 그 자리에서 작업 실행합니다.
노트3 : ROUNDDOWN 과 ROUNDUP 함수는 number 인수가 양수일 때와 음수일 때 다른 규칙이 적용됩니다. number 인수가 양수라면 보다 작은 수로 자리 내림되고 음수라면 보다 큰 수로 자리 내림됩니다. ( 참고2 )
구문 : ROUNDDOWN( number, num_digits )
인수 :
number : 자리 내림할 실수 ( 노트3 )
num_digits : number 인수를 내림할 자리수 지정.
- 양수라면 소수부의 지정 자리수로 내림
- 0 이라면 0 쪽으로 가장 가까운 정수를 반환
- 음수라면 정수부의 지정 자리수에서 내림
[그림1] 엑셀 ROUNDDOWN 함수 num_digits 인수의 의미
노트1 : num_digits 는 소수점( 0 )을 기준으로 소수부로 내려가면 숫자가 증가하고 정수부로 올라가면 감소합니다. [그림1]
노트2 : num_digits 로 소수점 이하( 0 이상 )가 지정되면 그 자리까지를 남기고, 정수부( 음수 )가 지정되면 그 자리에서 작업 실행합니다.
노트3 : ROUNDDOWN 과 ROUNDUP 함수는 number 인수가 양수일 때와 음수일 때 다른 규칙이 적용됩니다. number 인수가 양수라면 보다 작은 수로 자리 내림되고 음수라면 보다 큰 수로 자리 내림됩니다. ( 참고2 )
참고1 : 노트1과 2의 개념은 엑셀의 모든 자릿수 관련 함수( ROUND 함수 시리즈, TRUNC, FIXED 등 )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참고2 : 엑셀 ROUNDDOWN 에서 자리 내림이란 0 에 가깝게 자릿수를 줄이는 작업입니다.
엑셀 ROUNDDOWN 함수 사용 예제
ROUNDDOWN 함수로 자릿수를 줄여 자리 내림하는 예제입니다.[그림2] 엑셀 ROUNDDOWN 함수로 자리 내림하는 방법
사용 예제1 : =ROUNDDOWN( 55.55, 1 )
사용 결과1 : 55.5
ROUNDDOWN 함수의 number 인수로 55.55 가 전달되었습니다.( 노트3 ) num_digits 인수로는 1 이 전달되어( 노트1 ) 소수 아래 첫 번째 자리까지 표시하는 자리 내림을 합니다.( 노트2 ) 즉, 소수 아래 두 번째 자리에서 자리 내림하는 것입니다. 계산되어 표시되는 값은 55.5 입니다.
사용 결과1 : 55.5
ROUNDDOWN 함수의 number 인수로 55.55 가 전달되었습니다.( 노트3 ) num_digits 인수로는 1 이 전달되어( 노트1 ) 소수 아래 첫 번째 자리까지 표시하는 자리 내림을 합니다.( 노트2 ) 즉, 소수 아래 두 번째 자리에서 자리 내림하는 것입니다. 계산되어 표시되는 값은 55.5 입니다.
사용 예제4 : =ROUNDDOWN( -77.77, 0 )
사용 결과4 : -77
number 인수 -77.77 을 소수점( num_digits 인수, 0 )까지 남기고 자리 내림합니다. 즉, 정수부만을 남기는 자리 내림을 실행하는 것입니다.
만일, 엑셀 ROUND 함수로 동일한 인수를 계산한다면 결과는 -78 이 될 것입니다. num_digits 인수가 0 일 때는 가장 가까운 정수를 반환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ROUNDDOWN / ROUNDUP 함수는 조금 다름니다. 0 에서 가까운 / 먼 정수를 반환하는 것이 두 함수의 규칙입니다. 따라서 -77.77 보다 0 에 가까운 정수 -77 이 결과로 반환됩니다. 잊기 쉬운 ROUNDDOWN 함수의 중요한 규칙입니다.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사용 결과4 : -77
number 인수 -77.77 을 소수점( num_digits 인수, 0 )까지 남기고 자리 내림합니다. 즉, 정수부만을 남기는 자리 내림을 실행하는 것입니다.
만일, 엑셀 ROUND 함수로 동일한 인수를 계산한다면 결과는 -78 이 될 것입니다. num_digits 인수가 0 일 때는 가장 가까운 정수를 반환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ROUNDDOWN / ROUNDUP 함수는 조금 다름니다. 0 에서 가까운 / 먼 정수를 반환하는 것이 두 함수의 규칙입니다. 따라서 -77.77 보다 0 에 가까운 정수 -77 이 결과로 반환됩니다. 잊기 쉬운 ROUNDDOWN 함수의 중요한 규칙입니다.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엑셀 모바일] ROUND 함수로 지정 자릿수에서 반올림하기 :
http://secstart.tistory.com/732
사용 예제6 : =ROUNDDOWN( -77.77, -1 )
사용 결과6 : -70
number 인수가 음수입니다. 따라서, 보다 큰 수로( 0 에 가깝게 ) 자리 내림됩니다.( 노트3 ) num_digits 인수도 음수 -1 입니다. 일의 자리를 의미하지요.( 그림1 ) 즉, -77.77 을 일의 자리에서 내림하는 수식입니다. 일단위의 값, 7 이하를 내림합니다. 일단위 이하의 값은 0 이 되는 것입니다. 결과는 -70 으로 계산됩니다.
사용 결과6 : -70
number 인수가 음수입니다. 따라서, 보다 큰 수로( 0 에 가깝게 ) 자리 내림됩니다.( 노트3 ) num_digits 인수도 음수 -1 입니다. 일의 자리를 의미하지요.( 그림1 ) 즉, -77.77 을 일의 자리에서 내림하는 수식입니다. 일단위의 값, 7 이하를 내림합니다. 일단위 이하의 값은 0 이 되는 것입니다. 결과는 -70 으로 계산됩니다.
수학과 삼각 함수로 분류되는 엑셀 ROUNDDOWN 함수는 0 에 가깝게 자리 내림한다는 것을 반드시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나머지 자리수 인수는 이전의 ROUND 함수와 동일하기에 쉽게 이해될 것입니다.
[엑셀 함수] ROUND, ROUNDUP, ROUNDDOWN - 이전 게시물 :
http://secstart.tistory.com/150
엑셀 TRUNC , ROUNDDOWN 함수를 이용한 자릿수 줄이기 비교 :
http://secstart.tistory.com/690
[함수] 엑셀 수학과 삼각 함수 ROUND - 이전 게시물 :
http://secstart.tistory.com/102
마늘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