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함수] 엑셀 ISNA 함수로 #N/A 오류 확인하기
엑셀 ISNA 함수는 전달된 인수가 #N/A 오류를 발생한다면, TRUE 를 결과로 반환한다. 오류가 발생하였는지를 논리값, 참과 거짓으로 표시하는 것이다. 참고로, 엑셀 #N/A 오류는 대표적으로 VLOOKUP 함수에서 값을 찾을 수 없을 때 발생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수식의 값을 처리할 수 없을 때, 즉 무효한( not available ) 값을 수식에 사용할 때 발생하는 오류이다. [엑셀 실무] 값을 수식에 사용할 수 없을 때 #N/A 에러 : http://secstart.tistory.com/642 엑셀 ISNA 함수 기본 설명 설명 : ISNA 함수는 전달한 값이나 표현이 #N/A 오류를 발생하는지를 테스트한다. 오류 발생시 TRUE, 그렇지않다면 FALSE 의 논리값을 반환한다. 구문 : 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