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COVAR 함수는 지정한 두 세트에 대하여 공분산을 구하는 함수이다. 여기서 세트( set )란 데이터 집합을 말하며 이렇게 두 세트의 상관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COVAR 함수이다. 참고로 공분산의 결과가 양수이면 두 세트는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고 공분산이 음수이면 두 세트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또, 공분산이 0 이라면 두 세트의 변수는 어떤 선형 관계도 없음을 의미한다. 엑셀 COVAR 함수 기본 설명 설명 : 엑셀 COVAR 함수는 전달된 두 데이터 집합의 공분산을 계산하는 함수이다. 구문 : COVAR( array1, array2 ) 인수 : array1, array2 : 공분산 계산을 위한 두 수치 배열( 범위 ) 노트1 : COVAR 함수는 배열에 포함된 텍스트와 논리값을 무시한다...
컴활2급실기 및 3급실기 에 필요한 통계함수를 요약정리해 두었습니다. 1. 평균값(AVERAGE,AVERAGEA) 을 구한다. 용법 용례 결과 =AVERAGE(수치1,수치2,...) =AVERAGE(10,20,30) 60 =AVERAGEA(값1,값2,...) =AVERAGEA(10,20,30,40,TRUE,FALSE) 16.8333 주의: AVERAGE함수는 수치값만을 사용한다. AVERAGEA함수는 논리값(TRUE는 1,FALSE는 0), 문자열은 0 으로 간주함. 문자열의 직접입력은 불가. 2. 최대값(MAX) 과 최소값(MIN) 을 구한다. 용법 용례 결과 =MAX(값1,값2,....) =MAX(10,20,30) 30 =MIN(값1,값2,...) =MIN(10,20,30) 10 추가설명: 값들은 범..
지난 게시물의 수치를 세는 COUNT함수와 값이 든 모든셀을 세는 COUNTA 함수에 이어 이번 게시물에서는 공백을 세는 함수인 COUNTBLANK 함수와 조건에 해당하는 셀과값의 수를 세는 COUNTIF 함수를 살펴 볼까 합니다.이렇게 4개의 COUNT함수 시리즈가 컴활 2급 범위의 개수를 구하는 함수들 입니다. 살펴보겠습니다. * COUNTBLANK 함수기능: 비어있는 셀 혹은 값의 수를 세는 함수 입니다. 용법: =COUNTBLANK(값1,값2,...) 용례1: =COUNTBLANK(A1:A9) 용례1의결과: 인수로 주어진 값인 범위 A1:A9 의 셀에서 공백인 셀의 갯수를 구하여 결과로 반환합니다. 기출예제: 공통필수, 전공필수, 전공선택 각각의 대금을 미납한 학생의 수를 미납자수 [B11:D11..
이번 게시물 역시 컴활 엑셀 통계 함수를 다룹니다. 수를 세는 엑셀 COUNT 함수 와 빈 값을 제외한 모든값을 세는 엑셀 COUNTA 함수를 살펴봅니다. 이 두 함수는 사용법이 동일하며 기능만 조금 다를 뿐입니다. 함께 기억하시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되실것입니다. 살펴보겠습니다. * 엑셀 COUNT 함수 기능: 인수들 중에서 수치값의 갯수를 세는 엑셀 함수입니다. 용법: =COUNT( 값1, 값2, ... ) - 값들 중 수치 값의 갯수만을 세는 함수입니다. 용례1: =COUNT( 10, 20, 30, "ABC" ) 용례1의 결과: 3 ( 인수들 중 수치값의 갯수를 구합니다. "ABC" 는 수치가 아니기에 제외됩니다. 하여 결과는 3으로 나오는 것이지요.) 용례2: =COUNT (A1:A10 ) 용례2의..
이번 게시물에서는 엑셀 통계 함수 중 분산과 표준 편차를 구하는 함수를 배워봅니다. 두 함수는 사용빈도는 적지만 단순한 함수여서 익혀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그럼 살펴보겠습니다. * 엑셀 VAR 함수기능: 인수를 모집단의 표본으로 간주하고 표본에서 분산을 구하는 엑셀 함수입니다. 용법: =VAR( 수치1, 수치2, ... ) - 인수는 수치 혹은 배열, 수치형 문자열, 참조 등이 가능합니다. 용례1: =VAR( 10, 20, 30 ) 용례1의 결과: 100 ( 인수 10, 20, 30 의 표본에서 분산을 구합니다. ) 용례2: =VAR( A1:A10, B2:B5 ) ( 두 범위 A1:A10 과 B2:B5 의 수치와 수치형 문자열 을 표본으로 간주하여 분산을 구합니다. ) 기출 문제1: '신체현황' 에서 키..
지난 게시물에서는 엑셀 통계함수 MEDIAN 함수, LARGE 함수, SMALL 함수를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게시물에서는 엑셀 통계 함수 RANK 함수를 배워보려고 합니다. 순위를 구하는 함수이지요. 살펴볼까요. * 엑셀 RANK 함수 기능: 인수로 지정한 수치로 범위에서 순위를 구함. 용법: =RANK(수치, 범위, [순위 구하는 법]) - 수치는 셀 참조 혹은 수치를 직접 입력할 수 있습니다. 둘 모두 범위내의 수치여야 합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 #N/A 에러를 유발합니다. - 범위는 수치를 비교하여 순위를 구하는 범위입니다. - 순위 구하는 법은 내림 차순의 순위를 구할 때는 0, 오름 차순으로 순위를 구할 때는 1을 입력합니다. 생략시는 기본값인 0으로 계산합니다. 용례1: =RANK(A4, A1..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