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러분의 엑셀 실력을 업그레이드해 드릴 엑셀러레이터입니다. 😊 혹시 학창 시절에 배웠던 '루트(√)' 기억나시나요? 엑셀에서도 이 제곱근을 아주 간단하게 구할 수 있는데요. 복잡한 계산 때문에 머리 아프셨던 경험, 다들 한 번쯤은 있으시죠? 특히 데이터 분석이나 공학 계산이 필요한 업무에서 제곱근 계산은 필수적인데, 이걸 언제까지 계산기로 두드릴 수는 없잖아요. 오늘 저와 함께 엑셀 SQRT 함수 하나로 여러분의 칼퇴를 앞당겨 보자고요!
📌 [핵심] SQRT 함수는 숫자의 양의 제곱근을 구하는 가장 쉬운 방법이에요!
📘 엑셀 SQRT 함수, 대체 뭔가요?
SQRT 함수는 'Square Root'의 약자로, 이름 그대로 '제곱근'을 구해주는 아주 고마운 함수랍니다. 어떤 수를 제곱했을 때 특정 값이 나오는 그 '어떤 수'를 찾아주는 거죠. 예를 들어, 3을 제곱하면 9가 되잖아요? 반대로 9의 제곱근은 3이 되는 원리랍니다. 정말 간단하죠?
함수 구문:
=SQRT(number)
인수 설명:
- number (필수): 제곱근을 구하려는 숫자나 숫자가 있는 셀을 의미해요.
⚠️ 잠깐! 이것만은 주의하세요!
number 인수에 음수를 넣으면 #NUM! 오류가 발생해요. 제곱해서 음수가 되는 실수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죠. 항상 양수 값을 넣어주셔야 한답니다!
💻 실전 예제로 SQRT 함수 정복하기
백문이 불여일견! 직접 예제를 따라 해보면서 SQRT 함수와 친해져 봐요.
예제 1. 기본 사용법: 가장 간단하게 제곱근 구하기
가장 기본적인 사용법이에요. 특정 숫자의 제곱근을 바로 구해보겠습니다. 정사각형의 면적을 알 때 한 변의 길이를 구하는 것과 같아요.
[데이터]
면적(A),한 변의 길이(B)
9,
16,
25,
64,
144,
225,
400,
900,
[수식]
B2 셀에 아래 수식을 입력하고 채우기 핸들을 아래로 쭉- 내려주세요.
=SQRT(A2)

제곱근을 구하는 가장 간단한 엑셀 함수 SQRT 의 기본입니다.
예제 2. 중급 활용: 다른 함수와 함께 쓰기 (중첩 함수)
SQRT 함수는 다른 함수와 함께 사용할 때 더욱 강력해져요. 예를 들어,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해 직각삼각형의 빗변 길이를 구하는 경우를 생각해 볼까요? ( c=sqrt(a²+b²) )
[데이터]
밑변(a),높이(b),빗변(c)
3,4,
5,12,
8,15,
7,24,
9,40,
10,24,
20,21,
28,45,
[수식]
C2 셀에 아래 수식을 입력하고 아래로 채워주세요. POWER 함수는 거듭제곱을 구해주는 함수랍니다.
=SQRT(POWER(A2,2)+POWER(B2,2))

예제 3. 고급 활용: 배열 수식으로 한 번에 계산하기
만약 여러 숫자들의 제곱근을 구한 뒤, 그 값들의 합계를 내야 한다면 어떻게 할까요? 각 숫자의 제곱근을 구하고 다시 SUM 함수를 쓰는 대신, 배열 수식을 이용하면 한 번에 해결할 수 있어요!
[데이터]
측정값
25
49
81
100
121
144
169
196
[수식]
결과를 표시할 셀에 아래 수식을 입력한 후, 그냥 Enter가 아닌 Ctrl + Shift + Enter를 함께 눌러 배열 수식으로 만들어주세요! 그럼 수식 양쪽에 {} 중괄호가 자동으로 생긴답니다.
{=SUM(SQRT(A2:A9))}

예제 4. 실무 활용: 데이터 표준편차 이해하기
통계에서 데이터가 얼마나 흩어져 있는지 나타내는 '표준편차'를 구할 때도 제곱근이 사용돼요. 물론 바로 표준편차를 구하는 STDEV.P 함수가 있지만, 표준편차는 '분산'의 양의 제곱근이거든요! 제품의 오차 범위를 계산하거나 판매 데이터의 변동성을 분석할 때 아주 유용하게 쓰이죠.
[데이터]
제품 ID,생산 길이(mm),평균,편차 제곱,분산,표준편차
P001,152,150.125,3.515625,,
P002,148,150.125,4.515625,,
P003,155,150.125,23.765625,,
P004,147,150.125,9.765625,,
P005,151,150.125,0.765625,,
P006,149,150.125,1.265625,,
P007,153,150.125,8.265625,,
P008,146,150.125,17.015625,,
[수식]
먼저 '분산'을 구해야 해요. 분산은 '편차 제곱의 평균'이랍니다. (E2 셀) 바로 분산을 구하는 함수는 VAR.P (모집단 전체 분산) 입니다.
=AVERAGE(D2:D9)
=VAR.P(B2:B9)
이제 F2 셀에 분산의 제곱근, 즉 '표준편차'를 구하는 SQRT 수식을 입력해 주세요. 역시 모집단 전체 표준편차를 구하는 함수 STDEV.P 를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SQRT(E2)
=STDEV.P(B2:B9)

이렇게 분산과 표준편차를 구하는 단계에서 SQRT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과정을 짚어가면 계산 목적과 과정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지요.
🚫 흔히 발생하는 오류, 이것만 알면 끝!
- #NUM! 오류: 가장 흔한 오류예요.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제곱근을 구하려는 숫자가 음수일 때 발생해요. ABS 함수를 사용해서 숫자를 양수로 바꿔주면 간단히 해결할 수 있어요! (=SQRT(ABS(A1)))
- #VALUE! 오류: 숫자가 아닌 텍스트나 논리값이 인수로 입력되었을 때 발생해요. 셀에 숫자가 제대로 입력되었는지 다시 한번 확인해 보세요.
🔗 함께 쓰면 좋은 꿀조합 함수들
- POWER(number, power): 거듭제곱을 구해줘요. SQRT와는 단짝 같은 함수죠.
- SUM(number1, [number2], ...): 숫자들의 합계를 구해요. 배열 수식과 함께 사용하면 빛을 발하죠.
- ABS(number): 숫자의 절댓값을 구해줘요. 음수 때문에 #NUM! 오류가 날 때 유용해요.
🎉 정리하며
오늘 배운 SQRT 함수, 어떠셨나요? 생각보다 훨씬 간단하고 유용하지 않나요? 이제 복잡한 제곱근 계산도 엑셀로 똑똑하게 처리해 보세요. 오늘 알려드린 예제들을 꼭 직접 따라 해보시면서 여러분의 것으로 만드는 시간을 가져보시길 바라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질문 남겨주시고요!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공유 부탁드려요! 여러분의 작은 응원이 제게는 큰 힘이 된답니다. ❤️
작성자: 마늘빵
📱 바쁘다 바빠 현대사회! 모바일 퀵 버전
엑셀 SQRT 함수 1분 요약 🚀
- 뭐하는 함수?
- 숫자의 양의 제곱근 (루트 √)을 구해줘요.
- 어떻게 써요?
- =SQRT(숫자 또는 셀)
- 예: =SQRT(9) → 결과: 3
- 예: =SQRT(A1) → A1셀 값의 제곱근
- 핵심 주의사항!
- 실전 꿀팁!
- 피타고라스 정리: =SQRT(POWER(A2,2)+POWER(B2,2))
- 표준편차 계산 시 분산에 SQRT를 씌우면 끝!
- 친구 함수: POWER, SUM, A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