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CENTILE.EXC vs PERCENTILE.INC 완벽 비교로 엑셀 마스터하기 2025

📌 한 줄 요약: 엑셀의 PERCENTILE.EXC와 PERCENTILE.INC 함수의 차이점을 쉽게 풀어드리고, 실무에서 바로 써먹을 수 있는 팁을 알려드려요!

 

엑셀을 사용하다 보면 데이터 분석에서 백분위수를 구해야 할 때가 많죠? 특히 PERCENTILE.EXCPERCENTILE.INC 함수는 비슷해 보여도 결과가 다르게 나와 헷갈리기 쉬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두 함수의 차이점을 명쾌하게 정리하고,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예제와 팁을 드릴게요! 이 글을 읽고 나면 백분위수 계산이 한결 쉬워질 거예요. 😊

 

📊 PERCENTILE 함수란?

PERCENTILE 함수는 데이터 집합에서 특정 백분위수를 계산하는 엑셀 함수예요. 예를 들어, 시험 점수 데이터에서 상위 25%에 해당하는 점수를 찾고 싶을 때 유용하죠. PERCENTILE에는 EXC(exclusive, 배제)와 INC(inclusive, 포함) 두 가지 버전이 있는데, 이 둘의 계산 방식이 살짝 달라요. 어떤 함수를 써야 할지, 언제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 하나씩 살펴볼게요!

 

🔍 PERCENTILE.EXC와 PERCENTILE.INC의 차이점

1. 기본 개념과 함수 구문

  • PERCENTILE.INC: 데이터 집합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포함해서 백분위수를 계산해요. 즉, 데이터 범위 전체를 기준으로 값을 구하죠.
    • 구문: =PERCENTILE.INC(배열, k)
    • 인수:
      • 배열: 백분위수를 구할 데이터 범위
      • k: 0에서 1 사이의 백분위 값 (예: 0.25는 25번째 백분위수)
  • PERCENTILE.EXC: 최소값과 최대값을 배제하고, 데이터의 중간 부분만을 기준으로 백분위수를 계산해요. 더 엄격한 기준을 적용한다고 볼 수 있죠.
    • 구문: =PERCENTILE.EXC(배열, k)
    • 인수: PERCENTILE.INC 와 동일
  • 주의사항 ⚠️:
    • k 값: 둘 다 0~1 사이의 값을 입력해야 하지만, EXC는 데이터 개수가 적을 때 k 값이 너무 작거나 크면 오류가 나기 쉬워요.
    • 데이터 개수: EXC는 데이터가 2개 이하일 경우 계산이 불가능해요.

2. 계산 방식의 차이

  • PERCENTILE.INC: 데이터의 최소값(0%)과 최대값(100%)을 포함한 선형 보간법을 사용해요. 그래서 결과가 더 부드럽게 나오는 편이에요.
  • PERCENTILE.EXC: 최소값과 최대값을 제외하고 계산하므로, 결과가 더 극단적인 값에서 벗어나죠. 특히 이상치가 많은 데이터에서 유용해요.

예시로 이해해보세요: 10명의 시험 점수가 있을 때, PERCENTILE.INC는 1등과 꼴찌 점수를 포함해 계산하지만, PERCENTILE.EXC는 이들을 제외하고 중간 8명의 점수만 기준으로 삼아요.

 

📈 실무에서 바로 써먹는 예제 3가지

실무에서 PERCENTILE 함수는 데이터 분석, 성과 평가, 이상치 탐지 등에 자주 쓰여요. 아래는 실제 업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예제와 데이터에요!

예제 데이터 (CSV 형식)

직원,월 매출(만원)
김팀장,1200
이대리,800
박사원,950
최주임,1100
정대리,700
강사원,850
윤팀장,1300
송주임,900
허대리,750
오사원,1000
최팀장,1150
한주임,880

예제 1: 상위 25% 매출 기준 찾기

예제: 엑셀 PERCENTILE.INC 와 PERCENTILE.EXC 결과 비교

상황: 영업팀의 월 매출 데이터에서 상위 25%에 해당하는 매출액을 알아보려고 해요.

  • 함수:
    • =PERCENTILE.INC(B2:B13, 0.75) → 결과: 1112.5만원
    • =PERCENTILE.EXC(B2:B13, 0.75) → 결과: 1137.5만원
  • 해석: .EXC는 최대값(1300만원)을 제외하므로 더 높은 값을 반환해요. 상위 25% 기준이 1137만원이면, 이 이상 매출을 올린 직원은 성과 우수자로 평가할 수 있죠!

예제 2: 하위 10% 성과 점검

상황: 하위 10% 매출 직원을 찾아 지원 계획을 세우고 싶어요.

  • 함수:
    • =PERCENTILE.INC(B2:B13, 0.1) → 결과: 755만원
    • =PERCENTILE.EXC(B2:B13, 0.1) → 결과: 715만원
  • 해석: PERCENTILE.EXC는 최소값(700만원)을 배제하므로 더 낮은 값을 반환해요. 715만원 이하 직원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하면 좋겠죠?

예제 3: 중간 50% 매출 분포 확인

상황: 매출 데이터의 중간 50% 직원의 매출 범위를 확인하고 싶어요.

  • 함수:
    • 25번째 백분위: =PERCENTILE.INC(B2:B13, 0.25) → 837.5만원
    • 75번째 백분위: =PERCENTILE.INC(B2:B13, 0.75) → 1112.5만원
    • PERCENTILE.EXC로 동일 계산: 812.5만원, 1137.5만원
  • 해석: 중간 50% 직원의 매출은 약 837.5~1112.5만원 사이예요. PERCENTILE.INC는 약간 더 좁은 범위를 보여줘요.

 

⚠️ 자주 발생하는 오류와 해결법

  1. #NUM! 오류
    • 원인: k 값이 0~1 사이를 벗어났거나, 데이터 개수가 EXC에서 너무 적을 때(2개 이하).
    • 해결: k 값을 0~1 사이로 조정하거나, 데이터가 충분한지 확인하세요.
  2. #VALUE! 오류
    • 원인: 배열에 숫자가 아닌 값(텍스트 등)이 포함된 경우.
    • 해결: 데이터 범위를 확인하고 숫자만 포함되도록 정리하세요.
  3. 예상과 다른 결과
    • 원인: INC와 EXC의 계산 방식 차이를 모르고 사용했을 가능성.
    • 해결: 데이터 특성에 따라 적절한 함수를 선택하세요. 이상치가 많다면 EXC를 추천해요!

 

🎯 마무리: 어떤 함수를 써야 할까?

PERCENTILE.INC는 일반적인 백분위수 계산에 적합하고, PERCENTILE.EXC는 이상치를 배제한 엄격한 분석이 필요할 때 좋아요. 데이터의 특성과 분석 목적에 따라 두 함수를 적절히 선택하는 게 중요해요. 실무에서 바로 써먹을 수 있도록 예제 데이터를 엑셀에 입력해보고 연습해보세요!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유 버튼을 눌러 동료들과 함께 공부해보세요! 🙌

 

 

작성자: 마늘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