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엑셀을 사랑하는 여러분! 😊 우리가 엑셀을 사용하다 보면 과거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래의 수치를 예측해야 하는 경우가 정말 많죠? 예를 들어, "지난 분기까지의 매출액을 바탕으로 다음 분기 매출은 얼마나 될까?" 혹은 "지금까지의 웹사이트 방문자 수 증가 추세라면 연말에는 얼마나 많은 방문자가 올까?" 같은 궁금증들 말이에요.
이럴 때 막막해하지 마세요! 엑셀에는 이런 예측을 도와주는 강력한 함수가 숨어있답니다. 바로 GROWTH 함수인데요. 오늘은 이 GROWTH 함수를 어떻게 활용해서 여러분의 업무 효율과 데이터 분석 능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수 있을지 쉽고 자세하게 알려드릴게요.
📌 GROWTH 함수는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래의 지수적 성장 값을 예측해 주는 강력한 도구예요!
🚀 엑셀 GROWTH 함수, 대체 뭔가요?
자, 그럼 GROWTH 함수가 정확히 어떤 친구인지부터 알아볼까요?
GROWTH 함수는 기존의 x값과 y값을 사용해서, 새로운 x값에 대한 예측된 y값을 계산해 주는 함수예요.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지수적 성장'을 따른다는 점인데요. 쉽게 말해, 데이터가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추세를 보일 때 아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답니다. 마치 복리 이자처럼요!
이 함수는 선형 추세(일정하게 더해지는)를 예측하는 TREND 함수와는 달리, 성장 곡선(일정한 비율로 곱해지는)을 그리는 데이터에 적합해요.
이전 엑셀 GROWTH 함수 게시물 링크 : https://secstart.tistory.com/779
[기타 함수] 엑셀 GROWTH 로 지수 성장 추세값 구하기
엑셀 GROWTH 함수는 y 값과 하나 이상의 x 값을 통해 지수 성장 곡선을 계산한다. 이 함수는 전달된 새로운 x 값으로 추가된 y 값을 계산하여 곡선을 연장한다. 엑셀 GROWTH 함수 기본 설명 설명 : GROWTH
secstart.tistory.com
🎉 GROWTH 함수 구문 파헤치기
GROWTH 함수의 기본 생김새는 이렇습니다:
GROWTH(known_y's, [known_x's], [new_x's], [const])
각각의 인수가 뭘 의미하는지 살펴볼게요.
known_y's
: (필수) 이미 알고 있는 y값들의 집합. 우리가 예측하고자 하는 값(예: 매출액, 방문자 수)의 과거 데이터를 의미하죠. (종속 변수)[known_x's]
: (선택) 이미 알고 있는 x값들의 집합. y값에 영향을 주는 독립 변수들이죠. 만약 생략하면{1, 2, 3, ...}
와 같이 데이터 개수에 맞춰 순차적인 배열로 간주돼요.[new_x's]
: (선택) 예측값을 구하려는 새로운 x값들의 집합. 이 값을 지정하지 않으면known_x's
와 동일하게 간주돼요.[const]
: (선택) 논리값(TRUE 또는 FALSE)을 사용해요.- TRUE (또는 생략): 상수 b가 일반적인 방법으로 계산돼요 (y = b * m^x). 대부분 이 경우를 사용해요.
- FALSE: 상수 b가 1로 고정돼요 (y = m^x). 즉, y 절편이 1이 되도록 강제하는 거죠.
📝 잠깐! GROWTH 함수 사용 시 주의할 점
- 배열 수식: GROWTH 함수는 예측된 y값들의 배열을 반환해요. 최신 버전의 엑셀(Microsoft 365, 2021 이후)에서는 그냥 Enter를 눌러도 되지만, 구버전 엑셀(2019 이전)에서는 결과를 표시할 셀 범위를 미리 선택하고 수식을 입력한 후 Ctrl + Shift + Enter를 눌러 배열 수식으로 입력해야 제대로 된 결과를 얻을 수 있어요!
known_y's
와known_x's
의 데이터 개수는 동일해야 해요.- 입력하는 데이터는 숫자 형태여야 합니다.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으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어요.
📊 GROWTH 함수, 이렇게 활용해 보세요! (실전 예제 3가지)
백문이 불여일견이죠? 실제 업무에서 GROWTH 함수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구체적인 예제를 통해 알아볼게요.
예제 1: 월별 웹사이트 트래픽 예측하기
우리 회사 웹사이트의 지난 10개월간 월별 방문자 수를 바탕으로 다음 3개월의 방문자 수를 예측해 볼까요?
데이터 (CSV 형식):
월,방문자수
1,1200
2,1350
3,1520
4,1700
5,1900
6,2150
7,2400
8,2700
9,3050
10,3400
11,
12,
13,
수식 입력:
ㄱ. C12:C14 셀 범위를 선택합니다. (3개월치를 예측할 것이므로) (엑셀 2021버전 이후는 C12셀만 선택해도 동적배열로 확장)
ㄴ. 수식 입력줄에 다음 수식을 입력합니다:
=GROWTH(B2:B11, A2:A11, A12:A14)
ㄷ. Ctrl + Shift + Enter를 누릅니다 (Microsoft 365 / 2021이후는 그냥 Enter).
결과적으로 C12, C13, C14 셀에 각각 11월, 12월, 13월(다음 해 1월)의 예측 방문자 수가 자동으로 채워질 거예요!
예제 2: 분기별 제품 판매량 예측하기 (단순 기간 기준)
이번에는 특정 제품의 지난 8분기(2년) 판매량을 기준으로 다음 두 분기의 판매량을 예측해 볼게요. known_x's
를 명시적으로 숫자 인덱스로 사용하는 개선된 방법을 적용합니다.
데이터 (CSV 형식):
기간인덱스,분기표시,판매량
1,2023Q1,500
2,2023Q2,580
3,2023Q3,680
4,2023Q4,800
5,2024Q1,950
6,2024Q2,1120
7,2024Q3,1300
8,2024Q4,1550
9,2025Q1,
10,2025Q2,
수식 입력:
ㄱ. D10:D11 셀 범위를 선택합니다.
ㄴ. 수식 입력줄에 다음 수식을 입력합니다:
=GROWTH(C2:C9, A2:A9, A10:A11)
known_y's
: C2:C9 (과거 판매량)known_x's
: A2:A9 (과거 기간 인덱스)new_x's
: A10:A11 (예측할 기간 인덱스)
ㄷ. Ctrl + Shift + Enter를 누릅니다
이렇게 숫자 인덱스를 사용하면 known_x's
와 new_x's
를 명확하게 지정하여 더 정확한 예측을 할 수 있어요.
예제 3: 연도별 구독자 수 증가 예측 (광고 예산 투입 변수 고려)
이번에는 지난 8년간의 연도별 구독자 수와 함께 해당 연도의 광고 예산도 고려해서 내년도 구독자 수를 예측해 볼게요.
데이터 (CSV 형식):
연도,광고예산(백만원),구독자수
2017,8,3000
2018,9,3800
2019,10,5000
2020,12,6500
2021,11,6000
2022,15,8500
2023,13,7800
2024,16,9500
2025,18,
수식 입력:
- D10 셀을 선택합니다.
- 수식 입력줄에 다음 수식을 입력합니다:
known_y's
: C2:C9 (과거 구독자 수)known_x's
: A2:B9 (과거 연도 및 광고 예산)new_x's
: A10:B10 (예측하려는 연도 및 광고 예산)
=GROWTH(C2:C9, A2:B9, A10:B10)
- Enter를 누릅니다. (단일 셀 결과이므로 대부분 Enter로 가능)
결과 : 13229.86
이렇게 하면 2025년에 광고 예산을 18(백만원) 투입했을 때 예상되는 구독자 수를 더 많은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할 수 있어요. 훨씬 신뢰도가 높아지겠죠? 😉
🤔 GROWTH 함수 사용 시 흔한 오류들, 미리 알고 대처해요!
GROWTH 함수에서 자주 발생하는 오류와 그 원인을 알아두면 당황하지 않고 해결할 수 있어요.
#VALUE!
오류known_y's
또는known_x's
또는new_x's
의 데이터 중 일부가 숫자로 변환될 수 없는 텍스트일 경우.- 잘못된 셀 참조를 사용했을 때 나타나요. 예를 들어, 삭제된 시트의 셀을 참조하는 경우죠.
#REF!
오류known_y's
와known_x's
의 데이터 개수가 일치하지 않을 때 발생해요. (예: y값은 10개인데 x값은 9개)
#NUM!
오류- GROWTH 함수가 유효한 결과를 찾을 수 없을 때 발생해요. 예를 들어,
known_y's
값들이 모두 0이거나 음수여서 지수 성장 모델을 적용할 수 없을 때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예측된 값이 너무 크거나 작아서 엑셀이 숫자로 표현하기 어려울 때도 발생할 수 있어요.
- GROWTH 함수가 유효한 결과를 찾을 수 없을 때 발생해요. 예를 들어,
오류 메시지가 뜨면 가장 먼저 입력한 데이터 범위와 값들을 꼼꼼히 확인해 보세요!
🎉 마무리하며: GROWTH 함수로 여러분의 예측 능력을 레벨업!
오늘은 엑셀의 GROWTH 함수를 활용하여 미래 데이터를 예측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어요. 처음에는 조금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몇 번만 직접 사용해 보면 금방 익숙해지실 거예요.
GROWTH 함수를 잘 활용하면,
- 업무 보고서 작성 시 객관적인 미래 예측 자료를 제시할 수 있고,
-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답니다.
오늘 배운 내용, 그냥 눈으로만 보지 마시고 꼭 직접 엑셀을 열어서 따라 해 보세요. 궁금한 점이나 잘 안되는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질문 남겨주시고요! 여러분의 엑셀 실력 향상을 항상 응원합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공유도 잊지 마세요! 😉
📱 바쁘다 바빠 현대사회! 모바일용 핵심 요약
엑셀 GROWTH 함수, 이것만 알면 끝!
- GROWTH 함수란? 과거 데이터(y값, 선택적 x값)를 기반으로 미래의 지수적 성장 값을 예측하는 함수. (y = b*m^x)
- 기본 구문:
known_y's
: 과거 결과값 (필수)[known_x's]
: 과거 원인/기간 값 (선택)[new_x's]
: 예측할 시점의 원인/기간 값 (선택)[const]
: TRUE(기본값) 또는 FALSE (y절편 처리 방식)
GROWTH(known_y's, [known_x's], [new_x's], [const])
- 핵심 사용법:
- 예측할 셀(들)을 먼저 선택 후 수식 입력.
- 구버전 엑셀은 Ctrl+Shift+Enter (배열 수식).
- 예시:
=GROWTH(과거매출액범위, 과거기간범위, 예측기간범위)
- 주요 특징:
- 데이터가 일정한 '비율'로 증가/감소할 때 유용.
- 선형 추세(TREND)와 구분해서 사용.
- 주의! 데이터는 숫자여야 하고,
known_y's
와known_x's
의 개수는 일치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