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AVERAGEIFS 함수 다중 조건 평균 완벽 정복 실무 능력 UP! (2025)

안녕하세요, 엑셀러 여러분! 😊 업무를 하다 보면, 여러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데이터들의 평균을 구해야 할 때가 정말 많죠? 예를 들어 "A부서이면서 과장 직급인 직원들의 평균 연봉"이라든지, "특정 제품군 중에서 특정 분기에 판매된 상품들의 평균 판매량" 같은 경우요. 이럴 때마다 필터 걸고, 따로 계산하고... 번거로우셨죠? 😥

 

📌 AVERAGEIFS 함수는 여러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셀들의 평균을 쉽고 빠르게 구해주는 똑똑한 함수예요!

 

오늘 저와 함께 AVERAGEIFS 함수를 완벽하게 마스터하고, 여러분의 엑셀 작업 효율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해 보세요! 칼퇴를 부르는 마법, 지금 시작합니다! 🚀

 

📚 AVERAGEIFS 함수, 너 누구냐? 기본부터 탄탄히!

AVERAGEIFS 함수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AVERAGE (평균)와 IFS (여러 조건들)의 조합이에요. 즉, 지정된 여러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데이터들의 산술 평균을 계산해 주는 아주 유용한 함수랍니다.

 

1. 함수 구문 (Syntax):

AVERAGEIFS(average_range, criteria_range1, criteria1, [criteria_range2, criteria2], ...)

어렵고 복잡해 보이지만, 하나씩 뜯어보면 별거 아니에요! 😉

 

2. 함수 인수 설명 (Arguments):

  • average_range (필수): 실제로 평균을 계산할 셀 범위입니다. 숫자 데이터가 있는 열을 지정해야겠죠?
  • criteria_range1 (필수): 첫 번째 조건을 검사할 셀 범위입니다.
  • criteria1 (필수): criteria_range1에서 찾을 첫 번째 조건입니다. 숫자, 텍스트, 식, 또는 셀 참조를 사용할 수 있어요. (예: 32, "사과", ">30", A1셀)
  • criteria_range2, criteria2, ... (선택): 두 번째, 세 번째 등 추가적인 조건을 검사할 범위와 조건입니다. 최대 127개의 조건 범위를 지정할 수 있답니다! (하지만 너무 많으면 수식이 복잡해지니 주의하세요!)

📝 잠깐! 주의할 점 (Notes):

  • average_range와 모든 criteria_range 인수는 행과 열의 수가 동일해야 합니다. 범위 크기가 다르면 #VALUE! 오류가 발생할 수 있어요.
  • average_range에 있는 셀 중 텍스트나 빈 셀은 평균 계산에서 제외됩니다. (숫자 형태의 텍스트는 숫자로 인식하지 않아요!)
  •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가 하나도 없다면 #DIV/0! 오류가 발생합니다. "결과 없음" 또는 0으로 처리하고 싶다면 IFERROR 함수와 함께 사용하는 센스!
  • 텍스트 조건을 사용할 때는 큰따옴표(" ")로 묶어주는 것 잊지 마세요! (예: "기획팀")
  • 숫자 조건에 부등호를 사용할 때도 큰따옴표로 묶어줍니다. (예: ">100", "<="&B1)

 

💼 실무 예제 따라 하며 AVERAGEIFS 완전 정복!

백문이 불여일견! 직접 예제를 통해 AVERAGEIFS 함수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아볼까요? 아래 예제들은 실제 업무에서 충분히 마주할 수 있는 상황들이니, 꼭 따라 해보세요!

 

예제 데이터 (CSV 형식):

아래 데이터를 엑셀 시트에 복사해서 붙여넣어 보세요. (A1 셀부터 시작)

부서,직급,이름,입사년도,연봉(만원),프로젝트참여여부,성과점수
기획팀,과장,김민수,2018,6500,Y,85
영업1팀,대리,이수진,2020,5200,Y,92
개발팀,사원,박철호,2022,4200,N,78
영업2팀,과장,최유리,2017,6800,Y,88
기획팀,대리,정다혜,2021,5000,N,81
개발팀,과장,강동원,2016,7200,Y,95
영업1팀,사원,한지민,2023,4000,Y,80
기획팀,부장,송강호,2012,8500,Y,90
개발팀,대리,전지현,2019,5800,N,86
영업2팀,사원,이정재,2022,4100,Y,75
인사팀,과장,김고은,2018,6300,N,82

 

예제 1: 기획팀이면서 직급이 과장인 직원들의 평균 연봉 구하기

수식:

=AVERAGEIFS(E2:E12, A2:A12, "기획팀", B2:B12, "과장")

인수:

  • 평균 계산 범위(average_range): E2:E12 (연봉)
  • 첫 번째 조건 범위(criteria_range1): A2:A12 (부서)
  • 첫 번째 조건(criteria1): "기획팀"
  • 두 번째 조건 범위(criteria_range2): B2:B12 (직급)
  • 두 번째 조건(criteria2): "과장"

예제1: 엑셀 AVERAGEIFS 함수 2중 조건 평균구하기

 

결과: 김민수 과장(6500만원)이 해당되므로, 결과는 6500 이 됩니다. (만약 기획팀 과장이 여러 명이라면 그들의 평균값이 나오겠죠?)

 

예제 2: 2020년 이후 입사자 중 프로젝트에 참여('Y')한 직원들의 평균 성과 점수 구하기

수식:

=AVERAGEIFS(G2:G12, D2:D12, ">=2020", F2:F12, "Y")

 

예제2: 엑셀 AVERAGEIFS 함수 다중 조건 평균 구하기2

 

결과: 이수진(92점), 한지민(80점), 이정재(75점) 직원이 해당되어, 이들의 평균 점수인 (92+80+75)/3 = 82.333... 이 계산됩니다.

 

예제 3: 연봉이 5000만원 이상이고 성과점수가 85점 이상인 '개발팀' 직원의 평균 연봉 구하기

수식:

=AVERAGEIFS(E2:E12, E2:E12, ">=5000", G2:G12, ">=85", A2:A12, "개발팀")

인수:

  • 평균 계산 범위(average_range): E2:E12 (연봉)
  • 첫 번째 조건 범위(criteria_range1): E2:E12 (연봉)
  • 첫 번째 조건(criteria1): ">=5000"
  • 두 번째 조건 범위(criteria_range2): G2:G12 (성과점수)
  • 두 번째 조건(criteria2): ">=85"
  • 세 번째 조건 범위(criteria_range3): A2:A12 (부서)
  • 세 번째 조건(criteria3): "개발팀"

예제3: 엑셀 AVERAGEIFS 함수 3가지 조건 만족하는 데이터 평균

 

결과: 강동원(7200만원), 전지현(5800만원) 직원이 해당됩니다. 이들의 평균 연봉인 (7200+5800)/2 = 6500 이 계산됩니다.

 

어때요? 직접 해보니 감이 좀 오시나요? 😊 조건만 잘 설정하면 IFS 함수 시리즈는 정말 강력한 분석 도구가 될 수 있답니다!

 

🤔 AVERAGEIFS 사용 시 흔한 오류와 해결 방법

함수를 사용하다 보면 예상치 못한 오류를 만날 때가 있죠. 자주 발생하는 오류와 해결 방법을 알아두면 당황하지 않고 대처할 수 있어요!

  1. #DIV/0! 오류
    • 원인: 지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가 하나도 없을 때 발생해요. 즉, 평균을 계산할 대상이 없다는 뜻이죠.
    • 해결:
      • 조건이 올바르게 입력되었는지 확인하세요. (오타, 띄어쓰기 등)
      • 데이터 범위가 정확한지 확인하세요.
      • 함수를 사용하여 오류 발생 시 특정 값(예: 0 또는 "해당 없음")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어요.
        • 예: =IFERROR(AVERAGEIFS(E2:E12, A2:A12, "없는부서", B2:B12, "없는직급"), "결과 없음")
  2. #VALUE! 오류
    • 원인:average_range와 criteria_range의 크기(행과 열의 수)가 다를 경우 발생합니다.
    • 해결:
      • 모든 범위 인수의 크기가 동일한지 다시 한번 확인하세요. 드래그 실수로 범위가 잘못 지정되는 경우가 많아요!
      • average_range 에 숫자 데이터만 있는지 확인하고, 텍스트 데이터는 숫자로 변환하거나 제외하세요.
  3. 결과값이 예상과 다르게 나올 때
    • 원인:
      • 텍스트 조건에 큰따옴표(" "를 빠뜨렸거나, 숫자 조건에 불필요한 따옴표를 사용했을 수 있어요.
      • 부등호와 같은 비교 연산자 사용법이 잘못되었을 수 있습니다. (예: ">50" 대신 >50 으로 입력)
      • 조건 범위나 평균 범위가 잘못 지정되었을 수 있습니다.
    • 해결: 수식의 각 인수를 차근차근 살펴보며 오타나 논리적 오류가 없는지 꼼꼼히 확인하세요. 특히 조건 부분!

 

💡 컴활 시험에도 단골! AVERAGEIFS

컴퓨터활용능력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이라면 AVERAGEIFS 함수는 정말 중요하게 다뤄지는 부분 중 하나예요! 특히 데이터베이스 함수인 DAVERAGE와 비교하며 그 차이점과 쓰임새를 묻는 문제가 자주 출제되곤 합니다.

  • AVERAGEIFS: 여러 조건을 표에서 직접 지정하여 유연하게 평균을 구할 수 있습니다. 조건 범위와 실제 데이터 범위가 분리되어 있어도 사용 가능해요.
  • DAVERAGE: 표 전체를 데이터베이스로 지정하고, 별도의 조건 입력 셀 범위를 만들어 조건을 지정합니다. 표 상단에 필드명(열 이름)이 반드시 있어야 하고, 조건 범위도 필드명을 포함해야 하는 특징이 있죠.

두 함수 모두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의 평균을 구한다는 점은 같지만, 사용 방식과 유연성에서 차이가 있으니, 컴활 준비생이라면 이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고 넘어가는 것이 좋겠죠? 😉

 

🤝 함께 성장해요!

자, 오늘 우리는 엑셀의 강력한 데이터 분석 도구 중 하나인 AVERAGEIFS 함수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어요.

 

여기서 와일드카드 기능은 포함되지 않았어요. IFS 함수 시리즈는 와일드카드(*,?) 사용이 가능하고 이를 조건식에 활용할 수 있어요. 이는 다음에 다시 살펴볼께요.

 

이제 여러분은 여러 조건을 조합하여 원하는 데이터의 평균을 자유자재로 계산할 수 있게 되셨을 거예요! 이 기능 하나만 잘 활용해도 데이터 분석의 질이 확 달라진답니다.

 

오늘 내용 중 이해가 안 되거나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질문 남겨주세요! 그리고 이 글이 유용했다면 주변 동료들이나 친구들에게도 공유해 주세요. 다음에 더 유익한 엑셀 팁으로 돌아오겠습니다. 그때까지 모두 열공! 🔥

 

이전 AVERAGEIFS 게시물 : https://secstart.tistory.com/557

 

 

작성자: 마늘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