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WORKDAY.INTL 함수 완전 정복: WORKDAY와의 결정적 차이점과 실무 활용 가이드

프로젝트 마감일을 계산하거나 업무일 기반의 일정 관리에서 어려움을 겪고 계신가요? 특히 회사마다 다른 휴무일 규정이나 지역별 공휴일 때문에 정확한 날짜 계산이 힘드셨을 거예요.

 

엑셀의 WORKDAY.INTL 함수는 이런 문제를 해결해주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기존 WORKDAY 함수보다 훨씬 유연하고 정교한 업무일 계산이 가능해요!

 

📌 [핵심] WORKDAY.INTL은 사용자 정의 주말과 공휴일을 반영해 정확한 업무일을 계산하는 고급 날짜 함수예요.

 

🔍 WORKDAY.INTL 함수 기본 개념

엑셀이 버전업 되면서 WORKDAY 함수의 발전된 형태입니다.

 

WORKDAY.INTL 함수는 시작 날짜에서 지정한 업무일 수만큼 더한 날짜를 반환하는 함수예요. 가장 큰 특징은 주말을 사용자가 직접 정의할 수 있다는 점이에요.

 

함수 구문

=WORKDAY.INTL(시작_날짜, 날짜_수, [주말], [공휴일])
=WORKDAY(시작_날짜, 일수, [휴일])

함수 인수 설명

  • 시작_날짜: 계산을 시작할 기준 날짜
  • 날짜_수: 더할 업무일 수 (음수도 가능)
  • 주말: (선택) 주말로 처리할 요일 지정 (WORKDAY 는 이 인수가 없음)
  • 공휴일: (선택) 공휴일 날짜 범위

 

WORKDAY.INTL 함수 주말 코드표

코드 주말(근무일 제외 요일)
1 토요일, 일요일 (기본값)
2 일요일, 월요일
3 월요일, 화요일
4 화요일, 수요일
5 수요일, 목요일
6 목요일, 금요일
7 금요일, 토요일
11 일요일만
12 월요일만
13 화요일만
14 수요일만
15 목요일만
16 금요일만
17 토요일만

참고 사항

  • 코드 1~7: 두 요일이 주말(근무일 제외).
  • 코드 11~17: 한 요일만 주말(근무일 제외).

📝 NOTE: 사용자 정의 주말 패턴은 "1111100" 같은 7자리 문자열로도 지정 가능해요. (1=주말, 0=평일, 왼쪽에서 월~일)

 

🆚 WORKDAY vs WORKDAY.INTL 핵심 차이점

WORKDAY 함수의 한계

  • 주말이 토요일, 일요일로 고정
  • 다른 요일을 주말로 설정 불가
  • 종교적/지역적 휴무일 반영 어려움

WORKDAY.INTL의 장점

  • 유연한 주말 설정: 어떤 요일이든 주말로 지정 가능
  • 국제적 대응: 중동(금요일, 토요일), 이스라엘(금요일, 토요일) 등
  • 다양한 근무 패턴: 4일 근무제, 교대 근무 등 반영 가능

 

📊 실무 활용 예제

예제 데이터

프로젝트명,시작일,소요일수,지역,특별휴무
프로젝트A,2024-01-15,20,한국,
프로젝트B,2024-02-01,15,UAE,금요일
프로젝트C,2024-03-01,30,이스라엘,토요일
프로젝트D,2024-04-01,25,한국,어린이날
프로젝트E,2024-05-01,10,미국,
글로벌A,2024-06-01,45,중동,금토휴무
글로벌B,2024-07-01,35,유럽,
시스템A,2024-08-01,40,일본,
마케팅A,2024-09-01,20,호주,
개발A,2024-10-01,50,싱가포르,
R&D프로젝트,2024-11-01,60,캐나다,
연말프로젝트,2024-12-01,15,브라질,

 

예제 1: 기본 사용법 (토일 휴무)

엑셀 WORKDAY.INTL 함수의 기본적인 사용법이에요.

=WORKDAY.INTL(B2, C2, 1)

예제1: 엑셀 WORKDAY.INTL 함수 기초적인 사용

설명: 시작일 기준 소요일을 근무일로 계산한 뒤의 날짜를 계산해요. 세번째 인수 1, 이는 한국의 일반적인 주5일 근무 (토일 휴무) 기준으로 마감일 계산하지요.

 

예제 2: 중동 지역 (금토 휴무)

WORKDAY.INTL 함수로 다른 요일을 주말로 지정해 봅니다.

=WORKDAY.INTL(B6, C6, 7)

예제2: 엑셀 WORKDAY.INTL 함수 주말 요일 지정

설명: 금요일과 토요일을 주말로 지정하고 있는 중동 지역에 필요한 계산 방법입니다.

 

예제 3: 공휴일 포함 계산

WORKDAY.INTL 함수로 공휴일을 제외하고 계산해요.

=WORKDAY.INTL(B4, C4, 1, {"2024-05-05";"2024-05-15"})

예제3: 엑셀 WORKDAY.INTL 공휴일을 배열로 추가하여 근무일에서 제외

설명: 어린이날과 부처님오신날을 공휴일로 제외하고 계산해요. 공휴일은 위 수식처럼 배열식이나 날짜가 입력된 범위 참조로 작성할 수 있어요.

 

예제 4: 사용자 정의 주말 (수목 휴무)

좀더 사용자 임의로 주말을 설정하는 방법이에요. WORKDAY.INTL 함수 대단해요.

=WORKDAY.INTL(B8, C8, "0011000")

예제4: 엑셀 WORKDAY.INTL 함수 요일별 휴무 지정

설명: 수요일과 목요일을 휴무일로 설정한 특수 근무 패턴을 지정할 수 있어요. 0은 평일, 1을 휴무, 이를 연속해서 월요일~일요일로 매칭. 텍스트로 설정해요. 유연함이 WORKDAY 는 따라올 수가 없네요.

 

⚠️ 사용 시 주의사항 및 오류 정리

1. #VALUE! 오류

=WORKDAY.INTL("잘못된날짜", 10, 1)

📝 NOTE: 시작_날짜가 올바른 날짜 형식이 아닐 때 발생해요. 날짜 형식을 확인하세요.

2. #NUM! 오류

=WORKDAY.INTL(DATE(2024,1,1), 9999999, 1)

📝 NOTE: 계산 결과가 엑셀의 날짜 범위(1900~9999년)를 벗어날 때 발생해요.

3. 주말 코드 오류

=WORKDAY.INTL(B2, C2, 25)

📝 NOTE: 존재하지 않는 주말 코드를 사용하면 #NUM! 오류가 발생해요. 유효한 코드(1~17)를 사용하세요.

 

💡 고급 활용 팁

팁 1: 조건부 주말 설정

=WORKDAY.INTL(B2, C2, IF(D2="중동", 7, 1))

팁 2: 동적 공휴일 목록

=WORKDAY.INTL(B2, C2, 1, F:F)

팁 3: 역산 계산

=WORKDAY.INTL(TODAY(), -30, 1)

설명: 오늘부터 30 업무일 전 날짜 계산

 

🔗 관련 함수

  • WORKDAY: 기본 업무일 계산 함수
  • NETWORKDAYS.INTL: 두 날짜 사이의 업무일 수 계산
  • WEEKDAY: 요일 번호 반환

 

🎯 마무리

WORKDAY.INTL 함수는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에서 꼭 필요한 도구예요. 단순히 토요일과 일요일만 주말로 인식하던 기존 WORKDAY 함수의 한계를 뛰어넘어, 다양한 문화권과 근무 패턴에 맞는 정확한 업무일 계산이 가능하답니다.

 

특히 해외 거래처와의 프로젝트나 글로벌 팀 운영에서 이 함수의 진가가 발휘돼요. 각 지역의 고유한 휴무일 패턴을 반영해 정확한 일정 관리와 의사소통이 가능하거든요.

 

이제 여러분도 WORKDAY.INTL 함수를 활용해서 더욱 정교하고 전문적인 일정 관리를 해보세요! 실무에서 바로 써먹을 수 있는 이런 함수들이 업무 효율성을 크게 높여줄 거예요.

 

공감하셨다면 공유도 부탁드려요! 📤

 

 

작성자: 마늘빵


📱 모바일용 간단 학습 가이드

WORKDAY.INTL 함수 요약

✅ 기본 구문

=WORKDAY.INTL(시작일, 일수, 주말코드)

✅ 주요 주말 코드

  • 1: 토일 휴무 (기본)
  • 7: 금토 휴무 (중동)
  • 11: 일요일만 휴무

✅ 핵심 차이점

  • WORKDAY: 주말이 토일로 고정
  • WORKDAY.INTL: 주말을 자유 설정

✅ 실무 활용

  • 프로젝트 마감일 계산
  • 국제 업무 일정 관리
  • 다양한 휴무 패턴 반영

✅ 주의사항

  • 올바른 날짜 형식 사용
  • 유효한 주말 코드 확인 (1~17)
  • 공휴일 범위 정확히 설정 (배열도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