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엑셀 DAYS 함수 사용법 완벽 가이드 - 날짜 차이 계산 마스터하기

업무를 하다 보면 프로젝트 기간 계산, 연차 일수 계산, 계약 만료일까지 남은 일수 등을 구해야 할 때가 정말 많아요. 매번 손으로 계산하기엔 너무 번거롭고 실수도 생기기 마련이죠.

 

엑셀의 DAYS 함수는 바로 이런 상황에서 정확하고 빠르게 두 날짜 사이의 일수를 계산해주는 아주 유용한 함수예요.

 

🔥 핵심: DAYS 함수는 두 날짜 사이의 일수를 정확히 계산하여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필수 함수입니다.

 

📋 DAYS 함수 기본 개념

DAYS 함수는 엑셀에서 두 날짜 사이의 일수를 계산하는 간단하면서도 강력한 함수예요. Excel 2013 이상 버전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프로젝트 관리부터 인사 업무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어요.

 

구문

=DAYS(종료_날짜, 시작_날짜)

매개변수(인수)

  • 종료_날짜: 계산 구간의 마지막 날짜 (필수)
  • 시작_날짜: 계산 구간의 첫 번째 날짜 (필수)

반환값(결과) DAYS 함수는 종료_날짜 에서 시작_날짜 를 뺀 일수를 정수로 반환해요. 양수, 음수, 0 모두 가능합니다.

 

📌 NOTE: 시작_날짜가 종료_날짜 보다 늦으면 음수가 반환됩니다. 날짜 순서를 확인해주세요!

 

🎯 DAYS 함수 사용 예제

실무에서 자주 사용되는 다양한 예제를 통해 DAYS 함수를 완벽하게 마스터해보세요!

 

📊 예제 데이터

사원명,입사일,프로젝트명,시작일,종료일,휴가시작일,휴가종료일,계약만료일
김철수,2023-01-15,웹사이트 개발,2024-01-01,2024-03-31,2024-06-01,2024-06-07,2025-01-14
이영희,2022-03-10,모바일앱 개발,2024-02-01,2024-05-15,2024-07-15,2024-07-22,2024-12-31
박민수,2023-06-20,데이터 분석,2024-01-15,2024-04-30,2024-08-01,2024-08-05,2025-06-19
정수연,2021-09-05,시스템 구축,2024-03-01,2024-08-31,2024-09-10,2024-09-17,2024-09-04
홍길동,2023-11-30,마케팅 캠페인,2024-04-01,2024-06-30,2024-10-01,2024-10-10,2025-11-29
송미라,2022-07-18,품질관리,2024-02-15,2024-07-31,2024-11-01,2024-11-08,2024-07-17
오준혁,2023-04-12,인프라 구축,2024-05-01,2024-10-31,2024-12-15,2024-12-25,2025-04-11
최지현,2021-12-03,보안강화,2024-01-20,2024-09-20,2025-01-01,2025-01-15,2024-12-02
윤태진,2023-08-25,교육시스템,2024-06-01,2024-11-30,2024-08-20,2024-08-30,2025-08-24
강유진,2022-05-14,ERP 구축,2024-03-15,2024-12-15,2024-05-01,2024-05-10,2024-05-13
노현우,2023-02-28,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2024-07-01,2024-12-31,2024-09-01,2024-09-07,2025-02-27

 

예제 1: 기본적인 일수 계산

프로젝트 기간 계산하기

=DAYS(E2, D2)

예제1: 엑셀 DAYS 함수의 기본사용 시작일과 종료일 사이 일수

이 수식은 웹사이트 개발 프로젝트의 총 기간을 계산해요. 2024년 3월 31일에서 2024년 1월 1일을 빼면 90일이 반환됩니다.

실무에서는 프로젝트 계획 수립 시 정확한 일정 산출이 필수인데, DAYS 함수로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어요.

 

예제 2: 일반적인 활용 - 근무일수 계산

입사일부터 오늘까지의 근무일수

=DAYS(TODAY(), B2)

예제2: 엑셀 DAYS 함수 입사일에서 오늘까지의 근무일수

TODAY 함수와 조합하여 각 사원의 현재까지 근무일수를 실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어요. 인사팀에서 연차 계산이나 근속연수 산정 시 매우 유용합니다.

 

예제 3: 휴가일수 계산

연차 휴가 일수 정확히 계산하기

=DAYS(G2, F2) + 1

예제3: 휴가 시작 종료일 사이의 휴가일수를 DAYS 함수로 계산

휴가종료일 에서 휴가시작일 을 빼고 1을 더해주면 실제 휴가일수가 나와요. 6월 1일부터 6월 7일까지 휴가를 냈다면 7일이 계산되어야 하는데, DAYS 함수는 6일을 반환하므로 +1을 해줘야 정확해요.

 

📌 NOTE: 휴가일수 계산 시에는 시작일과 종료일을 모두 포함해야 하므로 +1 을 잊지 마세요!

 

예제 4: 실무적 활용 - 계약 만료일 알림

계약 만료까지 남은 일수로 알림 시스템 구현

=DAYS(H2, TODAY())

예제4: 엑셀 DAYS 함수로 계약 만료일과 오늘의 일수 계산

오늘 날짜를 기준으로 계약 만료일까지 남은 일수를 계산해요. 음수가 나오면 이미 만료된 계약이고, 양수가 나오면 아직 유효한 계약이에요.

30일 이하가 남았을 때 갱신 알림을 보내는 등의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요.

 

⚠️ DAYS 함수 사용 시 주의사항 및 오류 정리

1. #VALUE! 오류

=DAYS("잘못된날짜", "2024-01-01")

📌 NOTE: 날짜 형식이 올바르지 않거나 텍스트를 입력했을 때 발생합니다. 날짜는 반드시 올바른 형식으로 입력해주세요.

2. #NUM! 오류

=DAYS(99999999, 1)

📌 NOTE: 엑셀에서 처리할 수 있는 날짜 범위를 벗어났을 때 발생합니다. 1900년 1월 1일부터 9999년 12월 31일까지만 유효해요.

3. 빈 셀 처리

=DAYS(A1, B1)  // A1 또는 B1이 빈 셀인 경우

📌 NOTE: 빈 셀은 0(1900년 1월 0일)으로 인식되어 예상과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IF 함수와 조합하여 처리하세요.

4. 날짜 순서 주의

=DAYS("2024-01-01", "2024-12-31")  // -364 반환

📌 NOTE: 시작_날짜가 종료_날짜보다 늦으면 음수가 반환됩니다. 절댓값이 필요하면 ABS 함수를 사용하세요.

 

🔗 관련 함수들

DAYS 함수와 유사한 기능을 하거나 함께 사용하면 더욱 강력한 관련 함수들을 소개해드려요:

  • DATEDIF: 년, 월, 일 단위로 세분화된 날짜 차이 계산
  • NETWORKDAYS: 주말과 공휴일을 제외한 실제 영업일 계산
  • WORKDAY: 영업일 기준으로 특정 일수 후의 날짜 계산
  • TODAY/NOW: 현재 날짜와 시간 반환
  • EDATE: 특정 개월 수를 더한 날짜 계산

 

✨ 마무리

DAYS 함수는 단순해 보이지만 업무에서 정말 자주 사용되는 핵심 함수예요. 프로젝트 관리부터 인사 관리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고, 다른 함수들과 조합하면 더욱 강력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요.

 

오늘 배운 DAYS 함수로 업무 효율성을 한 단계 높여보세요! 실무에서 바로 써먹을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니 꼭 활용해보시고, 도움이 되셨다면 공유도 부탁드려요! 💪

 

 

작성자: 마늘빵


📱 모바일용 DAYS 함수 퀵 가이드

🎯 한눈에 보는 DAYS 함수

구문: =DAYS(종료날짜, 시작날짜)
기능: 두 날짜 사이의 일수 계산
지원: Excel 2013 이상

💡 핵심 포인트 3가지

  1. 순서 중요: 종료날짜가 먼저, 시작날짜가 나중
  2. 음수 가능: 시작날짜가 더 늦으면 음수 반환
  3. +1 필요: 실제 포함일수는 결과에 1을 더하기

⚡ 자주 쓰는 패턴

프로젝트 기간: =DAYS(종료일, 시작일)
현재까지 일수: =DAYS(TODAY(), 기준일)  
휴가일수: =DAYS(휴가끝, 휴가시작)+1

🚨 흔한 실수

  • 날짜 형식 오류 → #VALUE!
  • 빈 셀 주의 → 예상과 다른 결과
  • 엑셀 날짜 범위 초과 → #NUM!

💬 바로 써먹기: 오늘부터 날짜 계산은 DAYS 함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