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혹시 외부에서 받은 엑셀 데이터에 정체불명의 특수문자나 공백이 섞여 있어서 필터나 함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던 경험, 다들 한 번쯤 있으시죠? "대체 이 문자는 뭐지?" 싶어서 일일이 지우느라 고생하셨을 거예요. 😭
오늘은 바로 그런 문제들을 한 방에 해결해 줄 똑똑한 함수, 엑셀 UNICODE 함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이 함수 하나만 제대로 알고 있어도 데이터 정제 속도가 획기적으로 빨라진답니다. 또 마음에 드는 이모지를 쉽게 사용할 수 있게 코드번호로 기억할 수 있어요. 자, 그럼 지금부터 저와 함께 UNICODE 함수의 세계로 떠나볼까요?
📌 [핵심] 눈에 보이는 모든 글자, 기호, 이모지를 컴퓨터가 아는 고유한 숫자로 바꿔주는 마법 같은 함수, UNICODE를 파헤쳐 봅시다!
📘 UNICODE 함수란 무엇일까요?
가장 쉽게 말해 UNICODE 함수는 텍스트의 '주민등록번호' 를 알려주는 함수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우리가 눈으로 보는 모든 글자, 숫자, 특수문자, 심지어 이모지(😉)까지 컴퓨터는 고유한 숫자(코드)로 인식하거든요. UNICODE 함수는 바로 그 고유한 숫자 코드를 찾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함수 구문
=UNICODE(text)
인수 설명
- text : 유니코드 값을 알고 싶은 문자나 문자가 포함된 셀을 지정합니다. 딱 하나, 아주 간단하죠?
⚠️ Note:
text 인수에 여러 글자를 입력해도, UNICODE 함수는 무조건 첫 번째 글자의 코드 값만 반환해요. 예를 들어 =UNICODE("가나다") 라고 입력하면 '가' 의 유니코드 값인 44032 만 알려준답니다.
- 반대로 숫자 코드를 문자로 바꾸고 싶을 땐 짝꿍 함수인 UNICHAR 함수를 사용하면 돼요!
관련 게시물: [기타 함수] 엑셀 CODE 로 문자의 아스키코드 표시하기
🛠️ 상황별 UNICODE 함수 사용 예제
백문이 불여일견! 실제 업무에서 UNICODE 함수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다양한 예제를 통해 알아볼게요.
예제 1: 기본 사용법 (문자, 특수문자 코드 확인하기)
가장 기본적인 사용법이에요. 특정 문자들이 어떤 유니코드 값을 갖는지 확인해 볼까요?
[데이터]
"문자","유니코드 값"
"A",
"B",
"a",
"가",
"나",
"★",
"♥",
"😊",
"👍",
"※",
[수식]
B2 셀에 다음 수식을 입력하고 아래로 채워보세요.
=UNICODE(A2)
[결과]
'A' 는 65, '가' 는 44032, '★' 는 9733, '😊' 는 128522 라는 고유한 코드 값을 가지고 있다는 걸 바로 알 수 있죠.
예제 2: 중급 활용 (IF 함수와 함께 조건부 수식 만들기)
이번엔 상품 목록에 한글 외에 다른 문자로 시작하는 경우, "확인 필요" 라고 표시해 볼게요. 한글 음절의 유니코드 범위는 44032(가) 부터 55203(힣) 까지예요. 이 범위를 벗어나는 문자가 첫 글자로 오면 표시를 해주는 거죠.
[데이터]
"상품코드","상품명","비고"
"KR-001","사과",
"KR-002","바나나",
"US-003","ⓒApple",
"KR-004","오렌지",
"JP-005","ぶどう",
"KR-006","수박",
"CN-007","西瓜",
"RU-008","арбуз",
"KR-009","포도",
"KR-010","[특가]딸기",
[수식]
C2 셀에 다음 수식을 입력하고 아래로 채워보세요.
=IF(OR(UNICODE(B2)<44032, UNICODE(B2)>55203), "확인 필요", "정상")
[결과]
상품명의 첫 글자가 한글 범위를 벗어나는 'ⓒApple', 'ぶどう', '西瓜', 'арбуз', '[특가]딸기' 행에 "확인 필요" 라는 메시지가 정확히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데이터 검수할 때 정말 유용하겠죠?
예제 3: 고급 활용 (특정 기호로 시작하는 데이터 필터링)
고객 데이터에 전화번호 기호(☎) 로 시작하는 행만 찾아내고 싶을 때 어떻게 할까요? FILTER 함수와 함께 사용하면 아주 간단합니다. 먼저 UNICODE("☎") 는 9742 라는 걸 기억해두세요.
[데이터]
"고객명","연락처"
"김철수","010-1234-5678"
"박영희","☎ 02-987-6543"
"이민준","010-1111-2222"
"최유리","☎ 031-333-4444"
"정수호","010-5555-6666"
"강민지","(사무실) 02-123-4567"
"오지훈","☎ 051-777-8888"
"유하나","[휴대폰] 010-9999-0000"
"백도현","070-1234-5678"
"서진아","☎ 062-234-5678"
[수식]
결과를 표시하고 싶은 셀에 아래 수식을 입력합니다. (이 수식은 Microsoft 365/Excel 2021 이상 버전의 동적 배열 수식입니다)
=FILTER(A2:B11, UNICODE(LEFT(B2:B11, 1))=9742)
=FILTER(A2:B11, UNICODE(B2:B11)=9742) // UNICODE 함수는 첫글자만 비교하기에 LEFT 생략도 동일
[결과]
연락처 맨 앞에 전화 기호(☎)가 있는 박영희, 최유리, 오지훈, 서진아 고객의 데이터만 완벽하게 필터링해서 보여줍니다. LEFT 함수로 연락처의 첫 글자를 가져오고( UNICODE 함수는 첫글자만 처리하기에 LEFT 생략해도 동일 ), 그 첫 글자의 UNICODE 값이 9742인지를 판단하는 원리예요.
예제 4: 실무 활용 (보이지 않는 문자 'NBSP' 찾아내기)
웹에서 데이터를 복사해 붙여넣으면 눈에 보이지 않는 공백 문자인 NBSP(Non-Breaking Space) 가 딸려 오는 경우가 많아요. 이 녀석은 일반 스페이스바 공백과 달라서 TRIM 함수로도 안 지워지죠. NBSP 의 유니코드 값은 160 입니다.
[데이터]
"제품코드","상태"
"A-001 ",
"A-002",
"A-003 ",
"A-004",
"A-005",
"A-006 ",
"A-007 ",
"A-008",
"A-009",
"A-010",
위 데이터에서 제품코드 A-001, A-003, A-006, A-007의 끝에는 보이지 않는 NBSP 문자가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합니다.
[수식]
B2 셀에 아래 수식을 입력하고 아래로 채워보세요.
=IF(UNICODE(RIGHT(A2,1))=160, "NBSP 문자 포함", "정상")
[결과]
RIGHT 함수로 제품코드의 마지막 한 글자를 가져와 UNICODE 로 변환했을 때, 그 값이 160 인 행에 "NBSP 문자 포함" 이라고 정확히 알려줍니다. 이제 SUBSTITUTE 함수 등으로 쉽게 제거할 수 있겠죠?
관련 함수:
📌 엑셀 TRIM 함수 완벽 가이드 - 불필요한 공백 제거로 데이터 정리하는 방법
엑셀 CLEAN 함수의 숨겨진 활용법 2025년 실무 필수 스킬
📛 UNICODE 함수 사용 시 발생하는 오류
- #VALUE! : text 인수가 비어 있는 셀을 참조하거나, 유효하지 않은 문자열일 경우 발생합니다.
- #NAME? : 함수 이름을 UNCODE 등으로 잘못 입력했을 때 발생합니다. 항상 함수 이름이 정확한지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 함께 사용하면 좋은 관련 함수
- UNICHAR 함수: UNICODE 함수의 완벽한 파트너! 숫자 코드를 다시 문자나 기호로 바꿔줍니다. =UNICHAR(9733) → ★
- CODE 함수: UNICODE의 이전 버전 함수입니다. 구형 시스템과의 호환을 위해 존재하며, 윈도우환경에서는 아스키 코드를 반환합니다. 최신 엑셀 환경에서는 유니코드 문자를 모두 지원하는 UNICODE 함수 사용을 강력히 권장합니다.
- CHAR 함수: 아스키 코드를 문자로 변환하는 함수. CODE 함수와 파트너!
✨ 마무리하며
오늘은 엑셀 UNICODE 함수를 이용해서 문자를 숫자로 바꾸는 방법부터 데이터 정제에 활용하는 실무 꿀팁까지 알아봤어요. 처음에는 낯설 수 있지만, 오늘 배운 예제 몇 가지만 기억하고 활용하셔도 여러분의 엑셀 작업 효율은 놀랍게 달라질 거예요.
이제 정체불명 특수문자 앞에서 당황하지 마시고, 당당하게 UNICODE 함수로 정체를 밝혀내세요! 오늘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로 응원 부탁드리고, 동료들에게도 이 유용한 정보를 공유해서 함께 '엑셀 고수' 가 되어보는 건 어떨까요? 😊
작성자: 마늘빵
📱 모바일에서 빠르게 보는 핵심 요약
💌[엑셀 UNICODE 함수 1분 마스터]
- 기능: 문자, 기호, 이모지 → 고유 숫자 코드로 변환
- 구문: =UNICODE(셀 또는 "글자")
- 핵심: 여러 글자 입력 시 무조건 첫 글자만 인식!
- 실무 활용 꿀팁
- 한글 확인: =IF(OR(UNICODE(A1)<44032, UNICODE(A1)>55203), "에러", "정상")
- 보이지 않는 공백 찾기: 웹에서 복사한 데이터 끝 글자가 UNICODE 값 160 인지 확인!
- 짝꿍 함수: UNICHAR (숫자코드 → 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