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텍스트 날짜 변환, DATEVALUE 함수 하나로 끝내기 (날짜일련번호로 바꾸기)

 

혹시 다른 시스템에서 내려받은 데이터의 날짜가 분명 날짜인데도, 계산이 안 되거나 정렬이 이상하게 된 경험 없으신가요? 😫 그건 바로 엑셀이 그 날짜를 '텍스트'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에요.

 

오늘 배울 DATEVALUE 함수는 바로 이런 '가짜 날짜(텍스트)'를 '진짜 날짜(숫자)'로 변환해 주는 마법 같은 함수랍니다. 이 포스팅 하나로 DATEVALUE 함수의 기초부터 실무 활용까지 완벽하게 마스터하실 수 있을 거예요!

 

📌 [핵심] DATEVALUE 함수는 엑셀이 날짜로 인식하지 못하는 '텍스트 형태의 날짜'를 계산 가능한 '날짜 일련번호'로 변환해주는 필수 함수입니다.

 


🤔 DATEVALUE 함수, 대체 뭔가요?

엑셀에서 날짜는 사실 1900년 1월 1일을 숫자 1로 기준 삼아 하루가 지날 때마다 1씩 증가하는 '일련번호'로 저장돼요. 예를 들어, '2025-01-01'은 숫자 '45658'과 같죠. 우리가 보는 날짜 형식은 이 숫자에 서식을 입힌 것뿐이에요.

 

DATEVALUE 함수는 날짜처럼 생긴 텍스트(예: "2025-09-01")를 엑셀이 이해할 수 있는 바로 이 '날짜 일련번호'로 바꿔주는 역할을 합니다.

 

함수 구문

=DATEVALUE(date_text)

인수 설명

  • date_text : 변환하려는 날짜 텍스트입니다. 반드시 큰따옴표("")로 묶어주거나, 날짜 텍스트가 들어있는 셀을 참조해야 해요

📝 꼭 알아둘 점!

  • date_text 인수는 엑셀이 인식할 수 있는 날짜 형식이어야 해요. (예: "YYYY-MM-DD", "YYYY/MM/DD")
  • 함수 결과가 45991과 같은 숫자로 표시된다면 당황하지 마세요! 셀 서식을 '간단한 날짜' 또는 '자세한 날짜'로 변경하면 우리가 아는 날짜 형식으로 보입니다.

 


🚀 실전 예제 따라하며 마스터하기

백문이 불여일견! 직접 예제를 통해 어떻게 활용하는지 알아볼까요?

 

예제 1. 기본 사용법: 텍스트를 진짜 날짜로!

가장 기본적인 사용법이에요. 시스템에서 추출한 신청일자가 텍스트로 되어 있어 날짜 필터가 적용되지 않는 상황을 가정해 볼게요.

 

[데이터]

신청일자(텍스트),처리일자(DATEVALUE)
"2025-08-11",
"2025-08-12",
"2025-08-13",
"2025-08-15",
"2025-08-18",
"2025-08-19",
"2025-08-20",
"2025-08-21",

 

[수식 입력]

B2 셀에 아래 수식을 입력하고 채우기 핸들을 아래로 쭉- 끌어주세요.

=DATEVALUE(A2)

예제1. 엑셀 DATEVALUE 함수 날짜텍스트를 진짜 날짜로 바꾸기

 

[결과]

텍스트였던 신청일자가 엑셀이 정식으로 인정하는 날짜 데이터로 변환되어, 이제 날짜별 정렬이나 계산이 가능해집니다.

💬 참고.

신청일자가 텍스트 날짜가 아니라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때는 신청일자의 날짜를 텍스트로 변환해 예제에 적용해 보세요.

=TEXT(날짜, "YYYY-MM-DD")      // 날짜를 텍스트 형식의 날짜로 변환

 

관련 게시물: 엑셀 TEXT 함수 서식지정 실무활용 2025 완벽 마스터 가이드

 

예제 2. 중급 활용: YEAR, MONTH, DAY 함수와 조합하기

텍스트 형식의 계약일에서 연도, 월만 따로 추출하고 싶을 땐 어떻게 할까요? DATEVALUE 함수와 날짜 추출 함수를 함께 사용하면 간단히 해결됩니다.

 

[데이터]

계약일(텍스트),계약연도,계약월
"2024/10/25",,
"2024/11/05",,
"2024/11/21",,
"2024/12/01",,
"2025/01/15",,
"2025/02/20",,
"2025/03/10",,
"2025/04/01",,

 

[수식 입력]

계약연도(B2):

=YEAR(DATEVALUE(A2))

 

계약월(C2):

=MONTH(DATEVALUE(A2))

예제2. 엑셀 DATEVALUE 함수와 YEAR MONTH 의 조합 년도 월 얻기

 

[결과]

DATEVALUE 함수로 텍스트를 날짜로 먼저 바꾼 뒤, YEARMONTH 함수가 각각 연도와 월을 손쉽게 추출해냅니다.

 

예제 3. 고급 활용: 날짜 기간 계산하기 (feat. TODAY)

텍스트로 된 입사일 데이터를 바탕으로 오늘까지의 근무일수를 계산해볼까요? 오늘 날짜를 반환하는 TODAY 함수와 함께 사용하면 아주 유용해요.

 

[데이터]

입사일(텍스트),오늘까지 근무일수
"2020-03-02",
"2021-06-15",
"2022-01-10",
"2022-09-01",
"2023-05-22",
"2024-02-19",
"2024-11-04",
"2025-07-14",

 

[수식 입력]

B2 셀에 아래 수식을 입력하고 채워주세요. (TODAY 함수는 항상 현재 날짜를 반환해요!)

=TODAY()-DATEVALUE(A2)

예제3. TODAY 함수와 조합하여 DATEVALUE 함수로 기간 계산

 

[결과]

결과 셀의 서식을 '일반' 이나 '숫자' 로 변경하면, 각 직원별 총 근무일수가 정확하게 계산됩니다.

 

예제 4. 실무 꿀팁: 비표준 텍스트 날짜 변환 (SUBSTITUTE 활용)

가끔 "2025.09.01"처럼 하이픈(-) 이나 슬래시(/) 가 아닌 다른 문자로 날짜가 구분된 경우가 있어요. 이럴 땐 DATEVALUE가 바로 인식하지 못해 오류를 뱉어내죠. 이때 SUBSTITUTE 함수로 구분자를 표준 형식으로 바꿔주면 해결됩니다!

 

[데이터]

접수일(텍스트),변환된 날짜
"2025.08.01",
"2025.08.02",
"2025.08.05",
"2025.08.07",
"2025.08.11",
"2025.08.13",
"2025.08.14",
"2025.08.19",

 

[수식 입력]

B2 셀에 아래 수식을 입력해 보세요. 점(.)을 하이픈(-)으로 바꾼 뒤 날짜로 변환하는 원리예요.

=DATEVALUE(SUBSTITUTE(A2,".","-"))

예제4. 다른 형태의 텍스트 날짜를 변환후 DATEVALUE 로 진짜 날짜로

 

DATEVALUE 함수를 사용하지 않았다면 접수일의 날짜 형식은 바뀌지만(2025-08-01) 텍스트로 적용될거예요.

 

[결과]

인식할 수 없던 텍스트 날짜 형식이 완벽하게 날짜 데이터로 변환됩니다. 실무에서 정말 유용한 팁이니 꼭 기억해두세요! 🏆

 


⚠️ 자주 만나는 오류, 완벽 해결!

  • #VALUE! : 가장 흔한 오류예요. date_text의 날짜 형식을 25-09-01 과 같이 텍스트가 아닌 정상 날짜를 인수로 전달할 때 가장 많이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 #NAME? : 함수 이름을 DATEVALE처럼 오타를 냈을 경우 발생합니다. 함수명을 다시 한번 확인해 주세요.

💬 참고


엑셀의 DATEVALUE 함수는 생각보다 훨씬 똑똑합니다. 이 함수는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정된 '국가 및 언어(로캘, Locale)' 설정을 적극적으로 참고하여 날짜를 해석하려고 시도합니다.

"2025년 9월 1일": 한국어 언어권에서는 '년', '월', '일'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표준적인 날짜 표기법입니다. 따라서 한국어 로캘로 설정된 PC의 엑셀은 이 형식을 아주 자연스럽게 날짜로 인식합니다. 하지만, 영어 로캘 엑셀에서는 #VALUE! 오류를 발생합니다.

 


🤝 함께 쓰면 좋은 친구 함수들

  • DATE: 숫자 형태의 연, 월, 일을 직접 입력해서 날짜를 만들 때 사용해요.
  • TIMEVALUE: 시간 형태의 텍스트를 시간 일련번호로 변환해요. DATEVALUE의 시간 버전이죠!
  • TEXT: 날짜(포함 데이터)를 원하는 형식의 텍스트로 바꿀 때 사용해요. DATEVALUE와는 정반대의 역할을 하죠.
  • YEAR, MONTH, DAY: 날짜 데이터에서 각각 연, 월, 일만 추출할 때 사용해요.

 


✍️ 마무리하며

오늘은 텍스트로 된 날짜 때문에 고통받는 분들을 위한 구원투수, DATEVALUE 함수에 대해 알아봤어요. 단순히 텍스트를 날짜로 바꾸는 것을 넘어, 다른 함수들과 조합하여 데이터를 추출하고 기간을 계산하는 등 무궁무진하게 활용할 수 있답니다.

 

데이터 전처리의 기본 중의 기본인 날짜 다루기! 오늘 배운 DATEVALUE 함수만 잘 기억하셔도 여러분의 엑셀 작업 효율은 훨씬 올라갈 거예요. 직접 예제를 꼭 한번 따라 해보시고, 궁금한 점이나 여러분만의 활용 꿀팁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로 공유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공유는 제게 큰 힘이 됩니다! ❤️

 

 

작성자: 마늘빵


📱 [모바일 버전] 엑셀 DATEVALUE 1분 핵심 요약

✅ 용도

  • "2025-09-01" 처럼 생긴 텍스트(가짜 날짜)를 계산 가능한 날짜(진짜 날짜)로 변환

✅ 기본 구문

  • =DATEVALUE(날짜텍스트_셀)

✅ 실전 활용 꿀팁

  1. 날짜 계산: =TODAY()-DATEVALUE(A2) -> 오늘까지 며칠 지났는지 계산
  2. 연/월/일 추출: =YEAR(DATEVALUE(A2)) -> 텍스트 날짜에서 연도만 쏙!
  3. 형식 안 맞을 때: =DATEVALUE(SUBSTITUTE(A2,".","-")) -> "2025.09.01" 같은 형식도 변환 가능

✅ 대표 오류

  • #VALUE! 오류: 인수로 텍스트 날짜가 아닌 진짜 날짜 형식을 전달했을 때 발생. (예: 2025-9-1) -> 텍스트 형식인지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