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엑셀의 모든 것을 알려드리고픈 블로거입니다. 😊 혹시 다른 곳에서 복사해 온 숫자 데이터가 텍스트로 인식되어 계산이 안 되는 경험, 다들 한 번쯤 있으시죠? 매번 서식을 바꾸거나, 값을 복사해서 메모장에 붙여넣었다가 다시 엑셀로 옮기는 번거로운 작업을 하고 계셨나요? 이제 그런 불편함은 그만! 오늘 이 포스팅 하나로 여러분의 칼퇴를 보장해 드릴게요.
📌 [핵심] NUMBERVALUE 함수는 텍스트 형식의 숫자를 실제 숫자로 완벽하게 변환해 주는 아주 똑똑한 함수랍니다.
거의 같은 기능을 하는 VALUE 함수가 있지만, 보다 세밀한 기능으로 보다 확실한 변환이 가능한 함수입니다.
😮 NUMBERVALUE 함수, 대체 뭔가요?
엑셀에서 숫자가 포함된 텍스트를 진짜 '숫자' 데이터로 바꿔주는 고마운 친구예요. 웹사이트나 다른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가져왔을 때, 눈에는 숫자로 보여도 엑셀은 '글자'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거든요. 이럴 때 NUMBERVALUE 함수를 사용하면 순식간에 계산 가능한 숫자로 변신시킬 수 있답니다!
✅ 함수의 기본 구조 (Syntax)
NUMBERVALUE 함수의 기본 생김새는 아주 간단해요.
=NUMBERVALUE(Text, [Decimal_separator], [Group_separator])
✅ 함수에 들어가는 재료들 (인수)
- Text (필수): 숫자로 바꾸고 싶은 텍스트 데이터예요. 셀 주소를 넣거나, 직접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어요.
- Decimal_separator (선택): 텍스트에서 소수점을 구분하는 문자를 지정해요. 예를 들어 "3.14"라면 "."이 소수점 구분 기호죠.
- Group_separator (선택): 텍스트에서 천 단위 구분 기호를 지정해요. "1,000,000"이라면 "," 가 해당돼요.
✍️ 노트: Decimal_separator와 Group_separator는 생략할 수 있어요! 보통 한국 환경에서는 소수점은 온점(.), 천 단위 구분 기호는 쉼표(,)를 사용하기 때문에 엑셀이 알아서 잘 인식한답니다. 하지만 해외 데이터를 다룰 땐 이 인수들이 아주 유용하게 쓰일 수 있어요.
🚀 NUMBERVALUE 함수, 이렇게 사용해 보세요! (예제 4가지)
백문이 불여일견이죠? 바로 예제를 통해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볼게요.
예제 1. 기본 사용법: 텍스트 숫자를 숫자로 바꾸기
NUMBERVALUE 함수의 가장 기본적인 사용법이에요.
데이터:
제품 코드 (텍스트),변환 결과
'1001,1001
'1002,1002
'1003,1003
'1004,1004
'1005,1005
'1006,1006
'1007,1007
'1008,1008
수식:
=NUMBERVALUE(A2)
왼쪽에 있는 '제품 코드'는 사실 텍스트로 입력되어 있어서 SUM 함수로 합계를 구할 수 없어요.(A11 합계는 0) 이걸 NUMBERVALUE 함수로 숫자로 바꿔 합계를 구하면 정상 계산이 이뤄져요. (B11 합계는 8036)
이런 간단한 기본 변환은 VALUE 함수가 편할 수도 있어요.
예제 2. 중급 활용: 통화기호(₩)와 천 단위 구분 기호(,)가 포함된 텍스트 숫자 변환
회계 자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통화 기호와 천 단위 쉼표가 포함된 텍스트예요. 이런 경우에도 NUMBERVALUE는 똑똑하게 숫자로 바꿔준답니다.
데이터:
매출액 (텍스트),변환 결과
"₩1,250,000",1250000
"₩2,340,000",2340000
"₩850,000",850000
"₩4,120,500",4120500
"₩980,000",980000
"₩1,100,000",1100000
"₩3,200,000",3200000
"₩5,500,000",5500000
수식:
=NUMBERVALUE(A2)
통화기호도 천단위 구분자도 텍스트에서 제거하고, 수치로 변환해요. 이미 배운 VALUE 함수도 가능한 기능입니다.
예제 3. 고급 활용: 다른 구분 기호를 사용하는 해외 데이터 변환
이번엔 조금 특별한 경우예요. 유럽 일부 국가에서는 소수점과 천 단위 구분 기호를 우리나라와 반대로 사용해요 (예: 1.234,56). 이럴 때 인수를 지정해서 정확하게 변환할 수 있죠!
데이터:
유럽식 금액 (텍스트),변환 결과
"1.234,56",1234.56
"15.000,00",15000
"2.500,75",2500.75
"999,99",999.99
"123.456,78",123456.78
"7.890,12",7890.12
"50,00",50
"1.000.000,00",1000000
수식:
=NUMBERVALUE(A2,",",".")
위 수식의 의미는 "소수점은 쉼표(,)로, 천 단위 구분 기호는 온점(.)으로 인식해서 숫자로 바꿔줘!" 라는 뜻이에요. VALUE 함수는 이런 기능이 없기에 #VALUE! 오류가 생겨요. 이럴 때 NUMBERVALUE 함수가 필요한 거죠.
예제 4. 실무 활용: 텍스트와 숫자가 섞인 데이터에서 숫자만 추출 후 계산 (feat. RIGHT 함수)
실무에서는 "KRW 1,500"처럼 통화 기호와 숫자가 함께 있는 경우가 많죠? 이럴 땐 다른 함수와 조합하여 숫자만 쏙 빼내서 변환할 수 있어요.
데이터:
판매 가격 (텍스트),숫자만 추출 후 변환
"KRW 1,500",1500
"KRW 23,000",23000
"KRW 5,400",5400
"KRW 120,000",120000
"KRW 8,900",8900
"KRW 750",750
"KRW 4,250",4250
"KRW 33,000",33000
수식:
=NUMBERVALUE(RIGHT(A2,LEN(A2)-4))
RIGHT(A2,LEN(A2)-4) 수식은 "KRW " 라는 4글자를 제외한 오른쪽 부분(숫자)만 가져오라는 의미예요. 그 결과를 NUMBERVALUE가 숫자로 바꿔주는 거죠!
🧐 이런 오류가 발생할 수 있어요! (오류 해결)
- #VALUE!: 이 오류가 가장 흔해요. 변환하려는 텍스트에 숫자나 지정된 구분 기호 외에 다른 문자(예: "abc123")가 포함되어 있으면 발생해요. 데이터에 순수하게 숫자 관련 텍스트만 있는지 꼭 확인해 주세요!
👍 함께 쓰면 좋은 친구 함수들
- VALUE 함수: NUMBERVALUE와 거의 비슷하지만, 구분 기호를 직접 지정하는 기능은 없어요. 간단한 텍스트 숫자를 바꿀 때 유용해요.
- LEFT, RIGHT, MID 함수: 오늘 예제처럼 텍스트의 일부만 잘라내서 숫자로 바꿔야 할 때 환상의 짝꿍이에요.
- TRIM 함수: 눈에 보이지 않는 불필요한 공백 때문에 숫자로 인식이 안 될 때가 있어요. TRIM 함수로 공백을 먼저 제거해주면 좋아요!
💙 총정리 및 마무리
오늘은 엑셀에서 텍스트로 된 숫자를 진짜 숫자로 바꿔주는 마법 같은 함수, NUMBERVALUE에 대해 알아봤어요. 이제 더 이상 지저분한 데이터를 보고 한숨 쉬지 마세요! 오늘 배운 NUMBERVALUE 함수 하나면 어떤 형태의 텍스트 숫자든 손쉽게 변환해서 바로 계산에 활용할 수 있답니다. 여러분의 엑셀 작업 효율이 팍팍 올라가는 소리가 들리네요! 🚀
오늘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리고,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질문 남겨주세요! 여러분의 엑셀 능력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되는 그날까지 함께 할게요!
작성자: 마늘빵
📱 모바일에서 빠르게 보는 핵심 요약
✅ 엑셀 NUMBERVALUE 함수 배우기
- WHAT (무엇인가요?): 텍스트 형식의 숫자 (예: "1,200")를 계산 가능한 실제 숫자 (1200)로 변환하는 함수.
- HOW (어떻게 쓰나요?): =NUMBERVALUE(바꿀 텍스트, [소수점 기호], [천 단위 기호])
- EXAMPLE (예시):
- =NUMBERVALUE("1,500") ➡️ 1500 으로 변환
- =NUMBERVALUE("1.234,56", ",", ".") ➡️ 유럽식 숫자 표기를 1234.56 으로 변환
- ERROR (오류): #VALUE! 오류는 텍스트에 숫자 외 문자가 섞여있을 때 발생.
- TIP (활용): LEFT, RIGHT 함수와 함께 쓰면 "KRW 1,500" 같은 데이터에서 숫자만 추출해 변환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