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LEFT 함수 사용법, 왼쪽 글자 추출부터 응용까지 완벽 정리 (실무 예제 포함)

 

안녕하세요! 엑셀 데이터를 만지다 보면 긴 텍스트에서 딱 앞부분 몇 글자만 쏙 빼내고 싶을 때가 정말 많죠? 예를 들어, 'KR-2025-PRODUCT' 같은 제품 코드에서 국가 코드 'KR'만 분리해야 할 때 말이에요. 일일이 손으로 입력하고 계셨다면, 오늘 이 글이 여러분의 작업 시간을 확 줄여줄 거예요!

 

📌 [핵심] LEFT 함수는 셀에 있는 텍스트의 왼쪽을 기준으로, 내가 원하는 개수만큼 글자를 추출하는 아주 유용한 함수예요.

 


🤔 엑셀 LEFT 함수, 대체 뭔가요?

LEFT 함수는 이름 그대로 '왼쪽(LEFT)'에서 글자를 가져오는 함수예요. 복잡한 텍스트 데이터에서 특정 부분을 깔끔하게 분리하고 싶을 때 가장 먼저 떠올려야 할 기본 중의 기본 함수랍니다!

 

함수 구문: 

=LEFT(text, [num_chars])

인수 설명:

text: 글자를 추출할 원본 텍스트 또는 셀 주소를 의미해요. (필수)

[num_chars]: 왼쪽에서부터 가져올 글자 수를 지정해요. 만약 이 값을 생략하면 기본값인 1, 즉 한 글자만 가져온답니다. (선택)

💡 Note: num_chars는 0보다 크거나 같아야 해요. 만약 원본 텍스트의 전체 길이보다 큰 숫자를 입력하면, 텍스트 전체가 표시된답니다.

 


💻 실무 예제로 배우는 LEFT 함수 활용법

백문이 불여일견! 바로 실무 예제를 통해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아볼까요?

 

예제 1: 기본 사용법 - 상품 코드에서 분류 코드 추출하기

가장 기본적인 사용법이에요. 상품 코드의 앞 두 자리는 상품 분류를 의미한다고 가정해 볼게요.

 

[데이터]

상품코드,상품명
KR-A001,스마트폰
US-B002,노트북
JP-C003,태블릿
KR-D004,모니터
CN-A005,키보드
US-C006,마우스
JP-B007,이어폰
KR-A008,충전기

 

[수식 및 결과]

D2 셀에 아래 수식을 입력하고 아래로 쭉 채워보세요.

=LEFT(A2, 2)

예제1. 엑셀 LEFT 함수로 왼쪽 기출 문자열 추출 기본

 

설명: A2 셀에 있는 'KR-A001' 텍스트에서 왼쪽을 기준으로 2글자를 가져오라는 의미예요. 정말 간단하죠?

 

예제 2: 함수 조합 - 이름만 깔끔하게 추출하기 (feat. FIND)

이번엔 조금 더 스마트하게 응용해 볼까요? 직원 명단에서 이름 뒤에 붙은 직급을 제외하고 이름만 가져오고 싶어요. 그런데 사람마다 이름 글자 수가 다르네요! 이럴 땐 특정 글자('-')의 위치를 찾아주는 FIND 함수와 함께 사용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요.

 

[데이터]

직원정보,부서
김엑셀-대리,기획팀
박시트-사원,영업팀
이피벗-과장,마케팅팀
최차트-팀장,디자인팀
정함수-대리,개발팀
윤데이터-사원,인사팀
강자동화-과장,기획팀

 

[수식 및 결과]

D2 셀에 수식을 입력하고 아래로 채워주세요.

=LEFT(A2, FIND("-", A2) - 1)

예제2. 엑셀 LEFT 함수와 FIND 함수 조합 - 특정문자 기준 추출

 

설명:

ㄱ. FIND("-", A2)가 먼저 실행되어 '-' 문자의 위치(4번째)를 찾아요.

ㄴ. 이름은 '-' 바로 앞에 있으니, 찾은 위치에서 1을 빼줍니다 (4 - 1 = 3).

ㄷ. 결과적으로 LEFT(A2, 3)와 같은 효과가 되어 '김엑셀'이라는 3 글자를 가져오게 됩니다.

ㄹ. '윤데이터-사원'의 경우 '-'가 5번째에 있으니 LEFT(A7, 4)이 실행되어 '윤데이터'를 정확히 추출하죠!

 

이 함수 조합( LEFT + FIND )이 TEXTBEFORE 함수를 대체 할 수 있어요.

 

예제 3: 실무 활용 - 입사 연도만 추출하기

사원번호가 '입사연도 4자리 + 부서코드 2자리 + 일련번호 3자리'로 구성되어 있을 때, 입사 연도만 분리해 볼까요?

 

[데이터]

사원번호,사원명
2023MK001,김민준
2024DV002,이서연
2023FN003,박도윤
2025HR004,최은우
2024MK005,정하윤
2023DV006,강지호
2025FN007,윤서아
2024HR008,임이준

 

[수식 및 결과]

D2 셀에 수식을 입력하고 채워보세요.

=LEFT(A2, 4)

예제3. 엑셀 LEFT 함수로 사원번호에서 필요 연도 추출

 

설명: 사원번호의 왼쪽에서 4글자는 입사 연도를 의미하므로, 간단하게 4 를 입력하여 연도 정보만 쉽게 분리할 수 있습니다.

 


⚠️ 이런 오류는 조심하세요!

LEFT 함수 사용 시 가끔 #VALUE! 오류를 만날 수 있어요.

  • 원인: num_chars 인수에 음수(0보다 작은 수)를 입력했을 때 발생해요.
  • 해결: 추출할 글자 수는 항상 0 또는 양수여야 합니다. FIND, SEARCH 같은 함수와 조합해서 사용할 때 계산 결과가 음수가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해요!

 


함께 쓰면 더 강력한 친구 함수들

LEFT 함수를 배웠다면, 이 함수들도 꼭 알아두세요! 텍스트 나누기 작업의 효율을 200% 올려줄 거예요.

  • RIGHT 함수: LEFT의 반대! 텍스트의 오른쪽을 기준으로 글자를 추출해요.
  • MID 함수: 텍스트의 중간에서 원하는 위치와 개수만큼 글자를 추출해요.

이 세 가지 함수만 마스터해도 웬만한 텍스트 데이터는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게 된답니다!

 


💗 오늘 배운 내용, 한눈에 정리하기

오늘은 엑셀의 필수 함수인 LEFT에 대해 배워봤어요. 단순히 왼쪽 글자를 자르는 기본 기능부터, FIND 함수와 조합하여 글자 수가 다른 데이터도 유연하게 처리하는 방법까지 알아보았죠. 이제 복잡한 코드나 데이터 앞에서 당황하지 말고, LEFT 함수로 필요한 정보만 쏙쏙 뽑아내 보세요!

 

오늘 배운 내용이 유용하셨다면 공감과 댓글 꼭 부탁드려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질문 남겨주시고요. 여러분의 응원이 더 좋은 콘텐츠를 만드는 데 큰 힘이 된답니다. 😊

 

 

작성자: 마늘빵


📱 모바일용 LEFT 함수 퀵가이드

바쁘신 분들을 위해 모바일 화면에 최적화된 초간단 요약본을 준비했어요. 이미지만 쓱쓱 넘겨본다는 느낌으로 가볍게 읽어보세요!

 

1️⃣ LEFT 함수, 뭐하는 건가요?

  • 한마디 정의: 지정한 텍스트의 왼쪽부터 원하는 글자만 쏙! 뽑아오는 기능
  • 🤔 언제 쓸까?: "KR-S-001"에서 "KR"만, "2025년-프로젝트"에서 "2025"만 필요할 때!

2️⃣ 기본 공식 (이것만 외우세요!)

  • 구문: =LEFT(셀, 가져올 글자 수)
  • 예시: A1셀에 엑셀은재밌다가 있다면?
    • =LEFT(A1, 2)결과: 엑셀
    • =LEFT(A1, 4)결과: 엑셀은재

3️⃣ 실전 꿀팁 (feat. FIND)

  • 문제: "김대리", "박과장님" 처럼 가져올 글자 수가 다를 땐?
  • 해결: 특정 글자 위치를 찾아주는 FIND와 함께 쓰세요!
    • A2 셀에 김민준-사원
    • 수식: =LEFT(A2, FIND("-", A2) - 1)
    • 결과: 김민준 ('-' 위치를 찾아서 그 바로 앞까지만 추출)

4️⃣ 짝꿍 함수 (이것도 알아두면 👍)

  • 오른쪽 글자 추출 ➔ RIGHT 함수
  • 중간 글자 추출 ➔ MID 함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