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엑셀의 모든 것을 쉽고 재미있게 알려드리는 블로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혹시 팀원들의 월별 실적 데이터를 보면서 '데이터가 왜 이렇게 들쑥날쑥하지?' 또는 '우리 제품 무게가 얼마나 일정하게 생산되고 있을까?' 같은 고민을 해보신 적 있나요? 이처럼 데이터가 흩어진 정도, 즉 '변동성'을 파악하는 것은 데이터 분석의 첫걸음이에요.
오늘은 바로 이 데이터의 흩어진 정도를 숫자로 명확하게 보여주는 아주 유용한 통계 함수, 엑셀 VAR 함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통계 용어라고 해서 전혀 어렵지 않으니, 저만 믿고 따라오세요!
📌 [핵심] 엑셀 VAR 함수는 데이터가 평균에서 얼마나 흩어져 있는지, 즉 '분산'을 계산하는 통계 함수예요.
📊 엑셀 VAR 함수, 대체 뭔가요?
엑셀에서 '분산' 을 구하는 함수가 바로 VAR 함수예요. 여기서 분산(Variance)이란, 데이터들이 평균값으로부터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랍니다.
- 분산 값이 크다? ➞ 데이터들이 평균을 중심으로 넓게 흩어져 있다 (변동성이 크다).
- 분산 값이 작다? ➞ 데이터들이 평균 주변에 옹기종기 모여 있다 (변동성이 작고 안정적이다).
이해되셨나요? 그럼 이제 함수의 기본 구조부터 살펴볼게요!
함수 구문 (기본 형식)
=VAR(number1, [number2], ...)
함수 인수 설명
number1 : (필수) 분산을 계산하려는 데이터 범위 또는 숫자예요. 보통은 셀 범위를 지정하죠. (예: C3:C12)
[number2], ... : (선택) 추가적으로 포함할 데이터 범위나 숫자예요. 최대 255개까지 지정할 수 있어요.
📝 노트
VAR 함수는 엑셀의 오래된 버전과의 호환성을 위해 남아있는 함수예요. 최신 엑셀(2010 이상)에서는 표본의 분산을 구하는 VAR.S 함수를 사용하는 것을 공식적으로 권장하고 있답니다. 기능은 거의 동일하니 VAR 를 배우시면 VAR.S 도 바로 사용하실 수 있어요! 또한, VAR 함수는 숫자와 숫자로 인식되는 텍스트만 계산하며, 그 외 텍스트나 논리값(TRUE/FALSE)은 무시해요.
💡 실전 예제로 따라하며 배우기
백 마디 설명보다 한 번의 실습이 낫겠죠? 아래 예제를 통해 VAR 함수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직접 경험해 보세요!
예제 1: 팀원별 월간 판매량 분산 구하기 (기본)
A팀 팀원들의 9월 한 달간 판매 실적 데이터예요. 이 데이터의 분산을 구해 팀원들의 실적이 얼마나 균일한지 확인해 볼게요.
[데이터]
팀원,9월 판매량
김민준,120
이서연,115
박도윤,135
최아인,125
정하윤,118
강지호,122
윤채원,140
임시우,110
[수식]
=VAR(B2:B9)

[결과 및 해석]
결과로 약 100.696 이 나올 거예요. 이 숫자는 팀원들의 판매량이 평균을 중심으로 약 100.696 만큼 흩어져 있다는 의미예요. 이 값만으로는 큰지 작은지 알기 어려우니, 다른 팀과 비교하면 그 의미가 명확해지겠죠?
엑셀 VAR.S 함수도 VAR 함수와 동일한 결과를 반환합니다. 이제 알았으니 다음부터 VAR 함수대신 권장하는 VAR.S 함수를 사용해요.
예제 2: 두 제품의 안정성 비교하기 (중급)
B 공장에서 생산하는 두 제품의 무게 데이터예요. 어떤 제품이 더 균일한 무게로 생산되고 있는지 분산을 통해 비교해 보겠습니다. 안정적인 품질 관리가 중요한 제조업에서 아주 유용하게 쓰이는 방법이에요.
[데이터]
측정회차,제품 A 무게(g),제품 B 무게(g)
1,502,510
2,498,490
3,500,505
4,503,485
5,497,515
6,501,493
7,499,508
8,500,494
[수식]
제품 A 분산:
=VAR(B2:B9)
제품 B 분산:
=VAR(C2:C9)

[결과 및 해석]
- 제품 A의 분산은 4
- 제품 B의 분산은 약 117.71
결과를 보세요! 제품 A의 분산 값이 훨씬 작죠? 이것은 제품 A의 무게가 평균에 가깝게 아주 일정하게 생산되고 있다는 뜻이에요. 반면, 제품 B는 무게 변동성이 커서 품질 관리에 조금 더 신경 써야 한다는 점을 데이터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제 3: 모집단과 표본 분산의 차이 이해하기 (고급)
통계에서 아주 중요한 개념인 '모집단' 과 '표본' 의 차이를 VAR 함수를 통해 알아볼게요.
- 모집단(Population): 분석하려는 전체 데이터 (예: 대한민국 모든 고3 학생의 키)
- 표본(Sample): 모집단에서 추출한 일부 데이터 (예: 서울시 A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키)
엑셀 함수도 이를 구분해요!
- VAR.S 또는 VAR : 표본의 분산을 구해요 (n-1로 나눔).
- VAR.P : 모집단 전체의 분산을 구해요 (n으로 나눔).
[데이터] (A 고등학교 3학년 전체가 8명이라고 가정)
학생,키(cm)
학생1,175
학생2,180
학생3,168
학생4,172
학생5,177
학생6,182
학생7,169
학생8,174
[수식]
표본 분산(이 8명이 더 큰 집단의 일부일 경우):
=VAR.S(B2:B9)
=VAR(B2:B9)

모집단 분산(이 8명이 분석 대상의 전부일 경우):
=VAR.P(B2:B9)
[결과 및 해석]
- 표본 분산(VAR): 약 24.55
- 모집단 분산(VAR.P): 약 21.48
보통 우리는 전체 데이터를 다루기보다는 일부 데이터(표본)를 가지고 전체를 추정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실무에서는 VAR.S (또는 VAR)를 훨씬 더 많이 사용한답니다!
예제 4: 매장별 일일 방문객 수 변동성 분석 (실무 활용)
여러 지점을 운영하는 카페 사장님이라면, 어느 매장이 안정적으로 운영되는지 궁금하겠죠? 매장별 일일 방문객 수의 분산을 구해 운영 안정성을 평가해 봅시다.
[데이터]
날짜,강남점 방문객,홍대점 방문객
1일,250,150
2일,245,350
3일,255,200
4일,260,280
5일,252,180
6일,248,320
7일,258,210
[수식]
강남점 분산:
=VAR(B2:B8)
홍대점 분산:
=VAR(C2:C8)

[결과 및 해석]
- 강남점 분산: 약 29.286
- 홍대점 분산: 약 5714.286
결과가 놀랍죠? 강남점은 방문객 수가 매우 안정적인 반면, 홍대점은 날짜별로 방문객 수의 편차가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홍대점은 왜 방문객 변동이 클까? 날씨? 주변 행사?" 와 같은 추가적인 분석과 전략 수립으로 이어질 수 있답니다.
🤔 이것만은 꼭! 흔한 오류와 해결법
- #DIV/0! 오류 : 이 오류는 분산을 계산할 데이터 샘플이 2개 미만일 때 발생해요. 분산은 최소 2개 이상의 데이터가 있어야 계산할 수 있답니다.
- #VALUE! 오류 : 데이터 범위 안에 숫자로 변환할 수 없는 텍스트나 오류 값이 포함되어 있을 때 발생해요. 범위를 다시 확인하고 텍스트를 지우거나 숫자 형식으로 바꿔주세요.
🔗 함께 쓰면 좋은 관련 함수들
- VAR.S : VAR과 기능이 거의 동일한, 최신 엑셀에서 권장하는 표본 분산 함수예요.
- VAR.P : 모집단 전체의 분산을 구할 때 사용하는 함수예요.
- VARA : 숫자뿐만 아니라 텍스트나 논리값(TRUE=1, FALSE=0)까지 계산에 포함하여 분산을 구해요.
- STDEV.S / STDEV.P : 표준편차를 구하는 함수예요. 표준편차는 분산에 제곱근을 씌운 값으로, 원래 데이터와 단위가 같아져서 분산보다 직관적으로 데이터를 해석할 때 더 유용할 수 있어요.
💟 마무리하며
오늘은 데이터의 '변동성'을 한눈에 파악하게 해주는 엑셀 VAR 함수에 대해 배워봤어요. 단순히 평균만 보는 것을 넘어 데이터가 얼마나 안정적인지, 혹은 불안정한지를 파악함으로써 우리는 한층 더 깊이 있는 데이터 분석을 할 수 있게 된답니다.
오늘 배운 내용을 꼭 여러분의 업무 데이터에 직접 적용해 보세요. 작은 시도가 데이터 분석 실력을 크게 향상시킬 거예요! 궁금한 점이나 공유하고 싶은 팁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세요. 여러분의 공감과 공유는 제게 큰 힘이 됩니다! 😉
📱 바쁜 당신을 위한 30초 요약!
1. VAR 함수란?
- 데이터가 평균에서 얼마나 흩어져 있는지 (분산) 알려주는 통계 함수
2. 기본 사용법
- =VAR(범위)
- 예: =VAR(A1:A10)
3. 언제 사용할까?
- 데이터의 안정성, 변동성을 파악하고 싶을 때
- 예: 제품 품질의 균일성, 매장별 매출의 안정성 비교 등
4. 핵심 포인트!
- 분산 값이 작을수록 데이터가 안정적이고, 클수록 변동이 심하다는 의미!
- 최신 엑셀에서는 VAR.S 함수 사용을 권장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