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활 2급 범위에서 찾기와 참조 함수의 마지막 함수입니다. 엑셀 INDEX 함수는 인덱스가 의미하듯 각 셀과 값을 색인화하여 원하는 값을 찾아 참조하는 함수입니다. 바로 살펴 봅니다. * 엑셀 INDEX 함수 기능: 배열 혹은 참조 영역에서 행과 열을 사용하여 원하는 값을 선택하는 함수입니다. 용법: =INDEX( 배열 혹은 참조 범위, 행, 열, [참조 영역] ) - INDEX 함수의 진가는 배열 수식을 이해 하신 뒤에야 느낄수 있습니다. 엑셀 배열 수식은 컴활 1급 실기 엑셀 부분의 주요 내용입니다. 컴활 1급은 뒤에 다룰 예정입니다. - 참조 영역은 참조 범위가 1개 이상 일때 이 범위 중 참조해야 할 범위를 선택하는 인수입니다. 용례1: = INDEX( { 1, 2, 3; 4, 5, 6; 7, 8..
엑셀 찾기와 참조 함수를 배우고 있습니다. 수평으로 찾는 엑셀 HLOOKUP 함수와 수직으로 찾는 함수인 VLOOKUP을 배웠습니다. 마지막 검색유형 인수만을 정확히 이해하시면 어려움이 없었을 것입니다. 이번에 배우실 엑셀 함수는 이전 두 함수보다 훨씬 쉬운 함수입니다. 엑셀 CHOOSE 함수입니다. CHOOSE, '선택하다' 라는 뜻이지요. 함수의 기능도 그렇습니다. 여러개의 값들 중 원하는 값을 선택하는 함수입니다. 자세히 살펴봅니다. * 엑셀 CHOOSE 함수 기능: 첫번째 인수로 나머지 여러값들 중의 한 값을 선택합니다. 용법: =CHOOSE( 선택인수, 값1, 값2, ...) - 선택인수의 수치로 나머지 값들의 순번을 설정하면 그 값을 반환합니다 (값은 선택인수 포함 255개까지입니다) - 값 ..
이번 게시물부터는 찾기와 참조 함수들을 살펴봅니다. 많은 분들이 힘들어하는 함수 분류이기도 합니다. 엑셀 VLOOKUP 함수부터 배워봅니다. Vertical lookup 에서 VLOOKUP 이란 함수명이 왔습니다. 비슷한 엑셀 함수로 HLOOKUP 함수도 있습니다. 이 둘이 또 짝이지요. 본론 들어갑니다. * 엑셀 VLOOKUP 함수 기능: 검색값을 범위에서 찾아 필요한 열의 값을 취하는 함수입니다. 용법: =VLOOKUP( 검색값, 범위, 열번호, [검색유형] ) - 검색 유형은 옵션 인수이지만 아주 중요한 부분입니다. 검색 유형은 두가지 입니다. 비슷하게 일치하는 것을 찾는 유형 (TRUE 또는 1 또는 생략) 과 정확히 일치하는 것을 찾는 유형 (FALSE 또는 0) 두가지 입니다. 용례1: =VL..
이번 게시물에서는 엑셀 함수는 잠시 쉬었다 가려 합니다. 엑셀의 함수를 좀 더 활용하여 그 함수의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 함수와 엑셀의 여러 수식에서 끊임없이 사용되는 참조의 여러 기법들을 자세히 살펴봅니다. 이미 다루었던 엑셀 함수 설명에서도 절대참조와 상대참조의 차이가 나왔습니다만 그 설명이 빈약한 것 같아 페이지를 할애하여 좀 더 세부적으로 살펴볼까 합니다. 엑셀에서의 여러 참조 기법들 중 아마도 가장 쉽게 접하고 가장 자주 접하는 참조가 바로 상대참조 입니다. 상대참조 라? 말이 어렵지요. 이를 살피기 전 참조가 무엇인지를 집고 넘어가겠습니다. 엑셀에서의 참조란, 수식을 만들어 가면서 수식에서 필요로 하는 값들을 수식에 값 자체를 삽입하는 것이 아니라 값이 들어 있는 셀을 수식에서 사용하는..
이 게시물에서는 엑셀 SUMIF 함수를 배워봅니다. SUMIF 함수는 조건을 만족하는 값들만을 선택적으로 추가하여 합을 구하는 엑셀 함수입니다. 단순히 인수의 합을 구하는 함수인 엑셀 SUM 함수와 조건에 따른 계산을 수행하는 엑셀 IF 함수를 합쳐놓은 함수라 생각하시면 이해가 조금은 쉬울것입니다. 그럼 자세히 살펴 볼까요? * 엑셀 SUMIF 함수 기능: 범위로 지정한 셀 범위를 검색 조건과 비교하여 이를 만족하면 합계 범위에서 합을 구합니다.용법: =SUMIF(범위, 검색조건, [합계범위]) - 합계범위를 생략하면 범위에서 검색조건 인수로 검색하여 만족하면 범위에서 합을 구합니다. 용례1: =SUMIF(A1:A10, ">=30", B1:B10) 용례1의 결과: 조건 범위인 A1:A10 을 각 셀 마다..
지난 게시물에 이어 엑셀 수학과 삼각 함수 중 컴활2급 이하 실기에 단순 함수들 2번째 모음 입니다. 단순하지만 알고 있으면 편한 엑셀 함수들입니다. 부딪치는 문제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될 수도 있는 엑셀 함수 이구요. 이번 게시물에 등록될 엑셀 함수들입니다. 랜덤(임의) 값을 생성하는 엑셀 함수 RAND, 원주율을 구하는 엑셀 PI 함수, 나머지를 구하는 엑셀 함수 MOD, 소수 이하를 절사하는 엑셀 함수 TRUNC 입니다. 들어가서 위의 엑셀 함수들을 하나씩을 살펴 볼까요. * 엑셀 RAND 함수 기능: 0 에서 1 사이의 임의의 값을 생성하는 함수 입니다. 인수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용법: =RAND() 용례1: =RAND() 용례1의 결과: 매번 함수를 실행할 때마다 다른 값이 반환될 것입니다...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