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QUOTIENT 함수 사용법: 나눗셈의 정수 몫만 깔끔하게 구하는 방법 (ft. 실무 예제 4가지)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엑셀 업무 효율을 책임지는 엑셀 튜터입니다. 😊 엑셀로 데이터를 정리하다 보면, 나눗셈을 하고 나서 소수점은 떼어버리고 딱 '몫'만 필요한 순간이 종종 있지 않으신가요? 예를 들어, 전체 상품을 박스 단위로 포장할 때 몇 박스가 나오는지, 또는 전체 프로젝트 기간을 주 단위로 환산할 때 몇 주가 되는지 계산할 때 말이에요.

 

이럴 때 QUOTIENT 함수를 사용하면 정말 편리하답니다. 오늘은 저와 함께 나눗셈의 정수 몫을 구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 QUOTIENT 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핵심] 엑셀 QUOTIENT 함수는 나눗셈 결과에서 소수점을 버리고 정수 몫만 반환하는 깔끔한 함수입니다.

 


📊 엑셀 QUOTIENT 함수, 대체 뭔가요?

QUOTIENT 함수는 아주 직관적이고 간단한 함수예요. 이름(Quotient) 그대로 '몫' 을 구해주는 역할을 하죠.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나누기 연산자( / )는 소수점까지 모두 표시하지만, QUOTIENT 함수는 나머지를 완전히 무시하고 오로지 정수 몫만 돌려준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점이자 핵심 기능이랍니다.

 

✅ 함수 구문 (Syntax)

함수 형태는 정말 간단해요. 나누려는 숫자와 나누는 숫자, 딱 두 가지만 넣어주면 됩니다.

QUOTIENT(numerator, denominator)

✅ 함수 인수 (Arguments)

  • numerator (필수 요소): 나눗셈을 당하는 수, 즉 '분자' 입니다. (예: 전체 사탕 25개)
  • denominator (필수 요소): 나누는 수, 즉 '분모' 입니다. (예: 한 명에게 나눠줄 사탕 4개)

✅ ※ 여기서 잠깐! 주의할 점 (Note)

  • QUOTIENT 함수는 나머지를 그냥 '버리는' 개념이에요. 반올림을 하거나 다른 계산을 하지 않아요!
  • 만약 나누는 값(denominator)에 0을 입력하면 #DIV/0! 오류가 발생하니 주의해주세요.

 


💡 QUOTIENT 함수 실전 예제 따라하기 (기본부터 실무까지!)

백 마디 설명보다 직접 해보는 게 최고겠죠? 실제 업무에서 바로 써먹을 수 있는 4가지 예제를 함께 풀어봐요!

 

예제 1: 기본 사용법 - 상품 포장 단위 계산하기

가장 기본적인 예제예요. 창고에 있는 상품을 박스 단위로 포장할 때 총 몇 개의 박스가 필요한지 계산해볼게요.

 

[데이터]

제품명,총 재고 수량,박스당 포장단위,최대 포장 가능 박스 수
A쿠키,153,12,
B음료,250,24,
C과자,89,10,
D라면,312,20,
E초콜릿,520,30,
F젤리,198,15,
G사탕,411,25,
H빵,78,8,

 

[수식]

D3 셀에 아래와 같이 입력하고 채우기 핸들을 아래로 쭉 내려주세요.

=QUOTIENT(B2, C2)

예제1. 엑셀 QUOTIENT 함수로 몫만을 구하는 기본 계산 이용

 

[결과 및 설명]

A쿠키는 총 153개가 있고 한 박스에 12개씩 담을 수 있으니, QUOTIENT(153, 12)는 12.75의 정수 부분인 12를 반환합니다. 나머지 9개는 포장할 수 없으므로 버려지는 거죠. 아니면, 다른 박스에 모자라게 포장하거나요. 이렇게 각 제품별로 포장 가능한 최대 박스 수를 한 번에 계산할 수 있어요!

 

예제 2: 중급 활용 - 총 근무시간을 '일'과 '시간'으로 변환하기 (ft. MOD 함수)

총 근무시간 데이터를 'N일 N시간' 형태로 변환해볼까요? 이럴 때 QUOTIENT 함수와 찰떡궁합인 MOD 함수(나머지를 구하는 함수)를 함께 사용하면 아주 유용해요! (하루 근무는 8시간으로 가정할게요.)

 

[데이터]

프로젝트명,담당자,총 투입시간(H),근무일 환산,잔여 시간
알파 프로젝트,김대리,85,,
베타 프로젝트,이과장,123,,
감마 프로젝트,박사원,50,,
델타 프로젝트,최주임,200,,
세타 프로젝트,정대리,99,,
오메가 프로젝트,윤과장,160,,
시그마 프로젝트,한사원,75,,

 

[수식]

D3(근무일 환산): =QUOTIENT(C2, 8)
E3(잔여 시간): =MOD(C2, 8)

예제2. 엑셀 QUOTIENT 함수로 근무일 환산한 잔여시간 계산

 

[결과 및 설명]

김대리의 총 투입시간 85시간을 8로 나누면 몫은 10, 나머지는 5가 되죠?

  • =QUOTIENT(85, 8)10(일)을 계산해주고,
  • =MOD(85, 8)5(시간)을 계산해줍니다.

결과적으로 "10일 5시간" 근무했다는 것을 명확하게 분리해서 파악할 수 있게 됩니다. 정말 편리하죠?

 

예제 3: 고급 활용 - 예산 내에서 구매 가능한 최대 수량 파악하기

정해진 예산으로 특정 물품을 최대 몇 개까지 구매할 수 있는지 계산하는 상황이에요. 자재 구매나 비품 관리 부서에서 유용하게 쓸 수 있겠죠?

 

[데이터]

품목,단가,총 예산,최대 구매 가능 수량
A4용지(박스),25500,300000,
사무용 의자,125000,1000000,
멀티탭,8900,50000,
USB 허브,15000,100000,
모니터 받침대,21000,150000,
키보드,34000,200000,
마우스,18000,120000,

 

[수식]

D3 셀에 아래와 같이 입력하고 아래로 채워주세요.

=QUOTIENT(C2, B2)

예제3. 엑셀 QUOTIENT 함수를 활용 최대 구매 가능 수량 계산

 

[결과 및 설명]

사무용 의자는 개당 125,000원이고 총 예산이 1,000,000원이므로 =QUOTIENT(1000000, 125000) 를 통해 최대 8개까지 구매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바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예산 계획을 세울 때 아주 유용한 방법이에요.

 

예제 4: 실무 응용 - 프로젝트 단계별 인원 배정하기

프로젝트에 필요한 총 투입 공수(Man-Month)가 정해졌을 때, 특정 규모의 팀을 몇 팀이나 온전히 투입할 수 있는지 계산해봅시다.

 

[데이터]

프로젝트 단계,필요 공수(M/M),팀당 인원(명),최대 투입 가능 팀 수
1단계: 기획,23,5,
2단계: 설계,48,5,
3단계: 개발,112,5,
4단계: 테스트,34,5,
5단계: 안정화,18,5,

 

[수식]

D3 셀에 입력 후 아래로 채워주세요.

=QUOTIENT(B2, C2)

예제4. 엑셀 QUOTIENT 함수 이용 최대 투입 팀 계산하기

 

[결과 및 설명]

3단계 개발에는 총 112 M/M가 필요하고 한 팀이 5명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QUOTIENT(112, 5) 를 통해 총 22개 팀을 온전히 투입하고도 2명의 공수가 남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인력 리소스 계획을 세울 때 직관적인 데이터를 얻을 수 있어요.

 


🤔 QUOTIENT 함수, 이럴 땐 오류가 나요! (오류 해결)

QUOTIENT 함수는 간단한 만큼 오류 종류도 많지 않아요. 대표적인 오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DIV/0! 오류: 가장 흔한 오류죠. 나누는 값(denominator)이 0 이거나 빈 셀일 경우 발생합니다.
    • 해결책: IFERROR 함수를 함께 사용하여 오류가 발생했을 때 특정 텍스트를 표시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 =IFERROR(QUOTIENT(A1, B1), "나누는 값을 확인해주세요")
  2. #VALUE! 오류: 인수(numerator, denominator)에 숫자가 아닌 텍스트 값이 들어갔을 때 발생합니다.
    • 해결책: 입력된 데이터가 숫자가 맞는지 다시 한번 확인해주세요!

 

🔗 함께 알아두면 좋은 관련 함수들

  • MOD: 짝꿍 함수! 나눗셈의 '나머지' 를 구해줍니다. QUOTIENT 와 함께 쓰면 시너지가 폭발해요.
  • INT: 소수점 아래를 버리고 가장 가까운 정수로 내림하는 함수입니다. 양수에서는 QUOTIENT와 비슷한 결과를 보이지만, 음수 계산 방식에 차이가 있으니 주의가 필요해요.
  • TRUNC: 지정한 자릿수만 남기고 나머지 숫자를 버리는 함수입니다. INT 보다 조금 더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어요.
  • / (나누기 연산자): 우리가 아는 바로 그 나눗셈 기호입니다. 소수점까지 포함한 정확한 계산 결과가 필요할 때 사용합니다.

 


💜 오늘 배운 내용, 한눈에 정리하기!

오늘은 나눗셈의 정수 몫만 깔끔하게 구해주는 QUOTIENT 함수에 대해 배워봤습니다!

  • QUOTIENT 는 나머지를 버리고 정수 몫만 구한다.
  • 상품 포장, 기간 환산, 예산 계획 등 단위 계산이 필요할 때 매우 유용하다.
  • 나머지 값이 필요할 땐 찰떡궁합 함수 MOD를 함께 사용하면 된다.

이제 나눗셈 결과값 때문에 지저분해진 데이터를 보며 한숨 쉬지 마시고, QUOTIENT 함수로 똑똑하게 정수 몫만 쏙쏙 골라내 보세요! 여러분의 엑셀 작업이 한결 더 깔끔하고 빨라질 거예요.

 

오늘 내용이 유익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리고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질문 남겨주세요! 여러분의 질문 하나하나가 저에겐 큰 힘이 된답니다. 그럼 다음 시간에 더 유용한 꿀팁으로 다시 만나요! 👋

 

 

작성자: 마늘빵


📱 바쁘다 바빠 현대인을 위한 1분 모바일 요약

QUOTIENT 함수란?

나눗셈의 정수 몫만 구하는 함수 (소수점 이하는 버려져요!)

✅ 언제 쓸까?

  • 전체 수량을 박스 단위로 나눌 때
  • 총 시간을 '일' 이나 '주' 단위로 환산할 때
  • 예산으로 최대 몇 개 살 수 있는지 계산할 때

기본 공식

=QUOTIENT(전체 값, 나눌 값)

(예: =QUOTIENT(100, 8) → 결과: 12)

✅ 꿀조합 함수

  • 나머지 값이 필요하면? MOD 함수와 함께!
  • 예: QUOTIENT 로 몫을, MOD 로 나머지를 구하면 완벽 분리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