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TRUNC 함수 사용법 완벽 가이드 | 소수점 자르기 함수 마스터하기

 

엑셀에서 숫자를 다룰 때 소수점을 자르거나 정수 부분만 필요한 경우가 많이 있죠? 🤔 회계 업무나 데이터 분석을 하다 보면 복잡한 소수점 계산 결과를 깔끔하게 정리해야 할 때가 있어요. 바로 이런 상황에서 TRUNC 함수가 빛을 발하는데요.

 

📌 [핵심] TRUNC 함수는 소수점을 원하는 자릿수에서 완전히 잘라내어 숫자를 간단하게 만들어주는 필수 함수예요.

 

📊 TRUNC 함수란?

엑셀 TRUNC 함수는 지정한 자릿수에서 숫자를 잘라내는 함수예요. 반올림이 아닌 순수하게 잘라내기만 하기 때문에 정확한 계산이 필요할 때 정말 유용하답니다.

 

ROUND 함수와 비교해보면 차이가 명확해져요. ROUND는 반올림을 하지만, TRUNC는 무조건 잘라내기만 해요. 예를 들어 3.99999라는 숫자가 있다면, ROUND(3.99999,0)은 4가 되지만 TRUNC(3.99999,0)은 3이 되죠.

 

🔧 TRUNC 함수 구문과 사용법

기본 구문

TRUNC(number, [num_digits])

인수 설명

  • number: 잘라낼 숫자 (필수)
  • num_digits : 남길 소수점 자릿수 (선택사항, 기본값 0)
    • 양수: 소수점 이하 자릿수
    • 0 또는 생략: 정수로 변환 (소수부 절사)
    • 음수: 소수점 왼쪽 자릿수(정수부)에서 자름

📝 주의사항

  • TRUNC는 반올림하지 않고 단순히 잘라냅니다
  • 음수에 대해서도 절댓값을 기준으로 잘라냅니다
  • num_digits가 숫자의 전체 자릿수보다 크면 원래 숫자를 반환합니다

 

💡 TRUNC 함수 활용 예제

 

예제 1: 기본 사용법

기본적인 소수점 자르기부터 시작해볼게요.

 

데이터:

숫자,설명
123.456,기본 예제
-87.892,음수 예제
0.999,1보다 작은 수
1000.789,큰 수

 

수식 예제:

=TRUNC(A2)        // =TRUNC(123.456) → 123 (소수점이하 모두 제거)
=TRUNC(A2,1)    // =TRUNC(123.456,1) → 123.4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TRUNC(A3,1)    // =TRUNC(-87.892,1) → -87.8 (음수도 동일하게 적용)
=TRUNC(A2,2)    // =TRUNC(123.456,2) → 123.45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예제1. 엑셀 TRUNC 함수로 버림하여 자릿수 정리 기본

 

두번째 인수(num_digits) 생략시 기본값은 0, 그래서 D열은 소수부 절사, E열은 두번째 인수가 1 이라 소수 첫째 자리까지, F열은 두번째 자리까지 표시하고 나머지는 절사합니다.

 

예제 2: 단가 계산후 지정 자리에서 절사

다른 함수와 조합해서 더 복잡한 계산을 해보세요.

 

데이터:

제품명,단가,수량
노트북,1234567.89,5
마우스,25678.45,10
키보드,89012.34,7
모니터,456789.12,3
헤드셋,78901.23,8
스피커,34567.89,6
웹캠,12345.67,4
태블릿,678901.23,2

 

활용 수식:

=TRUNC(B2*C2,0)     // 단가*수량으로 총액 계산후 정수부만 표시
=TRUNC(AVERAGE(B2:B9),2)    // 단가 평균(AVERAGE) 계산후 소수이하 2째자리까기 표시

예제2. 엑셀 TRUNC 함수 소수부 버림, 단가 평균은 소수 2째자리까지

 

단가와 수량의 곱을 정수부만 표시할 수도 있고, 단가의 평균을 AVERAGE 함수로 구해서 TRUNC 함수로 소수2째자리까지 잘라 표시할 수도 있어요.

 

예제 3: 범위를 인수로 사용하는 배열 수식

배열 수식과 함께 사용하면 한 번에 여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어요.

 

데이터:

월,매출,비용,이익률
1월,2345678.89,1234567.45,0.4567
2월,3456789.12,2345678.90,0.3210
3월,4567890.23,3456789.01,0.2435
4월,5678901.34,4567890.12,0.1956
5월,6789012.45,5678901.23,0.1634
6월,7890123.56,6789012.34,0.1396
7월,8901234.67,7890123.45,0.1136
8월,9012345.78,8901234.56,0.0123

 

배열 수식:

=TRUNC(B2:B9,-3)        // 매출을 천 단위에서 자름 (천원 단위 표시)
=TRUNC((B2:B9-C2:C9)/B2:B9,4)     // 이익률((매출-비용)/매출)을 소수점 넷째 자리에서 자름

예제3. 엑셀 TRUNC 함수 정수부 천단위이하 버림하기

💬 노트: 엑셀 365나 엑셀 2021 이상 버전은 수식을 E2, F2 에 입력하고 Enter 로 끝. 이전 엑셀 버전은 E2:E9, F2:F9 선택후 수식 입력하고 Ctrl+Shift+Enter 로 마무리 해야 배열 수식으로 전달되요.

 

예제 4: 일반적인 실무 활용

실제 업무에서 자주 사용되는 패턴들이에요.

 

데이터:

직원명,기본급,성과급,총급여
김철수,3500000,456789.123,3956789.123
이영희,4200000,678901.456,4878901.456
박민수,3800000,234567.789,4034567.789
정수연,4500000,890123.234,5390123.234
최준호,3900000,345678.567,4245678.567
한미영,4100000,567890.890,4667890.890
임대성,3700000,123456.345,3823456.345
윤서진,4300000,789012.678,5089012.678

 

실무 수식:

=TRUNC(D2,0)
=TRUNC(D2,-4)

예제4. 엑셀 TRUNC 함수 지정 단위 버림으로 자릿수 정리

 

1원 단위 소수부 절사(num_digits:0) 와 1만원 단위 절사(num_digits:-4) 를 간단히 TRUNC 함수로 처리합니다. 절사(버림)하고 자리수 맞출때 가장 쉽고 자주 사용되는 함수입니다.

 

⚠️ TRUNC 함수 사용 시 주의사항과 오류 해결

  1. #VALUE! 오류
    • 원인: 숫자가 아닌 텍스트를 입력한 경우
    • 해결: VALUE 함수로 텍스트를 숫자로 변환하거나 데이터 형식 확인
  2. 예상과 다른 결과 : TRUNC 는 반올림이 아닌 단순 절삭임을 기억하세요
  3. 음수 처리 혼동
    • 원인: 음수의 TRUNC 결과에 대한 오해
    • 해결: -3.7을 TRUNC하면 -3이 됨 (업/다운 상관없이 단순 버림)

 

🔗 TRUNC와 관련된 유용한 함수들

비슷한 기능의 함수들을 알아두면 더욱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어요:

  • ROUND: 반올림 함수
  • ROUNDUP: 올림 함수
  • ROUNDDOWN: 내림 함수
  • INT: 정수 부분만 추출 (음수 처리 방식이 다름)
  • CEILING: 지정 배수로 올림
  • FLOOR: 지정 배수로 내림

각 함수마다 미묘한 차이가 있으니 상황에 맞게 선택해서 사용하세요! 💪

 

🏁 마무리

엑셀 TRUNC 함수는 정확한 수치 처리가 필요한 모든 업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함수예요. 특히 회계, 재무, 통계 분야에서는 반올림 오차를 방지하고 정확한 계산을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되죠.

 

오늘 배운 내용을 실제 업무에 적용해보시고, 다른 수학 함수들과 조합해서 더욱 강력한 수식을 만들어보세요! 🎉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유 부탁드려요. 더 많은 엑셀 팁이 필요하시다면 댓글로 궁금한 함수를 알려주세요!

 

 

작성자: 마늘빵


📱 모바일용 빠른 학습 가이드

⚡ TRUNC 함수 5분 마스터

 

🎯 한 줄 요약
TRUNC(숫자, 자릿수) = 반올림 없이 숫자 자르기

 

✅ 기본 패턴 3개만 기억하세요

  1. TRUNC(123.456) → 123 (정수만/소수부 버림)
  2. TRUNC(123.456,1) → 123.4 (소수점 1자리)
  3. TRUNC(123.456,-1) → 120 (일의 자리 제거)

🚨 주의포인트

  • 반올림 ❌, 그냥 자르기 ⭐
  • 음수도 단순히 자름/버림
  • 계산 후 즉시 적용 가능

💼 실무 활용 베스트

  • 급여 계산 시 원 단위 정리
  • 재고 개수 정수 변환
  • 통계 데이터 간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