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INT 함수 사용법: 소수점 버림부터 실무 활용까지 완벽 정복!

 

안녕하세요! 엑셀의 모든 것을 알려드리고픈 블로거입니다. 😊 오늘은 데이터 정리의 기본 중의 기본! 하지만 많은 분이 헷갈려 하시는 아주 유용한 함수를 들고 왔어요. 바로 숫자의 소수점 이하를 깔끔하게 버리고 정수 부분만 남겨주는 INT 함수랍니다.

 

보고서 작업을 하다 보면 소수점 때문에 골치 아팠던 경험, 다들 한 번쯤 있으시죠? "평균 구매 개수인데 3.7개는 좀 이상한데...", "근속 연수를 계산했는데 5.8년이라고 나오네?" 와 같은 상황에서 아주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답니다. 오늘 이 포스팅 하나로 INT 함수의 모든 것을 마스터하고 칼퇴에 한 걸음 더 다가가 보세요!

 

📌 [핵심] INT 함수 하나면 골치 아픈 소수점을 가장 가까운 정수로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어요!

 


📥 엑셀 INT 함수, 대체 뭔가요?

INT 함수는 'Integer(정수)'의 약자로, 이름 그대로 숫자의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가장 가까운 정수로 내림하는 역할을 해요. 정말 간단하죠?

 

하지만 여기서 많은 분이 헷갈리는 포인트가 하나 있어요. 바로 '내림'의 개념인데요. 단순히 소수점을 없애는 TRUNC 함수와는 음수일 때 다른 결과를 보여준답니다.

 

함수 구문:

=INT(number)

인수 설명:

number (필수): 정수로 변환하려는 숫자를 입력해요. 직접 숫자를 쓰거나, 숫자가 있는 셀 주소를 넣을 수 있습니다.

⚠️ NOTE: INT 함수의 핵심 주의사항!

INT 함수는 '0에 가까운 방향으로' 가 아닌 '더 작은 정수 쪽으로' 내림해요.
양수일 때는 소수점을 그냥 버리는 것과 같지만 (INT(8.9) → 8),
음수일 때는 더 작은 정수인 -9가 됩니다 (INT(-8.9) → -9). 이 점을 꼭 기억해 주세요!

 


💻 INT 함수, 실전 예제로 감 잡기!

백 마디 설명보다 직접 해보는 게 최고죠? 실무에서 바로 써먹을 수 있는 예제 4가지를 준비했어요. 아래 데이터를 복사해서 직접 실습해보세요!

 

예제 1: 기본 활용 - 상품 포장 가능 상자 수 계산하기

한 상자에 12개씩 들어가는 상품이 있을 때, 총 생산량으로 포장할 수 있는 상자의 개수를 계산해 볼게요. 소수점은 의미가 없으니 버려야겠죠?

 

[데이터]

제품명,총 생산량
A과자,150
B음료,200
C라면,80
D초콜릿,350
E젤리,100
F과일,75
G우유,120
H생수,500

 

[수식 및 결과]

D2 셀에 총 생산량이 있을 때, 포장 가능 상자 수는 아래와 같이 구해요.

=INT(B2/12)

예제1. 엑셀 INT 함수의 기본 기능 : 정수화

 

A과자는 150/12 = 12.5 이므로, INT 함수를 사용하면 소수점을 버리고 12상자라는 정확한 결과가 나와요. 간단하죠?

 


예제 2: 중급 활용 (함수 조합) - 만나이 계산하기

TODAY 함수와 조합해서 직원의 정확한 만나이를 구해볼까요? 생년월일만 있으면 오늘 날짜 기준으로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어요.

 

[데이터]

직원명,생년월일
김민준,1990-05-15
이서연,1995-11-22
박도윤,1988-01-30
최지우,2001-07-07
정하은,1998-02-14
강시우,1993-09-01
윤채원,1996-12-25
임현서,1991-04-10

 

[수식 및 결과]

B2 셀에 생년월일이 있을 때, 만나이는 아래와 같이 구해요.

=INT((TODAY()-B2)/365)

예제2. 엑셀 INT 함수 내림 정수화로 만나이 계산

 

오늘 날짜(TODAY 함수)에서 생년월일을 빼면 살아온 총 일수가 나오고, 이걸 365로 나눈 뒤 INT 함수로 정수만 취하면 정확한 만나이가 계산된답니다!

 


예제 3: 고급 활용 - 근속 연차 및 개월 수 계산하기

이번엔 조금 더 응용해 볼게요! 직원의 근속 '연차' 와 남은 '개월 수' 를 따로 분리해서 계산해 봅시다. DATEDIF 함수와 조합하면 가능해요.

 

[데이터]

직원명,입사일
김철수,2018-03-01
이영희,2021-07-15
박지성,2015-01-10
최민호,2023-11-01
정수빈,2019-05-20
강하나,2017-02-28
윤대리,2022-09-05
임과장,2014-10-13

 

[수식 및 결과]

B2 셀에 입사일이 있을 때, 근속 연차와 개월 수는 아래와 같이 구해요.

 

근속 연차 (D2셀):

=DATEDIF(B2,TODAY(),"Y")
=INT((TODAY()-B2)/365)         // 위의 만나이 계산과 같은 방법으로도 년차계산 가능

입사일과 오늘 날짜의 차이로 연차를 계산해요.

예제3. 엑셀 DATEDIF 함수도 내부적으로 INT 작동 - 근속연차

근속 개월 수 (E2셀):

=DATEDIF(B2,TODAY(),"M")

이 예제에서는 INT가 직접 쓰이진 않지만, DATEDIF의 "Y" 옵션이 내부적으로 INT와 비슷한 원리로 작동하여 '만' 햇수만 가져온다는 점을 이해하면 함수 활용의 폭이 넓어져요!

 


예제 4: 실무 활용 - 프로젝트 투입 가능 인력 산출

총 프로젝트 시간과 직원 1인당 월평균 근무시간을 바탕으로, 프로젝트에 투입 가능한 최대 인원수를 계산해 볼게요. 현실적인 인력 계획에 필수적이겠죠?

 

[데이터]

프로젝트명,총 예상 소요시간(H),1인당 월평균 근무시간(H)
A 프로젝트,1500,160
B 프로젝트,3000,160
C 프로젝트,800,160
D 프로젝트,5200,160
E 프로젝트,2400,160
F 프로젝트,1000,160
G 프로젝트,450,160
H 프로젝트,6000,160

 

[수식 및 결과]

B2 셀에 총 소요시간, C2 셀에 1인당 근무시간이 있을 때, 투입 가능 인력은 아래와 같이 구해요.

=INT(B2/C2)

예제4. 엑셀 INT 함수 소요시간과 근무시간으로 투입인원 유추

 

A 프로젝트는 1500 / 160 = 9.375 이므로, 최대 9명의 인력을 투입할 수 있다고 보수적으로 계산할 수 있어요. 인력은 0.375명과 같이 쪼갤 수 없으니까요!

 


🚫 INT 함수 사용 시 발생하는 오류

INT 함수 자체는 오류가 거의 발생하지 않지만, 인수를 잘못 넣으면 오류가 생길 수 있어요.

  • #VALUE! : 인수로 숫자가 아닌 텍스트(예: "엑셀")를 넣었을 때 발생해요. 숫자가 있는 셀을 참조했는지 꼭 확인하세요!
  • #NAME? : 함수 이름을 INTT처럼 잘못 입력했을 때 발생해요. 오타가 없는지 확인해 보세요.

 


🤝 함께 쓰면 시너지가 폭발하는 함수들!

INT 함수와 비슷하지만 약간씩 다른 친구들이 있어요. 상황에 맞게 사용하면 당신은 엑셀 고수!

  • TRUNC: INT와 가장 헷갈리는 함수! 양수에서는 결과가 같지만, 음수에서는 소수점 이하를 그냥 '버리기'만 해요. (TRUNC(-8.9)-8)
  • ROUNDDOWN: 지정한 자릿수까지 '내림'해요.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내림하고 싶을 때 유용하죠. (ROUNDDOWN(8.98, 1)8.9)
  • ROUND: 우리가 아는 일반적인 '반올림'을 해줘요.
  • ROUNDUP: 지정한 자릿수까지 '올림'을 해줘요.

 


😎 오늘 배운 내용, 한눈에 요약!

어떠셨나요? INT 함수, 이제 자신감이 좀 붙으셨나요? 오늘 배운 내용을 마지막으로 정리해 드릴게요!

  • INT 함수는 숫자를 더 작은 정수로 내림하는 함수이다.
  • 양수일 때는 소수점을 버리는 것과 결과가 같다.
  • 음수일 때는 더 작은 정수 값으로 변환된다. (ex: INT(-2.7) → -3)

오늘 배운 내용, 그냥 눈으로만 보지 마시고 꼭 직접 엑셀을 켜서 예제를 따라 해보세요! 직접 해보는 것만큼 좋은 공부는 없답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질문 남겨주시고요, 오늘 내용이 유익했다면 공감과 공유 부탁드려요! 여러분의 응원이 제게는 큰 힘이 된답니다. ❤️

 

 

작성자: 마늘빵


📱 바쁜 당신을 위한 30초 컷! 모바일 요약

✅ INT 함수가 뭐예요?

  • 숫자의 소수점을 버리고 가장 가까운 작은 정수로 만드는 함수
  • =INT(숫자 또는 셀) 형태로 사용

✅ 양수 vs 음수, 결과가 달라요!

  • 양수: INT(10.8)10 (소수점 버림)
  • 음수: INT(-10.8)-11 (더 작은 정수로 내림)

✅ 어디에 쓰면 좋아요?

  • 나이 계산: =INT((TODAY()-생년월일)/365)
  • 재고 관리: 포장 가능한 박스 수 계산
  • 인력 관리: 프로젝트 투입 가능 인원 계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