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귀분석이 필요한 상황, 하지만 복잡한 통계 프로그램은 부담스러우신가요? 엑셀에서 제공하는 LINEST 함수를 활용하면 간단하게 데이터 분석이 가능해요. 보다 정확한 예측과 의사결정을 위한 강력한 도구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 LINEST 함수는 최소제곱법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선형 추세를 계산하고 회귀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고급 통계 함수예요.
🔍 LINEST 함수란?
LINEST 함수는 Excel의 고급 통계 함수로, 데이터 세트의 선형 관계를 분석하는 데 사용돼요. 이 함수는 여러 독립변수(x)와 종속변수(y) 사이의 관계를 찾아 회귀 방정식의 계수를 계산해 줍니다.
단순 회귀분석부터 다중 회귀분석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비즈니스 예측, 과학 연구, 재무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어요.
📝 LINEST 함수 구문
=LINEST(known_y's, [known_x's], [const], [stats])
함수 인수 설명
known_y's: 종속 변수 값의 범위 (필수)
known_x's: 독립 변수 값의 범위 (선택, 생략 시 1,2,3... 등의 배열 사용)
const: TRUE 또는 FALSE 값 (선택, 기본값은 TRUE)
TRUE : y절편 계산
FALSE : y절편을 0으로 설정
stats: TRUE 또는 FALSE 값 (선택, 기본값은 FALSE)
TRUE : 추가 회귀 통계 반환
FALSE : 회귀 계수만 반환
📝 참고: LINEST 함수의 결과는 배열 형태로 반환되므로 반드시 배열 수식으로 입력해야 해요. 배열 수식은 Ctrl+Shift+Enter로 완성합니다 (Excel 2019 이상 버전에서는 자동으로 처리).
🔢 LINEST 함수 사용 예제
예제 1: 단순 선형 회귀분석
아래 데이터를 사용하여 광고비용(x)과 매출액(y) 사이의 관계를 분석해볼게요:
광고비용(만원),매출액(만원)
10,25
15,31
20,36
25,40
30,45
35,51
40,54
45,61
50,66
55,70
60,75
65,80
단계별 진행:
- 데이터를 A1:B13 영역에 입력합니다.
- E2:F6 영역을 선택합니다. (엑셀2019 이상 버전에서는 E2 셀만 선택해도 됨)
- 수식 입력창에
입력 후 Ctrl+Shift+Enter 누릅니다. (엑셀2019 이상 버전에서는 엔터로 동적배열처리됨)=LINEST(B2:B13,A2:A13,TRUE,TRUE)

결과 해석:
- 첫 번째 행: 기울기(0.99)와 y절편(15.5)
- 회귀식: 매출액 = 0.99 × 광고비용 + 15.5
- 이는 광고비용이 1만원 증가할 때마다 매출액이 평균 0.99만원 증가함을 의미해요.
예제 2: 다중 회귀분석
직원 교육시간(x1)과 경력 년수(x2)가 생산성(y)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볼게요:
교육시간,경력년수,생산성
20,2,45
25,3,50
30,3,55
35,4,62
40,5,70
45,6,75
40,7,80
50,5,73
55,4,72
60,8,85
45,9,82
50,10,90
단계별 진행:
- 데이터를 A1:C13 영역에 입력해요.
- E2:G6 영역을 선택합니다. (엑셀2019 이상 버전에서는 E2 셀만 선택해도 됨)
- 수식 입력창에
입력 후 Ctrl+Shift+Enter 누릅니다. (엑셀2019 이상 버전에서는 엔터로 동적배열처리됨)=IFERROR(LINEST(C2:C13,A2:B13,TRUE,TRUE),"")

참고: IFERROR 함수 중첩이 없다면, G4:G6 범위는 #N/A 오류 발생해요. ( 에러를 빈공백으로 )
결과 해석:
- 첫 번째 행: 교육시간 계수(0.5), 경력년수 계수(3.5), y절편(29.1)
- 회귀식: 생산성 = 0.5 × 교육시간 + 3.5 × 경력년수 + 29.1
- 이는 교육시간이 1시간 증가할 때마다 생산성이 평균 0.5 증가하고, 경력년수가 1년 증가할 때마다 생산성이 평균 4.8 증가함을 의미해요.
예제 3: 통계 데이터 분석
다음 판매 데이터를 사용하여 온도(x1)와 휴일여부(x2)가 아이스크림 판매량(y)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볼게요:
온도(°C),휴일여부(1=휴일),판매량(개)
25,0,120
27,0,135
30,1,160
28,0,140
32,1,185
29,0,145
31,1,175
33,1,195
26,1,150
34,0,165
35,1,200
24,0,110
단계별 진행:
- 데이터를 A1:C13 영역에 입력합니다.
- E2:G6 영역을 선택합니다. (엑셀2019 이상 버전에서는 E2 셀만 선택해도 됨)
- 수식 입력창에
입력 후 Ctrl+Shift+Enter 누릅니다. (엑셀2019 이상 버전에서는 엔터로 동적배열처리됨)=IFERROR(LINEST(C2:C13,A2:B13,TRUE,TRUE), "")

결과 해석:
- 첫 번째 행: 온도 계수(5.6), 휴일여부 계수(22.7), y절편(-22.3)
- 두 번째 행: 표준 오차
- 세 번째 행: R-제곱 값(0.97), 잔차의 표준 오차
- 네 번째 행: F-통계량, 자유도
- 다섯 번째 행: 회귀 제곱합, 잔차 제곱합
회귀식: 판매량 = 5.6 × 온도 + 22.7 × 휴일여부 - 22.3
R-제곱 값이 0.97로 매우 높아 이 모델은 판매량 변동의 97%를 설명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 LINEST 함수 결과 해석하기
STATS 매개변수를 TRUE로 설정하면 다음과 같은 5×k 행렬이 반환됩니다:
| 행 | 첫 번째 열 | 두 번째 열 | ... | 마지막 열 |
|---|---|---|---|---|
| 1 | 마지막 X 계수 | ... | 첫 번째 X 계수 | y절편 |
| 2 | 마지막 X 표준 오차 | ... | 첫 번째 X 표준 오차 | y절편 표준 오차 |
| 3 | 결정계수(R²) | 잔차의 표준 오차 | ||
| 4 | F통계량 | 자유도 | ||
| 5 | 회귀 제곱합 | 잔차 제곱합 |
핵심 통계값의 의미:
- R²(결정계수): 모델이 데이터를 얼마나 잘 설명하는지 나타내는 값(0~1 사이)
- F통계량: 회귀 모델의 전체적 유의성 검정
- 표준 오차: 계수 추정의 정확도 측정
⚠️ LINEST 함수 사용 시 주의 사항
LINEST 함수를 사용할 때 몇 가지 주의할 점이 있어요:
- 다중공선성 문제: 독립변수들 간에 상관관계가 높으면 결과의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어요.
- 이상치 영향: 극단적인 값들은 회귀 분석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사전에 확인이 필요해요.
- 적절한 샘플 크기: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얻으려면 충분한 데이터 포인트가 필요해요.
- 회귀 가정 검토: 선형성, 등분산성, 독립성 등의 가정을 충족하는지 확인해야 해요.
📝 참고: 통계적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p-값, 신뢰구간 등 추가 분석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는 LINEST 함수만으로는 직접 제공되지 않아요.
🔧 LINEST 함수 오류 해결하기
LINEST 함수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와 해결 방법:
A. #VALUE! 오류
- 원인: 배열 수식으로 입력하지 않았거나 데이터에 텍스트/오류가 포함됨
- 해결: Ctrl+Shift+Enter로 입력하고 모든 데이터가 숫자인지 확인
B. #N/A 오류
- 원인: known_y's와 known_x's의 행 수가 일치하지 않음 / 결과 3행~5행은 2개 셀만 반환
- 해결: 데이터 범위가 동일한 개수의 행을 포함하는지 확인 / IFERROR 함수 중첩사용
C. #DIV/0! 오류
- 원인: 데이터 포인트가 너무 적거나 x 값이 모두 같음
- 해결: 충분한 데이터 포인트를 제공하고 x 값의 변동성 확인
D. 부정확한 결과
- 원인: 데이터의 선형성 부족 또는 이상치 존재
- 해결: 산점도로 데이터 확인 후 이상치 제거 또는 비선형 모델 고려
💡 LINEST 함수 활용 팁
실무에서 LINEST 함수를 더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팁을 알려드릴게요:
데이터 전처리: 회귀분석 전 데이터 정규화나 표준화를 통해 결과의 안정성을 높이세요.
시각화 병행: LINEST 결과와 함께 산점도를 그려 데이터와 모델의 적합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세요.
단계적 접근: 단순 회귀부터 시작해 변수를 하나씩 추가하며 모델 개선을 확인하세요.
교차 검증: 데이터의 일부를 학습과 검증용으로 나누어 모델의 예측력을 평가하세요.
🎓 마무리: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의 파워 툴
LINEST 함수는 복잡한 통계 프로그램 없이도 엑셀에서 강력한 회귀분석을 수행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예요. 단순한 추세선을 넘어 데이터 간의 복잡한 관계를 이해하고 미래를 예측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회귀분석의 기본 개념과 LINEST 함수의 활용법을 마스터하면, 데이터에 숨겨진 패턴을 발견하고 더 정확한 비즈니스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을 거예요.
여러분의 업무에서 LINEST 함수를 활용해 보시고, 어떤 인사이트를 얻으셨는지 댓글로 공유해 주세요. 특별히 어려움을 겪고 계신 부분이 있다면 함께 해결해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작성자: 마늘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