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러분의 칼퇴를 도와드리는 엑셀러레이터입니다. 😊
혹시 엑셀에서 숫자를 특정 배수로 '내림' 해야 하는데, 그냥 내림이나 소수이하 버림하는 ROUNDDOWN 함수만으로는 해결이 안 돼서 곤란했던 적 없으신가요? 예를 들어, 상품 가격을 100원 단위로 맞추거나, 자재 수량을 5개 단위로 묶어서 발주해야 할 때 말이죠. 이런 디테일한 숫자 처리 작업이 은근히 시간을 많이 잡아먹곤 합니다.
이럴 때 마법처럼 등장하는 함수가 바로 엑셀 FLOOR.MATH 함수예요. 이 함수 하나면 여러분이 원하는 배수로 숫자를 아주 깔끔하게 내림 처리할 수 있답니다. 오늘 저와 함께 FLOOR.MATH 함수의 모든 것을 파헤쳐 보고, 실무 예제로 응용력까지 키워서 숫자 내림 스트레스에서 완전히 해방되어 보자고요!
📌 [핵심] FLOOR.MATH 함수는 숫자를 0에 가까운 방향(양수)으로, 지정한 배수에 맞게 내리는 함수입니다.
🤔 엑셀 FLOOR.MATH 함수, 대체 뭔가요?
가장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FLOOR.MATH는 '바닥'을 의미하는 'FLOOR'라는 이름처럼, 숫자를 아래로 끌어내리는 역할을 해요. 그런데 그냥 내리는 게 아니라, 우리가 정해준 특정 배수(예: 10, 50, 1000 등)에 딱 맞게 내려준다는 점이 핵심이에요.
예를 들어, 157이라는 숫자를 10의 배수로 내리면 150이 되고, 1,234원이라는 금액을 100의 배수로 내리면 1,200원이 되는 식이죠. 일상 업무에서 가격 정책을 정하거나, 재고 단위를 맞출 때 정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겠죠?
🔍 함수의 기본 구조 (Syntax)
FLOOR.MATH 함수의 기본 생김새는 아래와 같아요. 생각보다 간단하답니다!
=FLOOR.MATH(Number, [Significance], [Mode])
인수 | 설명 | 필수 여부 |
---|---|---|
Number | 내림할 숫자 또는 해당 숫자가 있는 셀 주소입니다. | 필수 |
Significance | 어떤 배수로 내림할지 지정하는 숫자입니다. (예: 10, 100) | 선택 |
Mode | 음수를 처리하는 방법을 지정합니다. (0 또는 생략, 0이 아닌 값) | 선택 |
⚠️ 잠깐! 주의할 점
- Significance (배수) 인수를 생략하면 기본값인 1이 적용돼요. 즉, 소수점 아래를 버리는 효과와 같아져요.
- Mode 인수는 음수를 다룰 때만 의미가 있어요. 0 또는 생략하면 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0이 아닌 값을 입력하면 0에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내림 처리합니다. 조금 헷갈릴 수 있는데, 아래 예제 3번에서 확실하게 보여드릴게요!
🎨 FLOOR.MATH 함수 실전 예제
백문이 불여일견! 바로 실무 예제를 통해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볼까요?
예제 1: 기본 사용법 - 상품 재고 10개 단위로 포장하기
창고에 있는 상품들을 10개 단위로 묶어서 박스 포장을 해야 하는 상황이에요. 자투리 수량을 제외하고, 포장 가능한 박스 수량의 기준이 되는 총개수를 계산해 볼게요.
[데이터]
상품명,현재고수량
A과자,157
B음료,88
C젤리,203
D초콜릿,95
E라면,341
F통조림,129
G생수,55
H시리얼,172
[수식]
D2 셀에 아래 수식을 입력하고 아래로 쭉 채워주세요.
=FLOOR.MATH(B2, 10)
어때요? FLOOR.MATH(157, 10)은 157을 10의 배수로 내림 해서 150을 반환해 줬어요. 정말 간단하죠?
예제 2: 중급 활용 - 할인율 적용 후 100원 단위 내림하기
이번엔 조금 더 응용해 볼게요. 상품 가격에 할인율을 적용한 뒤, 고객에게 더 매력적으로 보이기 위해 최종 가격을 100원 단위로 절삭하는 경우예요.
[데이터]
상품명,정가,할인율
울 셔츠,52500,15%
코튼 팬츠,48000,10%
실크 스카프,23500,5%
가죽 벨트,31000,20%
니트 원피스,78200,15%
린넨 자켓,95000,10%
데님 스커트,55600,5%
플랫 슈즈,62000,20%
[수식]
E2 셀에 아래 수식을 입력하고 채워주세요. 정가 * (1-할인율)로 할인가를 먼저 계산하고, 그 결과를 FLOOR.MATH 함수로 감싸 100원 단위로 내림 하는 거죠.
=FLOOR.MATH(B2*(1-C2), 100)
할인된 애매한 가격(예: 44,625원)을 깔끔하게 100원 단위(44,600원)로 정리해 주니 훨씬 보기 좋네요!
예제 3: 고급 활용 (3번째 인수 Mode 활용) - 음수를 다루는 특별한 방법
온도 변화나 손익 계산 등 음수를 다뤄야 할 때, 세 번째 인수 Mode가 힘을 발휘해요! Mode 인수는 음수를 0에서 멀어지게 내릴지, 가까워지게 내릴지 결정합니다.
- Mode = 0 또는 생략: 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내림 (예: -15.5 -> -16)
- Mode ≠ 0 (예: 1): 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내림 (예: -15.5 -> -15)
[데이터]
측정시점,온도변화(℃)
1시,-12.3
2시,-8.7
3시,-15.5
4시,-21.9
5시,-3.1
6시,-10.0
7시,-5.8
8시,-18.2
[수식]
D2, E2 셀에 각각 아래 수식을 입력하고 채워보세요. 결과가 어떻게 다른지 비교하는 것이 포인트! (음수일때만 의미 있음)
D2셀: =FLOOR.MATH(B2, 1, 0) // mode 인수를 생략하거나 0일때는 0에서 멀어지는 방향
E2셀: =FLOOR.MATH(B2, 1, 1) // mode 인수가 0 아닌 값일때는 0에 가까워지는 방향
결과가 완전히 다르죠? 대부분의 경우는 양수를 다루지만, 이처럼 음수를 특정 규칙에 따라 내려야 할 때 Mode 인수는 매우 강력한 무기가 됩니다.
예제 4: 실무 끝판왕 (배열 수식) - 여러 제품 가격을 한 번에 1,000원 단위로 내림하기
만약 데이터가 수백, 수천 개라면 하나씩 수식을 채우는 것도 일이죠. 이럴 땐 배열 수식을 활용하면 단 한 번의 수식 입력으로 모든 계산을 끝낼 수 있습니다. (※ Excel 365 및 2021 버전은 그냥 Enter, 이전 버전은 Ctrl+Shift+Enter로 입력)
[데이터]
제품코드,판매가
P001,123500
P002,88400
P003,45680
P004,217300
P005,99900
P006,154200
P007,32100
P008,56750
[수식]
결과를 표시할 D2:D9 범위를 먼저 선택한 후, 아래 수식을 수식 입력줄에 넣고 Enter (또는 Ctrl+Shift+Enter)를 누르세요.
=FLOOR.MATH(B2:B9, 1000)
범위를 지정하고 수식을 한 번만 입력했는데 모든 값이 한꺼번에 계산되었어요. 데이터가 많을 때 정말 편리한 기능이니 꼭 기억해 두세요!
🆚 FLOOR vs FLOOR.MATH, 뭐가 다른가요?
엑셀을 오래 사용하신 분들은 FLOOR 함수에 더 익숙하실 수 있어요. 둘의 차이점을 간단히 정리해 드릴게요.
- FLOOR.MATH: 최신 버전의 함수로, 기능이 더 개선되었습니다. 특히 음수를 처리하는 Mode 인수가 추가되어 더 정교한 작업이 가능해요.
- FLOOR: 구 버전 엑셀과의 호환성을 위해 남아있는 함수입니다. 음수 처리 방식이 FLOOR.MATH 의 Mode=0 일 때와 비슷하게(0에서 멀어지는 방향) 작동해요.
결론적으로, 지금 엑셀을 사용하신다면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FLOOR.MATH 함수를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흔히 발생하는 오류와 해결 방법
- #VALUE!: 숫자여야 할 인수에 텍스트 등 잘못된 값이 입력되었을 때 발생해요. 셀에 숫자가 제대로 입력되었는지 확인해 보세요.
- FLOOR 와 FLOOR.MATH 의 #NUM! 오류 차이:
혹시 예전 FLOOR 함수를 사용하시던 분이라면, '숫자' 는 양수인데 '배수' 가 음수일 때 #NUM! 오류가 발생했던 것을 기억하실 거예요. 하지만 FLOOR.MATH 함수는 이 규칙이 다릅니다! 최신 함수인 FLOOR.MATH 는 이런 경우에도 오류를 뱉어내는 대신, 정상적인 계산 이 처리됩니다. 이 차이점을 모르면 왜 오류가 안 나는지 당황할 수 있겠죠? 😉
수식 | 결과 |
---|---|
=FLOOR.MATH(13, -2) | 12 |
=FLOOR(13, -2) | #NUM! |
🤝 함께 쓰면 좋은 관련 함수들
- CEILING.MATH: FLOOR.MATH 와는 반대로, 지정한 배수로 '올림' 처리하는 함수예요. 세트 상품을 구성할 때 최소 수량을 맞추는 경우 등에 유용하죠.
- MROUND: 가장 가까운 배수를 찾아 '반올림' 해주는 함수입니다.
- ROUNDDOWN: 지정한 자릿수에서 '내림'하는 함수로, 배수가 아닌 자릿수 기준일 때 사용해요.
- INT / TRUNC: 소수점 아래를 모두 버려 정수로 만들어주는 함수들입니다.
🎉 마무리하며
오늘은 숫자를 원하는 배수로 깔끔하게 내림 처리하는 FLOOR.MATH 함수에 대해 배워봤습니다. 기본 사용법부터 중첩계산, 음수 처리, 배열 수식까지! 이 정도면 실무에서 숫자 내림 때문에 골치 아플 일은 없으실 거예요. 😎
함수는 눈으로만 보면 금방 잊어버리기 쉬워요. 오늘 배운 내용을 여러분의 업무 데이터에 꼭 한번 직접 적용해 보세요. 작은 성공이 모여 엑셀 실력의 큰 차이를 만든답니다!
오늘 내용이 유용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리고, 주변 동료들에게도 공유해서 함께 칼퇴의 기쁨을 누려보세요! 궁금한 점은 언제든 댓글로 질문해 주세요!
작성자: 마늘빵
📱 모바일에서 빠르게 복습하기
✅ 주제: 엑셀 FLOOR.MATH 함수 (특정 배수로 내림)
1. 기능:
- 숫자를 지정한 배수에 맞춰 내림 처리
2. 기본 공식:
- =FLOOR.MATH(숫자, 배수, 모드)
3. 핵심 인수:
- 숫자 (Number): 내림할 원본 숫자 (필수)
- 배수 (Significance): 기준이 될 배수 (예: 10, 100, 1000)
- 모드 (Mode): 음수 처리 방식 (0: 0에 멀게, 1: 0에서 가깝게)
4. 실무 예시:
- 상황: 상품 가격 48,850원을 1,000원 단위로 내림하고 싶을 때
- 수식: =FLOOR.MATH(48850, 1000)
- 결과: 48000
5. 관련 함수:
- CEILING.MATH: 배수로 올림
- MROUND: 배수로 반올림
- ROUNDDOWN: 자릿수로 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