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러분의 친절한 엑셀 튜터, 엑셀러레이터입니다. 😊
다들 실무에서 엑셀 작업하시다 보면, 특정 단위로 숫자를 딱딱 맞춰야 할 때가 종종 있지 않으신가요? 예를 들어, 상품 가격을 100원 단위로 끊어서 정하거나, 근무 시간을 15분 단위로 계산해야 할 때 말이에요. 이럴 때마다 계산기 두드리고, 하나하나 수동으로 바꾸고 계셨다면 오늘 정말 잘 오셨어요!
📌 [핵심] 엑셀 MROUND 함수 하나면 숫자를 내가 원하는 배수로 마법처럼 반올림할 수 있어요!
📚 엑셀 MROUND 함수, 대체 뭔가요?
엑셀의 수많은 함수들 사이에서 MROUND는 보석 같은 존재랍니다💎. 어렵게 생각하실 필요 전혀 없어요! MROUND 함수는 지정한 숫자를 가장 가까운 배수로 반올림해주는 아주 스마트한 함수예요.
우리가 초등학교 때 '5를 기준으로 반올림' 을 배웠다면, MROUND는 '내가 정한 기준(배수)으로 반올림'을 해주는 거죠. 예를 들어 '10의 배수'로 반올림하라고 하면, 12는 10에 더 가까우니 10으로, 18은 20에 더 가까우니 20으로 만들어주는 식이에요. 정말 간단하죠?
함수 구문 및 인수
엑셀 MROUND 함수의 생김새는 아주 심플해요.
=MROUND(number, multiple)
- number: 반올림하려는 숫자입니다. (필수)
- multiple: 반올림의 기준이 될 배수입니다. (필수)
📝 노트!
정말 중요한 주의사항이 있어요! number와 multiple 인수의 부호(+, -)가 반드시 같아야 해요. 만약 하나는 양수인데 다른 하나는 음수라면 #NUM! 오류가 발생한답니다!
🚀 MROUND 함수, 실전 예제로 정복하기!
백문이 불여일견! 직접 예제를 통해 MROUND 함수가 얼마나 유용한지 함께 알아볼까요?
예제 1: 기본 사용법 (판매 수량을 10개 단위로 정리하기)
가장 기본적인 활용법이에요. 일일 판매 수량을 보고서에 쓸 때, 1개 단위보다는 10개 단위로 끊어서 보면 훨씬 깔끔하겠죠?
[데이터]
상품명,판매수량
A과자,123
B음료,87
C라면,155
D아이스크림,42
E초콜릿,209
F젤리,78
G우유,111
H생수,34
[수식]
D2 셀에 아래 수식을 입력하고 채우기 핸들을 쭉~ 내려주세요.
=MROUND(B2, 10)
[결과]
123은 120으로, 87은 90으로, 155는 160으로! 10의 배수 중 가장 가까운 값으로 딱딱 맞춰진 것 보이시죠? 5의 경우에는 더 큰 수의 배수로 반올림된답니다.
예제 2: 중급 활용 (근무 시간을 15분 단위로 계산하기)
알바생이나 직원의 급여를 계산할 때, 분 단위까지 다 계산하면 복잡하죠. 보통 15분이나 30분 단위로 끊어서 계산하는데, 이럴 때 MROUND가 최고랍니다!
[데이터]
엑셀에서 시간은 숫자로 저장돼요. 24시간이 숫자 1이랍니다. 그래서 15분은 TIME(0,15,0) 함수나 15/(24*60)으로 표현할 수 있어요.
직원,출근시간,퇴근시간,총 근무시간
김대리,9:07,18:23,9:16
이과장,8:55,18:03,9:08
박사원,9:12,17:50,8:38
최주임,8:48,18:31,9:43
정대리,9:02,17:58,8:56
[수식]
F2 셀에 정리된 근무 시간을 15분 단위로 반올림해볼게요.
=MROUND(D2, TIME(0,15,0)) // 가장 편하고 확실한 시간 설정 방법
=MROUND(D2, 15/(24*60)) // 분단위 시간을 일련번호로 환산
=MROUND(D2,"0:15") // 텍스트로 시간 설정
[결과]
9시간 16분(9:16)은 9시간 15분(9:15)으로, 9시간 8분(9:08)은 9시간 15분(9:15)으로 깔끔하게 정리되었어요. 이제 급여 계산이 훨씬 편해지겠죠?
📝 노트!
결과가 0.385416667 와 같은 형태의 수치로 표시된다면 셀 서식(Ctrl+1) 의 표시 형식을 시간 서식( 사용자지정 서식은 h:mm ) 으로 설정해 줘요.
예제 3: 고급 활용 (IF와 중첩하여 조건부 가격 책정)
이번엔 좀 더 머리를 써볼까요? IF 함수와 함께 사용하여 조건에 따라 다르게 반올림하는 방법이에요. "상품 가격이 10,000원 이상이면 100원 단위로, 10,000원 미만이면 10원 단위로 반올림" 해볼게요.
[데이터]
상품코드,원가,마진율,계산된 가격
P001,8500,30%,11050
P002,6200,25%,7750
P003,15300,20%,18360
P004,4500,35%,6075
P005,9800,28%,12544
P006,2100,40%,2940
P007,11200,22%,13664
[수식]
F2 셀에 아래와 같이 입력해 보세요.
=IF(D2>=10000, MROUND(D2, 100), MROUND(D2, 10))
[결과]
11,050원은 10,000원이 넘으니 100원 단위인 11,100원으로, 7,750원은 10,000원 미만이므로 10원 단위인 7,750원으로, 6,075원은 6,080원으로 조건에 맞게 착착 반올림되었네요!
예제 4: 실무 끝판왕 (배열수식으로 최종 단가 한 번에 계산하기)
대량의 데이터가 있을 때, 수식 하나로 모든 계산을 끝내면 정말 편하겠죠? 배열수식을 이용하면 가능해요! 모든 품목의 최종 단가를 '50원' 단위로 맞춰볼게요.
[데이터]
품목,기본 단가,할인율
사과,1234,5%
배,2458,10%
포도,4890,3%
딸기,6210,8%
오렌지,980,12%
바나나,3150,5%
[수식]
E2부터 E7까지 범위를 모두 선택한 상태에서 아래 수식(중괄호 빼고)을 입력하고, 그냥 Enter가 아닌 Ctrl + Shift + Enter를 동시에 눌러주세요!
{=MROUND(B2:B7*(1-C2:C7), 50)}
수식 양쪽에 { } (중괄호)가 자동으로 생기면 배열수식이 제대로 입력된 거예요!
[결과]
각 품목의 할인된 가격이 계산된 후, 가장 가까운 50원 단위로 반올림된 최종 단가가 E열에 한 번에 채워집니다. 데이터가 많을 때 정말 유용한 꿀팁이죠!
😥 "이럴 땐 어떡하죠?" MROUND 함수 오류 대처법
가끔씩 원하지 않는 오류 메시지가 뜨면 당황스럽죠? MROUND 함수가 보내는 신호를 미리 알아두자고요!
- #NUM! : 가장 흔한 오류예요. 위에서 강조했듯이, 숫자와 배수의 부호가 다를 때 발생해요. 예를 들어 =MROUND(10, -2) 처럼요. 모든 인수의 부호를 통일해주세요!
- #VALUE! : 인수로 숫자가 아닌 텍스트나 다른 값이 들어갔을 때 발생해요. 데이터에 혹시 오타나 공백이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함께 쓰면 효과 2배! 관련 함수들
MROUND 함수와 비슷한 듯 다른, 숫자 반올림 어벤져스 친구들이에요. 상황에 맞게 골라 쓰면 당신은 엑셀 고수!
- ROUND: 우리가 흔히 아는 소수점 n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는 함수예요.
- ROUNDUP / ROUNDDOWN: 무조건 올리거나 내리고 싶을 때 사용해요.
- CEILING.MATH: MROUND와 비슷하지만, 무조건 배수에 맞춰 '올림'을 할 때 사용해요. (예: 12를 10의 배수로 올리면 20)
- FLOOR.MATH: CEILING.MATH의 반대로, 무조건 배수에 맞춰 '내림(버림)'을 할 때 사용해요. (예: 12를 10의 배수로 내리면 10)
⛳ 오늘 강의 핵심 요약과 마무리
자, 오늘 배운 MROUND 함수를 마지막으로 정리해볼까요?
- MROUND는 숫자를 내가 원하는 배수 중 가장 가까운 값으로 반올림한다.
- 구문은 아주 간단! =MROUND(숫자, 배수)
- 가장 중요한 것은 숫자와 배수의 부호(+, -)를 똑같이 맞춰야 한다는 점!
이제 실무에서 지저분한 숫자들을 원하는 단위로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겠죠? 오늘 배운 내용 중 궁금한 점이나 더 알고 싶은 활용법이 있다면 주저 말고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세요!
여러분의 '공감'과 '공유' 는 제가 더 유익하고 재미있는 엑셀 강의를 만드는 데 정말 큰 힘이 된답니다! 😉
작성자: 마늘빵
📱 [모바일 HUG] 엑셀 MROUND 함수 1분 정복
바쁘신 분들을 위해 모바일에서 빠르게 훑어볼 수 있도록 준비했어요!
- 🤔 MROUND, 뭐하는 건가요?
- 숫자를 원하는 배수 중 가장 가까운 값으로 반올림하는 함수
- ✍️ 어떻게 쓰나요?
- =MROUND(반올림할 숫자, 기준 배수)
- =MROUND(123, 10) → 결과: 120
- =MROUND(128, 10) → 결과: 130
- 🚀 실전 예제 (가장 많이 써요!)
- 가격 100원 단위로 맞추기: =MROUND(계산된 가격, 100)
- 시간 15분 단위로 정리: =MROUND(근무 시간, "0:15")
- 🚨 주의하세요!
- #NUM! 오류가 뜨면? → 숫자와 배수의 부호(+, -)가 다른지 확인!
- 💡 핵심 요약
- 숫자를 특정 단위(배수)로 깔끔하게 정리하고 싶을 때, MROUND 함수를 기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