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시간 계산의 모든 것, 텍스트를 진짜 시간으로 바꾸는 TIMEVALUE 함수 사용법 완벽 정복

 

엑셀로 근무 시간을 관리하거나 프로젝트 시간을 기록할 때, 텍스트 형식으로 입력된 시간 때문에 합계가 구해지지 않아 답답했던 경험, 다들 한 번쯤 있으시죠? 😫 매번 '09:00'처럼 직접 입력하기도 번거롭고요. 이런 불편함을 한 방에 해결해 줄 아주 유용한 함수가 바로 TIMEVALUE 함수랍니다. 오늘은 텍스트(Text)를 엑셀이 알아듣는 진짜 시간(Time)으로 변환해 주는 똑똑한 TIMEVALUE 함수에 대해 쉽고 자세하게 알려드릴게요!

 

📌 [핵심] TIMEVALUE 함수는 텍스트 형태의 시간을 엑셀이 계산할 수 있는 '시간 일련번호'로 바꿔주는 마법사예요!

 


TIMEVALUE 함수, 대체 뭔가요?

엑셀에서 시간은 사실 숫자로 저장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예를 들어, 정오 12시는 숫자 0.5로 저장돼요. 하루 24시간을 1로 보고 계산하는 거죠. TIMEVALUE 함수는 '오후 3시 30분' 이나 '15:30' 처럼 텍스트로 쓰인 시간을 엑셀이 이해하는 숫자 (0에서 0.999... 사이의 소수)로 바꿔주는 역할을 해요. 이 변환 과정이 있어야 텍스트 시간이 계산이 가능해진답니다.

 

함수 구문 및 인수

TIMEVALUE 함수의 구조는 정말 간단해요. 딱 하나의 인수만 필요하거든요!

=TIMEVALUE(time_text)

- time_text (필수 인수): 시간으로 변환하고 싶은 텍스트를 의미해요. "18:30" 처럼 큰따옴표로 묶인 텍스트나, 시간이 텍스트로 입력된 셀 주소를 넣을 수 있습니다.

 

⚠️ 꼭 알아둘 주의사항 (Note)

  • TIMEVALUE 함수는 날짜 정보는 무시해요. 예를 들어 "2025-09-02 10:30 AM"을 넣으면 날짜 부분은 버리고 '10:30 AM'에 해당하는 값만 반환해요.
  • 반환된 값은 0과 0.99988426 사이의 소수이므로, 우리가 아는 시간 형태로 보려면 셀 서식을 '시간' 형식으로 꼭 바꿔줘야 해요. (단축키: Ctrl + 1)

 


💻 TIMEVALUE 함수 실전 예제 따라하기

직접 예제를 통해 TIMEVALUE 함수가 어떻게 활용되는지 알아볼까요?

 

예제 1. 기본 사용법: 텍스트 시간을 숫자로 변환하기

가장 기본적인 활용법이에요. A열에 텍스트로 입력된 출근 시간을 B열에서 TIMEVALUE 함수로 변환해 볼게요.

 

[데이터]

출근 시간(텍스트),시간 일련번호
"09:05",""
"09:15",""
"08:58",""
"10:02",""
"09:30 AM",""
"1:00 PM",""

 

적용 수식

=TIMEVALUE(A2)

예제1. 엑셀 TIMEVALUE 함수 시간 텍스트를 일련번호로 변환

 

B2셀에 위 수식을 입력하고 아래로 쭉 채워보세요. B열의 셀 서식을 '시간' 으로 변경하면(C열) A열과 똑같이 보이지만, C열의 데이터는 이제 덧셈, 뺄셈이 가능한 진짜 '시간' 데이터랍니다! (사실 요즘 엑셀은 텍스트 시간도 인식해서 계산되긴 해요 😅)

💬 팁!
텍스트는 왼쪽 정렬되고 시간과 같은 수치들은 오른쪽 정렬되요. 이 정렬 방향만으로도 한번에 텍스트와 수치를 구분할 수 있어요.

 

예제 2. 중급 활용: 근무 시간 계산하기 (TIMEVALUE & TEXT 함수 조합)

텍스트로 기록된 출근, 퇴근 시간으로 실제 근무 시간을 계산해 볼까요? TIMEVALUE 함수로 각 시간을 변환한 뒤 빼주면 간단해요. 마지막에 TEXT 함수를 사용해 "8시간 30분" 형태로 표시해 볼게요.

 

[데이터]

직원명,출근(텍스트),퇴근(텍스트),총 근무시간
"김민준","9시 00분","18시 30분",""
"이서연","8시 55분","18시 05분",""
"박도윤","9시 10분","19시 00분",""
"최아윤","9시 30분","18시 30분",""
"정시우","8시 45분","17시 45분",""

 

적용 수식

=TEXT(TIMEVALUE(C2)-TIMEVALUE(B2), "h시간 m분")

D2셀에 위 수식을 입력하고 채워 넣으면 각 직원의 총 근무시간이 깔끔하게 계산되어 나와요. 정말 편리하죠? 🤓

예제2. 엑셀 TIMEVALUE 함수로 근무시간 계산하기

 

TIMEVALUE 함수로 텍스트 시간을 '시간 일련번호' 로 변환한 뒤, 퇴근-출근 으로 시간계산하고, TEXT 함수로 서식("h시간 m분")을 지정해서 표시해요.

 

예제 3. 고급 활용: 특정 시간 이후 데이터만 합계내기 (배열수식 & SUM & IF 함수 조합)

이번엔 좀 더 난이도를 높여볼까요? 오후 1시 이후에 발생한 판매금액의 합계만 구하고 싶어요. 시간은 텍스트로 되어 있고요. 이때는 배열수식을 활용하면 멋지게 해결할 수 있답니다.

 

[데이터]

주문 시간(텍스트),상품명,판매금액
"10:30","A상품",50000
"14:05","B상품",35000
"09:15","C상품",120000
"16:40","A상품",45000
"11:20","D상품",80000
"13:05","B상품",35000
"18:10","C상품",150000

 

적용 수식

{=SUM(IF(TIMEVALUE(A2:A8)>=TIMEVALUE("13:00"),C2:C8))}
=SUMPRODUCT((TIMEVALUE(A2:A8)>=TIMEVALUE("13:00"))*C2:C8)     // SUM과 IF 조합대신 SUMPRODUCT 하나로도 가능!

예제3. 엑셀 TIMEVALUE 함수 배열 수식 활용 조건부 합계 구하기

 

※ 위 수식은 배열수식이므로, 입력 후 그냥 Enter가 아닌 Ctrl + Shift + Enter를 동시에 눌러야 해요! 그러면 중괄호 {}가 자동으로 생긴답니다. 이 수식은 주문 시간(A열)을 TIMEVALUE로 변환한 값이 오후 1시(13:00) 이후인 경우에만 판매금액(C열)을 더해줍니다.😊

 

예제 4. 실무 활용: 시스템 로그 데이터 분석

시스템에서 추출한 로그 데이터는 보통 날짜와 시간이 텍스트로 합쳐져 있는 경우가 많아요. 여기서 시간만 쏙 빼내어 특정 시간대 접속 건수를 세어볼까요?

 

[데이터]

로그 기록(텍스트),분석
"2025-09-02 09:10:33",""
"2025-09-02 14:25:11",""
"2025-09-02 08:55:45",""
"2025-09-02 17:05:01",""
"2025-09-02 09:33:18",""
"2025-09-02 10:45:59",""

 

분석 수식 (로그기록에서 TIMEVALUE 함수로 날짜 일련번호 얻기)

=TIMEVALUE(A2)        // 

TIMEVALUE 함수는 날짜와 시간이 함께 있어도 시간 일련번호만 얻습니다. 이렇게, B열은 로그기록에서 시간 일련번호를 구합니다. 물론, =TIMEVALUE(MID(A2,12,8)) 수식과 같이 시간 부분만 MID 함수로 추출해 바꿀 수도 있습니다.

 

최종 수식 (오전 9시대 접속 건수 카운트)

=COUNTIFS(B2:B7, ">="&TIMEVALUE("9:00:00"), B2:B7, "<"&TIMEVALUE("10:00:00"))

예제4. 엑셀 TIMEVALUE 함수, COUNTIFS 로 조건부 갯수 구하기

 

그 다음, COUNTIFS 함수와 TIMEVALUE 함수를 함께 사용하면 원하는 시간대의 접속 건수를 쉽게 집계할 수 있습니다. 실무 데이터 분석에 정말 유용하겠죠? 👍

💬 참고. 이 수식의 핵심은 관계 연산자( ">=" 과 "<" )와 TIMEVALUE 함수를 연결 연산자 &(앰퍼샌드)로 연결하는 거에요.

 


🔍 TIMEVALUE 함수, 이럴 땐 오류가 나요!

  • #VALUE! 오류: 가장 흔한 오류예요. 인수로 입력한 텍스트가 엑셀에서 인식할 수 없는 시간 형식이거나, 날짜/시간으로 변환할 수 없는 텍스트일 때 발생해요. ('오후 7시 반' 같은 텍스트는 인식 못 해요!)
  • #NAME? 오류: 함수 이름을 TIMEVALUE 대신 TINEVALUE 처럼 오타를 냈을 경우 발생해요. 함수 이름을 다시 한번 확인해 주세요.

 


🌞 함께 쓰면 더 좋은 친구 함수들

  • VALUE 함수: 텍스트 형식의 '숫자'를 진짜 숫자로 바꿔줘요. TIMEVALUE 가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대상이 시간이라는 점이 달라요.
  • DATEVALUE 함수: 텍스트 형식의 '날짜'를 엑셀 날짜 일련번호로 바꿔줘요. TIMEVALUE의 단짝 친구랍니다.
  • TIME 함수: 시, 분, 초를 각각의 숫자로 입력받아 시간 데이터를 만들어주는 함수예요.
  • TEXT 함수: 숫자(시간, 날짜 포함)를 원하는 텍스트 형식으로 바꿔줘요. 계산 결과를 보고서 형식에 맞게 표현할 때 아주 유용해요.

 


🎓 오늘 배운 내용 총정리

오늘은 텍스트로 된 시간을 계산 가능한 진짜 시간 데이터로 바꿔주는 TIMEVALUE 함수에 대해 배워봤어요. 어떠셨나요? 이제 더 이상 시간 데이터 때문에 골치 아플 일은 없겠죠? 단순히 시간을 변환하는 것부터 시작해서, 다른 함수들과 조합하여 근무시간을 계산하고, 조건에 맞는 데이터 합계를 구하는 고급 기술까지! TIMEVALUE 함수가 엑셀 작업 효율을 쉽게 올릴 수도 있답니다.

 

오늘 배운 내용을 꼭 직접 실습해보시고, 여러분의 엑셀 실력으로 만들어보세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질문 남겨주시고요.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공유 부탁드려요! 여러분의 응원이 저에겐 큰 힘이 된답니다. 😊

 

 

작성자: 마늘빵


📱 모바일에서 빠르게 보는 TIMEVALUE 핵심 요약

1. TIMEVALUE 함수란?

  • 텍스트("09:30")를 엑셀 시간(숫자)으로 바꿔주는 함수
  • 구문: =TIMEVALUE(시간텍스트)

2. 언제 사용하나요?

  • 텍스트로 된 시간의 합계/평균 등 계산이 필요할 때
  • 근무 시간, 소요 시간 등 시간 차이를 구해야 할 때

3. 핵심 사용 예시 (근무시간 계산)

  • =TIMEVALUE("18:30") - TIMEVALUE("09:00")
  • 결과는 시간 서식으로 변경 필수! (Ctrl+1 > 시간)

4. 주의할 점!

  • 날짜 정보는 무시하고 시간만 변환해요.
  • #VALUE! 오류는 인식할 수 없는 텍스트가 전달되었을 때 발생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