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ACCRINT 함수 사용법, 채권 경과 이자 완벽 정복 (ft. 실무 예제 총정리)

 

안녕하세요, 여러분! 엑셀의 모든 것을 알려드리는 마늘빵 블로거입니다. 😊

 

혹시 채권 투자나 재무 관련 업무를 하시면서 특정 시점까지 발생한 이자, 즉 '경과 이자' 를 계산해야 해서 막막했던 경험 있으신가요? 발행일과 이자 지급일, 결제일 등 날짜가 제각각이라 수작업으로 계산하기엔 너무 복잡하죠. 오늘 배울 ACCRINT 함수 하나면 이런 고민을 한 방에 해결할 수 있답니다!

 

📌 [핵심] ACCRINT 함수는 정기적으로 이자를 지급하는 채권의 경과 이자를 날짜 기준으로 정확하게 계산해주는 강력한 재무 함수예요.

 

자, 그럼 지금부터 저와 함께 ACCRINT 함수의 세계로 떠나볼까요?🚀

 

📊 엑셀 ACCRINT 함수, 대체 뭔가요?

ACCRINT 함수는 'Accrued Interest'의 약자로, 말 그대로 '경과 이자'를 계산하는 함수입니다. 채권을 매수하거나 매도할 때, 마지막 이자 지급일로부터 거래 시점(결제일)까지 기간 동안 발생한 이자를 계산할 때 사용돼요.

 

재무팀이나 증권, 자산운용 관련 업무를 하신다면 정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필수 함수 중 하나랍니다. 수식 하나로 복잡한 날짜 계산을 끝낼 수 있으니, 업무 효율이 수직 상승하겠죠?

 

✍️ ACCRINT 함수 구문 및 인수 완전 정복

ACCRINT 함수의 기본 구조는 아래와 같아요. 인수가 조금 많아 보이지만, 하나씩 뜯어보면 전혀 어렵지 않아요!

=ACCRINT(issue, first_interest, settlement, rate, par, frequency, [basis], [calc_method])
인수 필수 여부 설명
issue 필수 채권의 발행일입니다.
first_interest 필수 채권의 첫 이자 지급일입니다.
settlement 필수 채권의 결제일(거래일)입니다. 경과 이자는 이 날짜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rate 필수 채권의 연간 표면 이자율입니다. (예: 5%는 0.05로 입력)
par 필수 채권의 액면가입니다.
frequency 필수 연간 이자 지급 횟수입니다. (연 1회: 1, 반기별: 2, 분기별: 4)
[basis] 선택 날짜 계산 기준입니다. 생략하거나 0을 입력하면 미국 방식(30/360)으로 계산됩니다. (0~4)
[calc_method] 선택 총 경과이자를 계산할지 여부를 지정합니다. TRUE(1) 또는 생략 시 발행일부터 결제일까지의 총 경과이자를, FALSE(0) 입력 시 첫 이자 지급일부터 결제일까지의 경과이자를 반환합니다.

💡 노트: 이것만은 꼭! ACCRINT 함수 사용 시 주의사항

  • issue, first_interest, settlement 날짜는 반드시 엑셀에서 인식 가능한 날짜 형식(예: "2024-01-15" 또는 DATE 함수 사용)으로 입력해야 해요.
  • rate(이자율)과 par(액면가)는 0보다 큰 숫자여야 합니다.
  • frequency는 1, 2, 4 중 하나여야 하며, 정수가 아닌 경우 소수점 이하는 버려집니다.
  • 모든 인수는 숫자로 입력되어야 하며, 텍스트가 포함되면 #VALUE!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ACCRINT 함수, 예제로 마스터하기

백문이 불여일견! 직접 예제를 통해 ACCRINT 함수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알아볼게요.

 

예제 1: 기본 경과 이자 계산하기

가장 기본적인 사용법이에요. 특정 채권의 결제일 기준 경과 이자를 계산해 보겠습니다.

 

데이터

채권명,발행일,첫 이자일,결제일,표면이율,액면가,이자지급횟수
국채 24-1,2024-01-15,2024-07-15,2024-05-20,5.00%,1000000,2

 

수식

=ACCRINT(B2, C2, D2, E2, F2, G2, 1)

예제1. 엑셀 ACCRINT 함수를 활용하는 기본 용법

 

결과

17307.69231

 

설명

발행일(24년 1월 15일)부터 결제일(24년 5월 20일)까지, 연 5% 이율로 반기마다 이자를 지급하는 100만 원짜리 채권의 경과 이자를 계산했어요. basis 는 1 (실제 일수/실제 일수) 기준으로 계산했습니다. 이자가 쌓인 기간인 약 4개월 치의 이자 17,308원(반올림) 이 정확하게 계산되었네요!

 

예제 2: 날짜 계산 기준(Basis)에 따른 결과 비교

basis 인수는 날짜를 어떻게 계산할지에 대한 규칙이에요. 이 값이 달라지면 결과도 미세하게 달라질 수 있답니다. 실무에서는 계약 조건에 맞는 basis 를 사용하는 게 중요해요.

 

데이터

기준(Basis),설명,발행일,첫 이자일,결제일,표면이율,액면가,이자지급횟수
0,"미국 (NASD) 30/360",2024-01-01,2025-01-01,2024-09-10,4.50%,10000000,1
1,"실제 일수/실제 일수",2024-01-01,2025-01-01,2024-09-10,4.50%,10000000,1
2,"실제 일수/360",2024-01-01,2025-01-01,2024-09-10,4.50%,10000000,1
3,"실제 일수/365",2024-01-01,2025-01-01,2024-09-10,4.50%,10000000,1
4,"유럽 30/360",2024-01-01,2025-01-01,2024-09-10,4.50%,10000000,1

 

수식 (J2 셀에 입력 후 아래로 자동 채우기)

=ACCRINT(C2, D2, E2, F2, G2, H2, A2)

예제2. 엑셀 ACCRINT 함수 날짜계산 규칙에 따른 다른 결과

 

설명

동일한 조건이라도 basis 값에 따라 경과 이자가 다르게 계산되는 것을 볼 수 있죠? 각국의 채권 시장이나 계약 조건에 따라 사용하는 기준이 다르므로, 업무 시에는 어떤 기준을 적용해야 하는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

 

예제 3: 실무 활용 - 여러 채권 포트폴리오의 경과 이자 한번에 계산하기

실무에서는 여러 개의 채권을 관리하는 경우가 많죠. ACCRINT 함수를 사용하면 포트폴리오의 총 경과 이자도 손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채권코드,발행일,첫 이자일,결제일,표면이율,액면가,이자지급횟수(연)
KR103501G57,2022-07-10,2023-01-10,2024-11-25,3.50%,50000000,2
KR204802H48,2023-04-15,2023-10-15,2024-11-25,4.20%,30000000,2
KR105123I39,2023-09-20,2024-03-20,2024-11-25,3.80%,100000000,2
KR306634J1A,2024-01-30,2024-07-30,2024-11-25,4.50%,75000000,2
KR407905K2B,2024-02-28,2025-02-28,2024-11-25,4.00%,20000000,1
KR108216L8C,2024-08-10,2025-02-10,2024-11-25,3.90%,80000000,2

 

수식 (I2 셀에 입력 후 아래로 자동 채우기)

=ACCRINT(B2,C2,D2,E2,F2,G2,1)

예제3. 엑셀 ACCRINT 함수 채권별 경과 이자 계산값 반환

 

결과

(I 열에 각 채권별 경과 이자가 계산됩니다.)

 

설명

이렇게 함수 하나만 설정하고 아래로 쭉 드래그하면, 수십, 수백 개의 채권이라도 단 몇 초 만에 경과 이자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정말 편리하죠?

 

😥 "앗, 오류!" ACCRINT 함수 주요 오류와 해결법

함수를 사용하다 보면 예상치 못한 오류를 만날 수 있어요. 당황하지 마시고 아래 내용을 확인해 보세요!

  • #VALUE! : 인수로 입력된 날짜가 유효한 날짜 형식이 아니거나, 숫자여야 할 인수에 텍스트가 포함된 경우 발생합니다. 날짜 형식을 확인하고, 숫자 인수에 텍스트가 섞여있지 않은지 체크해 보세요.
  • #NUM! : 숫자 인수가 유효하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 rate ≤ 0 또는 par ≤ 0
    • frequency가 1, 2, 4가 아닌 다른 숫자일 경우
    • basis < 0 또는 basis > 4
    • issue ≥ settlement (발행일이 결제일보다 나중일 경우)
    • 위 조건에 해당하는 인수가 있는지 꼼꼼히 살펴보세요.

 

🤝 함께 쓰면 시너지 UP! 관련 함수

ACCRINT 함수와 함께 알아두면 좋은 재무 함수들도 있어요.

  • ACCRINTM: 만기 시에 이자를 한 번에 지급하는 채권의 경과 이자를 계산할 때 사용해요.
  • YIELD: 채권의 만기 수익률을 계산합니다.
  • PRICE: 액면가 100원당 채권의 현재 가격을 계산합니다.
  • COUPNCD: 결제일 이후의 다음 이자 지급일을 계산해 줍니다.

 

🐱‍🐉 맺음말: ACCRINT 함수로 재무 분석 전문가 되기

오늘은 채권의 경과 이자를 손쉽게 계산해 주는 재무 함수, ACCRINT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았습니다. 복잡해 보였던 인수들도 하나씩 살펴보니 생각보다 간단하죠?

 

오늘 배운 내용을 꼭 실제 업무에 적용해 보세요. 처음에는 낯설 수 있지만, 몇 번 사용하다 보면 금세 익숙해져서 여러분의 엑셀 능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해 줄 거예요.

 

오늘 내용이 유익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리고, 궁금한 점은 언제든지 질문 남겨주세요! 여러분의 엑셀 여정에 든든한 동반자가 되어 드릴게요. 😉

 

 

작성자: 마늘빵


📱 모바일에서 빠르게 다시보기

✅ ACCRINT 함수 핵심 요약

  • 기능: 정기적으로 이자를 지급하는 유가증권의 경과 이자 계산
  • 핵심 구문: =ACCRINT(발행일, 첫이자일, 결제일, 이율, 액면가, 연간이자횟수, [날짜기준])
  • 주요 인수:
    • issue: 채권 발행일
    • settlement: 거래일(결제일)
    • rate: 연 이자율
    • frequency: 연 이자 지급 횟수 (1, 2, 4)
  • 주의사항: 날짜는 유효한 형식으로, 숫자 인수는 양수로 입력!
  • 활용: 채권 포트폴리오 관리, 재무 분석, 투자 수익률 계산 시 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