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엑셀의 모든 것을 알려드리는 IT 길잡이입니다. 😊 엑셀 작업을 하다 보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패턴을 다뤄야 할 때가 정말 많죠? 예를 들어 '데이터를 3개 팀에 순서대로 배분해야 하는데...', '보기 편하게 두 줄에 한 번씩 배경색을 넣고 싶은데...' 와 같은 고민, 한 번쯤 해보셨을 거예요. 이 모든 것을 아주 간단하게 해결해 줄 마법 같은 함수가 있답니다. 바로 오늘 함께 배워볼 MOD 함수예요!
📌 [핵심] MOD 함수는 나눗셈의 '나머지'를 구해주는 아주 유용한 함수예요.
📊 MOD 함수, 대체 뭔가요?
MOD 함수는 'Modulo' 의 줄임말로, 어떤 숫자를 다른 숫자로 나누었을 때 남는 '나머지' 값을 구해주는 정말 단순하면서도 강력한 함수랍니다. 이 '나머지' 라는 특성을 이용하면 정말 다양한 작업들을 자동화할 수 있어요!
함수 구문 (기본 공식)
=MOD(number, divisor)
함수 인수 설명
- number: 필수 요소예요. 나머지를 구하려는 전체 숫자(나눠지는 수)를 의미합니다.
- divisor: 필수 요소예요. number를 나눌 숫자(나누는 수)를 의미합니다.
⚠️ 잠깐! 주의할 점
divisor(나누는 수)에는 절대로 0을 입력하면 안 돼요! 수학에서 어떤 숫자든 0으로 나눌 수 없는 것처럼, 엑셀에서도 0으로 나누려고 하면 #DIV/0! 오류가 발생한답니다. 꼭 기억해 주세요!
🚀 MOD 함수 실전 예제 (기본부터 실무 활용까지)
백 마디 설명보다 직접 해보는 게 최고죠? 가장 많이 사용하는 예제 4가지를 통해 MOD 함수와 완벽하게 친해져 봐요!
예제 1: 사은품 공평하게 나눠주기 (기본)
10명의 고객에게 3종류의 사은품(A, B, C)을 순서대로 공평하게 나눠줘야 하는 상황을 가정해 볼게요.
[데이터]
고객명,순번
김민준,1
이서연,2
박도윤,3
최지우,4
정하은,5
강시우,6
윤채원,7
임서준,8
오지아,9
한유나,10
[수식]
D2 셀에 입력 후 아래로 쭉 채워주세요.
=MOD(B2-1, 3) + 1

[설명]
왜 B2-1 을 할까요? 순번을 그대로 3 으로 나누면 나머지가 1, 2, 0 이 나와요. 저희는 1, 2, 3 번 사은품을 배정하고 싶으니, 순번에서 1 을 빼서 나머지를 0, 1, 2 로 만든 후, 다시 1을 더해 1, 2, 3 이라는 결과를 순서대로 얻는 원리랍니다. 아주 간단하죠?
예제 2: 상품 코드 짝수/홀수 판별하기 (중급: IF 함수 조합)
상품 코드가 짝수인지 홀수인지에 따라 다른 배송 방법을 적용해야 할 때 유용하게 쓸 수 있어요.
[데이터]
상품명,상품코드
스마트워치,15234
블루투스 이어폰,28891
노트북 거치대,30156
USB 허브,47820
웹캠,54323
기계식 키보드,60118
무선 마우스,73345
모니터 조명,81112
[수식]
D2 셀에 입력 후 아래로 쭉 채워주세요.
=IF(MOD(B2, 2)=0, "A타입 배송", "B타입 배송")

[설명]
어떤 숫자를 2 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0 이면 '짝수', 1 이면 '홀수'인 원리를 이용하는 거예요. MOD 함수로 상품코드를 2로 나눈 나머지를 구하고, IF 함수를 통해 그 결과가 0 이면 "A타입 배송", 아니면 "B타입 배송"을 표시하도록 한 거죠. 정말 유용하죠?
예제 3: 3번째 행마다 배경색 넣기 (고급: 조건부 서식 활용)
데이터가 너무 많아서 눈에 잘 들어오지 않을 때, 특정 행마다 색을 칠해주면 가독성이 확 올라가요!
[데이터]
날짜,지점,판매액
2025-09-01,강남점,5200000
2025-09-01,홍대점,3800000
2025-09-01,종로점,4150000
2025-09-02,강남점,6100000
2025-09-02,홍대점,2950000
2025-09-02,종로점,4500000
2025-09-03,강남점,5550000
2025-09-03,홍대점,4100000
2025-09-03,종로점,3900000
[적용 방법]
ㄱ. 서식을 적용할 데이터 범위(A2:C10)를 선택하세요.
ㄴ. 홈 탭 → 스타일 그룹 → 조건부 서식 → 새 규칙 을 클릭하세요.

ㄷ. 수식을 사용하여 서식을 지정할 셀 결정을 선택하세요.
ㄹ. 아래 수식을 입력창에 넣어주세요.
=MOD(ROW(), 3)=0
ㅁ. 서식 버튼을 눌러 원하는 채우기 색을 선택하고 확인 을 누르면 끝!

[설명]
ROW() 함수는 현재 셀의 행 번호를 알려주는 함수예요. =MOD(ROW(), 3)=0 은 '현재 행 번호를 3으로 나눈 나머지가 0인 경우' 라는 조건이 되고, 이 조건이 참(True)이 되는 3번째, 6번째, 9번째... 행에만 우리가 지정한 서식이 적용되는 원리랍니다.

예제 4: 총 근무시간을 '시간' 과 '분' 으로 나누기 (실무 활용)
프로젝트에 투입된 총 근무시간(분)을 '몇 시간 몇 분' 형태로 보고해야 할 때 아주 유용해요.
[데이터]
프로젝트명,총 투입시간(분)
A 프로젝트,250
B 프로젝트,185
C 프로젝트,90
D 프로젝트,320
E 프로젝트,480
F 프로젝트,115
[수식]
- 시간 계산 (C2 셀):
=INT(B2/60)
- 분 계산 (D2 셀):
=MOD(B2, 60)

[설명]
총 투입시간을 60 으로 나눈 '몫' 은 시간이 되고, '나머지' 는 분이 되겠죠? '몫' 을 구하는 INT 함수와 '나머지' 를 구하는 MOD 함수를 함께 사용하면 시간을 깔끔하게 분리해서 표시할 수 있습니다.
🤔 자주 발생하는 오류와 해결법
- #DIV/0! : 가장 흔한 오류예요. 나누는 값(divisor)으로 0 이나 빈 셀을 지정했을 때 발생해요. 나누는 값이 0 이 아닌지 꼭 확인해주세요!
- #VALUE! : 숫자여야 할 인수에 텍스트 같은 다른 데이터 형식이 입력되었을 때 발생해요. 인수들이 모두 숫자인지 확인해주세요.
- 결과가 음수일 때: =MOD(-10, 3) 의 결과는 2 가 나와요. 엑셀의 MOD 함수는 결과값의 부호를 나누는 수(divisor)의 부호와 동일하게 맞추기 때문이에요. 이 점만 기억하면 음수 계산도 어렵지 않아요!
🔗 함께 쓰면 좋은 친구 함수들
MOD 함수는 다른 함수와 함께 쓸 때 그 능력이 배가 된답니다!
- IF: 조건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여줄 때 (짝수/홀수 판별 등)
- ROW / COLUMN: 특정 행이나 열마다 패턴을 적용할 때
- INT / QUOTIENT: 나눗셈의 몫과 나머지를 함께 구해야 할 때
- SUMPRODUCT: 복잡한 조건의 합계를 구할 때 응용 가능
💫 오늘 배운 내용 핵심 요약
오늘은 나눗셈의 '나머지' 를 구해주는 MOD 함수에 대해 알아봤어요.
- 기본 개념: 숫자를 나눈 나머지를 구한다! =MOD(숫자, 나눌 값)
- 활용법: 짝수/홀수 구분, 순번 지정, 주기적인 서식 적용 등 무궁무진!
- 꿀조합: IF, ROW, INT 함수와 함께 쓰면 실무 효율이 200% 상승해요!
오늘 배운 MOD 함수, 어떠셨나요? 처음엔 낯설 수 있지만 예제를 하나씩 따라 해보시면 '아, 이럴 때 쓰는 거구나!' 하고 무릎을 탁 치게 되실 거예요. 혹시 따라 해보시다가 궁금한 점이나 잘 안되는 부분이 있다면 주저하지 마시고 댓글로 남겨주세요! 여러분의 공감과 공유는 더 좋은 콘텐츠를 만드는 데 큰 힘이 된답니다. 😊
작성자: 마늘빵
📱 모바일에서 빠르게 다시보기
Q. MOD 함수가 뭐예요?
A. 숫자를 나눴을 때 '나머지'를 구해주는 함수예요. =MOD(전체값, 나눌값)
Q. 언제 사용하나요?
A. 짝수/홀수 구분, n번째마다 반복 작업(서식, 그룹 지정 등) 할 때 최고예요.
Q. 핵심 활용 공식 2가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