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STDEV 함수로 표준편차 쉽게 구하는 법 (데이터 분석 초보 탈출 실무 팁 포함)

 

안녕하세요! 😊

혹시 월별 매출 데이터나 제품 불량률 같은 숫자들을 보면서 '그래서 이 데이터가 안정적인 거야, 아니면 변동이 심한 거야?' 하고 막막했던 적 없으신가요? 평균값만으로는 알 수 없는 데이터의 숨겨진 이야기를 들여다보고 싶을 때, 바로 그때 필요한 함수가 있답니다. 오늘은 데이터의 '안정성'과 '일관성'을 한눈에 파악하게 해주는 똑똑한 함수, STDEV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핵심] 엑셀 STDEV 함수는 데이터가 평균에서 얼마나 흩어져 있는지, 즉 데이터의 안정성을 숫자로 보여주는 기능이에요.

 


📊 STDEV 함수, 왜 써야 할까요? (기본 개념 잡기)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평균' 은 전체 데이터를 대표하는 하나의 값이죠. 하지만 평균만으로는 데이터의 전체적인 그림을 파악하기 어려워요. 예를 들어, 두 반의 시험 평균이 모두 70점이라고 해볼게요.

  • A반 : 모든 학생이 65점에서 75점 사이에 골고루 분포
  • B반 : 몇 명은 100점이지만, 다른 몇 명은 40점대에 분포

평균은 같지만, 두 반의 상황은 완전히 다르죠? A반은 실력이 '고르다' 고 할 수 있고, B반은 '편차가 크다' 고 할 수 있어요. 이처럼 데이터가 평균을 중심으로 얼마나 널리 퍼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가 바로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이고, 이 값을 엑셀에서 쉽게 구해주는 함수가 바로 STDEV랍니다.

 

표준편차 값이 작을수록 데이터들이 평균에 가까이 모여 있다는 뜻이고, 그만큼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하다는 의미예요. 반대로 값이 크다면 데이터가 들쭉날쭉해서 변동성이 크다는 뜻이죠.

 


⚙️ 엑셀 STDEV 함수 완전 정복

 

1. 함수 기본 구문

STDEV 함수의 기본 구조는 매우 간단해요. 표준편차를 계산하고 싶은 숫자 범위를 지정해주기만 하면 됩니다.

=STDEV(number1, [number2], ...)
  • number1 (필수 인수) : 표준편차를 계산할 첫 번째 숫자 또는 셀 범위입니다.
  • [number2], ... (선택 인수) : 추가로 계산에 포함할 숫자나 셀 범위예요. 최대 255개까지 지정할 수 있습니다.

2. 📝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

  • STDEV vs STDEV.S vs STDEV.P : 엑셀 버전에 따라 여러 STDEV 함수가 보일 거예요.
    • STDEV : 오래된 버전과의 호환성을 위한 함수로, 표본(Sample) 의 표준편차를 구해요. (STDEV.S 와 동일)
    • STDEV.S : 표본(Sample) 데이터의 표준편차를 구합니다. (예: 우리 반 학생 30명의 성적) 실무에서는 대부분 STDEV.S 를 사용한다고 생각하시면 편해요!
    • STDEV.P : 모집단(Population) 전체 데이터의 표준편차를 구합니다. (예: 전교생 전체 성적)
  • 계산 제외 항목 : STDEV 함수는 숫자만 계산해요. 범위 안에 텍스트, 논리값(TRUE/FALSE), 빈 셀이 있다면 모두 무시하고 계산합니다.
  • 데이터 개수 : 계산에 포함되는 숫자가 2개 미만이면 #DIV/0! 오류가 발생해요.

 


🚀 실전! STDEV 함수 예제 따라 하기

백문이 불여일견이죠! 실제 업무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예제를 통해 함께 알아볼까요?

 

예제 1: 월별 매출 데이터 안정성 분석 (기본)

가장 기본적인 사용법이에요. 지난 8개월간의 월별 매출 데이터의 표준편차를 구해볼게요. 이 값이 작을수록 매월 꾸준한 매출을 올렸다는 의미겠죠?

 

[데이터]

월,매출(만원)
1월,5200
2월,5500
3월,5100
4월,5300
5월,4900
6월,5600
7월,5400
8월,5300

 

[수식]

=STDEV(B2:B9)

예제1. 엑셀 STDEV 와 STDEV.S 함수로 표본의 표준편차 계산

 

[결과]

223.207 정도의 값이 나올 거예요. 이 값을 기준으로 다음 분기 매출 변동성을 예측하거나 목표 설정에 활용할 수 있답니다. 표본집단을 표준편차 계산에 사용하는 STDEV 함수와 STDEV.S 함수는 동일한 결과를 반환합니다.

 

예제 2: 두 제품 불량률 비교 분석 (중급)

두 개의 생산 라인에서 만들어지는 제품 A와 B의 일일 불량률 데이터입니다. 어떤 제품의 품질이 더 안정적인지 표준편차로 비교해볼까요?

 

[데이터]

일자,제품A_불량률(%),제품B_불량률(%)
1일,1.5,0.5
2일,1.7,2.5
3일,1.4,1.0
4일,1.6,3.1
5일,1.5,0.8
6일,1.8,2.8
7일,1.3,1.2
8일,1.6,0.3

 

[수식]

제품 A 불량률 표준편차:

=STDEV(B2:B9)

예제2. 엑셀 STDEV 함수로 두 제품의 표준편차 비교

 

제품 B 불량률 표준편차:

=STDEV(C2:C9)

 

[결과]

  • 제품 A 결과: 약 0.16
  • 제품 B 결과: 약 1.10

결과를 보니 어떤가요? 제품 A 의 표준편차 값이 훨씬 작죠? 이것은 제품 A의 품질이 제품 B 보다 훨씬 더 안정적이고 균일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록 평균 불량률이 비슷하더라도, 이렇게 표준편차를 보면 데이터의 숨은 특성을 파악할 수 있어요.

 

예제 3: 특정 팀의 실적만 분석하기 (고급/실무 활용)

여러 팀의 실적 데이터가 섞여 있을 때, '영업 1팀' 의 실적 표준편차만 구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럴 땐 IF 함수와 함께 배열 수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팀,판매점수
영업1팀,88
영업2팀,95
영업1팀,92
영업3팀,85
영업2팀,78
영업1팀,85
영업1팀,95
영업3팀,91
영업2팀,88

[수식]

=STDEV(IF(A2:A10="영업1팀",B2:B10))

예제3. 엑셀 IF 함수와 조합해 영업1팀만의 표준편차 계산

 

[중요!] 이 수식은 배열 수식이므로, 그냥 Enter를 치면 안 돼요! 수식을 입력하고 나서 키보드에서 Ctrl + Shift + Enter를 함께 눌러야 합니다. 제대로 입력되면 수식 양쪽에 { } 중괄호가 자동으로 생긴답니다. (Microsoft 365 버전이나 최근 엑셀 버전에서는 그냥 Enter 를 눌러도 계산됩니다.)

 

이 방법을 활용하면 전체 데이터에서 내가 원하는 조건의 데이터만 쏙쏙 골라내 분석의 깊이를 더할 수 있어요!

 


❗️ STDEV 함수 사용 시 흔한 오류들

  • #DIV/0! : 가장 흔한 오류예요. 함수가 계산할 숫자가 하나밖에 없거나 아예 없을 때 발생합니다. 범위 안에 숫자가 2개 이상 있는지 확인해주세요.
  • #VALUE! : 직접 인수를 입력할 때, 숫자로 변환할 수 없는 텍스트를 입력하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결과값이 0 : 범위 안의 모든 숫자가 동일할 때 표준편차는 0 이 됩니다. 오류는 아니지만, 데이터가 모두 같은 값인지 확인해보세요!

🔗 함께 알면 좋은 함수들

STDEV 함수를 배우셨다면, 아래 함수들도 함께 알아두면 데이터 분석 능력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될 거예요!

  • STDEV.S / STDEV.P: 표본과 모집단을 구분해서 더 명확하게 표준편차를 구할 때 사용해요.
  • VAR.S / VAR.P: '분산'을 구하는 함수예요. 분산은 표준편차의 제곱값으로, 데이터의 흩어짐을 나타내는 또 다른 중요 지표입니다.
  • AVERAGE: 데이터의 '평균' 을 구하는 가장 기본적인 함수죠. 표준편차와 함께 사용하면 데이터의 중심 경향과 변동성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 MEDIAN: 데이터의 '중앙값'을 구해요. 평균이 극단적인 값에 영향을 받는 단점을 보완해줍니다.

 


💚 마무리하며

오늘은 데이터가 얼마나 안정적인지를 알려주는 강력한 도구, STDEV 함수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제 단순히 평균만 보지 마시고, STDEV 함수로 표준편차까지 꼭 확인해보세요! 데이터의 일관성을 파악하고, 더 정확한 예측과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큰 도움이 될 거예요.

 

오늘 배운 내용을 그냥 넘어가지 마시고, 가지고 계신 데이터에 직접 한번 적용해보는 건 어떨까요? 궁금한 점이나 잘 안되는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질문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려요! 여러분의 작은 응원이 더 좋은 콘텐츠를 만드는 데 큰 힘이 된답니다. 😊

 


📱 바쁜 분들을 위한 30초 요약 (모바일용)

  • STDEV 함수란?
    • 데이터가 평균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흩어져 있는지) 알려주는 '표준편차' 를 구하는 함수.
    • 값이 작을수록 데이터가 안정적이고, 클수록 변동이 심하다는 의미.
  • 기본 사용법
    • =STDEV(범위)
    • 예: =STDEV(A1:A10)
  • 언제 사용할까?
    • 월별 매출, 재고량 등 데이터의 안정성을 평가할 때
    • 두 개 이상의 그룹(제품, 팀 등) 데이터의 일관성을 비교할 때
    • 데이터의 변동성을 파악하여 위험을 관리하거나 미래를 예측할 때
  • 핵심 팁!
    • 실무에서는 대부분 표본을 다루므로 STDEV.S 함수를 쓰는 것이 더 정확해요.
    • 특정 조건의 데이터만 분석하고 싶을 땐 IF 함수와 함께 배열 수식(Ctrl+Shift+Enter)을 활용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