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채권 수익률 계산, YIELD 함수 사용법부터 실무 예제까지 완벽 정복!

 

안녕하세요! 😊 요즘 재테크로 채권 투자에 관심 있는 분들 많으시죠? 그런데 채권의 만기수익률(YTM), 직접 계산하려면 머리가 지끈지끈 아파오곤 해요. 😅 이럴 때 필요한 게 바로 엑셀입니다!

 

엑셀 YIELD 함수만 알면 복잡한 채권 수익률 계산도 순식간에 끝낼 수 있답니다. 오늘은 저와 함께 YIELD 함수의 사용법부터 실무에서 바로 써먹을 수 있는 꿀팁까지, 모든 것을 파헤쳐 볼게요!

 

📌 [핵심] YIELD 함수는 정기적으로 이자를 지급하는 채권의 만기수익률을 구하는 아주 유용한 재무 함수예요.

 


📈 엑셀 YIELD 함수, 대체 뭔가요?

YIELD 함수는 쉽게 말해, '내가 이 채권을 만기까지 가지고 있으면 연평균 몇 %의 수익을 얻을 수 있을까?'를 알려주는 함수입니다. 투자자에게는 가장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인 만기수익률(Yield to Maturity, YTM)을 계산해 주죠.

 

이 함수를 사용하면 채권의 현재 가격, 액면가, 이자율 등을 고려하여 최종 수익률을 매우 정확하고 빠르게 구할 수 있습니다.

 

✅ YIELD 함수 구문

YIELD 함수의 기본 구조는 아래와 같아요. 인수가 많아 보이지만, 하나씩 뜯어보면 전혀 어렵지 않아요!

=YIELD(settlement, maturity, rate, pr, redemption, frequency, [basis])
인수 (Argument) 설명
settlement (필수) 인수일 또는 결제일. 채권을 매입한 날짜입니다.
maturity (필수) 만기일. 채권의 원금과 마지막 이자를 상환받는 날짜입니다.
rate (필수) 연간 이자율(표면금리). 채권에 명시된 연 이자율입니다.
pr (필수) 현재 가격. 액면가 100원을 기준으로 한 현재 시장 가격입니다.
redemption (필수) 상환액. 액면가 100원을 기준으로 만기 시 돌려받는 금액입니다. 보통 100을 입력해요.
frequency (필수) 연간 이자 지급 횟수. 연 1회는 1, 반기(6개월)는 2, 분기는 4를 입력합니다.
[basis] (선택) 날짜 계산 기준. 생략하거나 0을 입력하면 미국 방식(30/360)을 따릅니다.

 

✍️ YIELD 함수 사용 전, 꼭 기억하세요! (주의사항)

  • 날짜 형식: settlementmaturity 인수는 반드시 엑셀이 인식할 수 있는 날짜 형식이어야 해요. 직접 입력하기보다는 DATE(연, 월, 일)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정확합니다.
  • 기간: settlement(인수일) 는 maturity(만기일)보다 이전 날짜여야 합니다.
  • 가격 기준: pr(현재가)과 redemption(상환액)은 액면가 100을 기준으로 한다는 점을 잊지 마세요! 예를 들어 액면가 10,000원짜리 채권이 9,800원에 거래된다면 pr 인수는 98이 됩니다.

 


💻 이제 직접 써봐야죠! YIELD 함수 실전 예제

백문이 불여일견! 직접 예제를 통해 YIELD 함수를 마스터해볼까요?

 

예제 1: 기본 채권 수익률 계산하기

가장 기본적인 상황을 가정해 볼게요. 아래와 같은 조건의 국채가 있을 때 만기수익률은 얼마일까요?

 

데이터 (CSV 형식)

항목,데이터
인수일,2025-10-11
만기일,2030-10-11
연 이자율,3.5%
현재 가격(100 기준),98
상환액(100 기준),100
연 이자 지급 횟수,2

 

수식 입력

=YIELD(B2, B3, B4, B5, B6, B7)        // 참조로 인수 사용
=YIELD(DATE(2025,10,11), DATE(2030,10,11), 3.5%, 98, 100, 2)    // 인수 직접입력

예제1. 엑셀 YIELD 함수로 만기수익률 계산해 보기

 

결과 및 해석

  • 결과: 3.945%
  • 해석: 위 채권을 오늘 98에 사서 5년 뒤 만기까지 보유한다면, 이자와 시세차익을 모두 포함하여 연평균 약 3.95%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현재 가격이 액면가(100)보다 싸기 때문에(할인 발행), 표면금리(3.5%)보다 높은 수익률이 나오죠!

 

예제 2: 프리미엄 채권(고가 채권) 수익률 계산하기

이번에는 액면가보다 비싸게 거래되는 프리미엄 채권의 경우를 살펴볼까요? 인기가 많은 채권이라 웃돈을 주고 사야 하는 상황이죠.

 

데이터 (CSV 형식)

채권명,인수일,만기일,연이율,현재가,상환액,이자지급횟수
회사채 A,2025-11-01,2035-11-01,4.0%,105,100,2

 

수식 입력

=YIELD(B2, C2, D2, E2, F2, G2)
=YIELD(DATE(2025,11,1), DATE(2035,11,1), 4.0%, 105, 100, 2)

예제2. 엑셀 YIELD 함수 고가 채권 수익률 계산

 

결과 및 해석

  • 결과: 3.406%
  • 해석: 이 채권의 표면금리는 4.0%로 높아 보이지만, 액면가보다 5 만큼 비싸게 주고 샀기 때문에 만기시 시세차손이 발생합니다. 이를 반영한 최종 만기수익률은 약 3.406% 로 표면금리보다 낮아지게 됩니다. YIELD 함수는 이런 손익까지 모두 계산해주니 정말 스마트하죠?

 

예제 3: 실무 활용 - 여러 채권 수익률 비교하기

실무에서는 여러 투자 대안을 놓고 어떤 채권이 가장 매력적인지 비교해야 할 때가 많습니다. YIELD 함수를 이용하면 각 채권의 수익률을 한눈에 비교하여 최적의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데이터 (CSV 형식)

채권 구분,인수일,만기일,연 이자율,현재가(100),상환액(100),이자지급(연),만기수익률(YTM)
국채 A,2025-10-11,2030-10-11,3.2%,99.5,100,2,
회사채 B,2025-10-11,2028-10-11,4.5%,101,100,4,
공사채 C,2025-10-11,2035-10-11,3.8%,97,100,2,
회사채 D,2025-10-11,2032-10-11,4.2%,102.5,100,2,

 

수식 입력 (H2 셀에 입력 후 아래로 자동 채우기)

=YIELD(B2, C2, D2, E2, F2, G2)

예제3. 엑셀 YIELD 함수로 여러 채권의 만기수익률 비교

 

결과 및 해석

위 표의 '만기수익률(YTM)' 열에 수식을 채워 넣으면 각 채권의 실제 기대수익률이 계산됩니다. 표면금리가 가장 높은 '회사채 B' (4.5%)가 현재 가격이 비싸 수익률이 오히려 낮아질 수 있고, 반면 표면금리는 낮지만 가격이 저렴한 '공사채 C'의 실제 수익률이 더 높게 나올 수도 있죠. 이렇게 객관적인 데이터로 투자 판단을 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 이런 오류, 왜 뜨는 걸까요? (오류 해결)

YIELD 함수 사용 시 가끔 마주치는 오류 메시지, 당황하지 말고 이렇게 해결하세요!

  • #NUM! 오류:
    • rate < 0 또는 pr <= 0 인 경우
    • redemption <= 0 또는 frequency 가 1, 2, 4가 아닌 경우
    • settlement ≥ maturity (인수일이 만기일보다 같거나 늦은 경우)
    • 해결책: 입력한 인수 값들이 상식적인 범위 내에 있는지 다시 한번 확인해보세요.
  • #VALUE! 오류:
    • settlement 또는 maturity 인수가 유효한 날짜 형식이 아닐 때 발생합니다.
    • 해결책: DATE 함수를 사용해 날짜를 정확히 입력해주세요.

 


🔗 함께 쓰면 더 유용한 함수들

YIELD 함수와 함께 알아두면 좋은 재무 함수 친구들이에요!

  • PRICE: 이자율과 수익률을 알 때, 채권의 현재 가격(100 기준)을 계산합니다.
  • YIELDDISC: 이자를 지급하지 않는 할인채(Zero-coupon bond)의 만기수익률을 계산합니다.
  • YIELDMAT: 만기에 이자를 한 번에 지급하는 채권의 수익률을 계산합니다.
  • ACCRINT: 정기적으로 이자를 지급하는 유가 증권의 경과 이자를 계산합니다.

 


💚 마무리하며: 이제 당신도 채권 수익률 전문가!

어떠셨나요? 복잡하게만 느껴졌던 채권 만기수익률 계산, YIELD 함수 하나로 정말 간단하게 해결되죠? 🤓 이제 여러분도 채권의 표면적인 이자율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기대할 수 있는 수익률을 직접 계산하고 비교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되셨습니다.

 

오늘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직접 예제를 만들어 연습해보시면 금방 익숙해지실 거예요. 궁금한 점이나 추가로 알고 싶은 내용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로 남겨주시고요!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공유 잊지 마세요! ❤️ 여러분의 작은 응원이 더 좋은 콘텐츠를 만드는 데 큰 힘이 된답니다.

 


📱 바쁜 당신을 위한 1분 요약 (모바일용)

Q1: YIELD 함수가 뭐예요?

A: 정기적으로 이자를 주는 채권의 만기수익률(YTM)을 계산하는 엑셀 재무 함수예요.

 

Q2: 함수 사용법 핵심은?

A: =YIELD(인수일, 만기일, 연이율, 현재가, 액면가, 연이자지급횟수) 순서로 입력하면 끝!

 

Q3: 가장 중요한 팁은?

A: 날짜는 DATE 함수로 입력하고, 가격(pr)과 액면가(redemption)는 100 기준이라는 점만 기억하면 실패 확률 ZER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