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엑셀 팁을 전해드리는 엑셀 멘토입니다. 😊
혹시 업무에서 채권 관련 데이터를 다루시나요? '결산일', '만기일', '이표'… 낯선 재무 용어와 함수들 때문에 머리가 지끈거리셨던 경험, 다들 한 번쯤 있으시죠? 😅
특히 채권의 이자 지급일이나 경과 일수를 수동으로 계산하려면 정말 복잡한데요. 이럴 때 COUPPCD, COUPDAYS, COUPDAYBS 같은 함수들이 정말 유용하답니다.
오늘은 이 낯설기만 했던 엑셀 재무 함수들을 아주 쉽고 명쾌하게! 실제 업무 예제와 함께 정복해 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이것만 알면 여러분도 재무 데이터 전문가가 되실 수 있어요!
📌 [핵심] : 이 함수들은 채권의 이표(이자) 관련 날짜와 일수를 정확하게 계산해주는 재무 전문가의 필수 스킬입니다!
🗓️ 1. COUPDAYBS 함수: 이표 시작일부터 결산일까지 (경과일수)
가장 먼저 배울 함수는 COUPDAYBS 예요. 'Coupon Day Begin to Settlement'의 약자인데요.
이름이 어렵죠? 쉽게 말해 '이번 이자 계산이 시작된 날부터 실제 거래가 일어난 날(결산일)까지 며칠이 지났는지' 즉, 경과 일수를 알려주는 고마운 함수랍니다.
함수 구문
=COUPDAYBS(settlement, maturity, frequency, [basis])
인수 설명
- settlement (결산일) : 필수 요소예요. 채권을 구매한 날짜, 즉 거래일입니다.
- maturity (만기일) : 필수 요소. 해당 채권이 만기되는 날짜입니다.
- frequency (이표 지급 빈도) : 필수 요소. 연간 이자 지급 횟수를 숫자로 넣어요. (1: 연 1회, 2: 반기 1회, 4: 분기 1회)
- [basis] (날짜 계산 기준) : 선택 요소예요. 어떤 기준으로 날짜를 계산할지 정합니다.
- 0 (또는 생략): US (NASD) 30/360
- 1: 실제/실제 (Actual/Actual)
- 2: 실제/360 (Actual/360)
- 3: 실제/365 (Actual/365)
- 4: 유럽 30/360
- (보통 채권의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실무에서는 1번(실제/실제)을 많이 사용해요.)
💡 주의하세요!
settlement(결산일)와 maturity(만기일)는 엑셀에서 날짜로 인식할 수 있는 값 (예: "2025-10-30" 또는 DATE 함수 결과)을 입력해야 해요. "2025년 10월 30일" 같은 텍스트는 안 돼요!
📈 예제 1: 채권 경과 일수 계산하기
아래는 우리가 관리하는 채권 목록이에요. 이 채권들의 '경과 일수'를 COUPDAYBS로 계산해 볼게요.
채권명,결산일(거래일),만기일,연간 이표빈도,날짜기준,경과일수(COUPDAYBS)
A-1 채권,2025-02-15,2030-10-01,2,1,
B-2 채권,2025-03-20,2028-05-15,4,1,
C-3 채권,2025-01-10,2035-01-01,1,1,
D-4 채권,2025-04-05,2029-11-30,2,1,
E-5 채권,2025-05-01,2032-08-15,2,1,
F-6 채권,2025-02-28,2027-07-01,4,1,
G-7 채권,2025-06-10,2031-03-15,2,1,
H-8 채권,2025-07-01,2033-12-01,1,1,
'A-1 채권'의 경과일수를 F2 셀에 계산해 볼까요?
=COUPDAYBS(B2, C2, D2, E2)

위 수식을 입력하고 아래로 쭉- 채우기 핸들을 당기면! 'A-1 채권' 의 경과일수는 137일, 'B-2 채권' 은 33일이 자동으로 계산되어 나옵니다. (A-1 채권은 반기 1회 지급(2)이므로, 직전 이표일(COUPPCD 함수)인 2024-10-01 부터 결산일 2025-02-15 까지의 일수가 계산된 거예요!)
📅 2. COUPDAYS 함수: 현재 이표 기간의 총 일수
다음은 COUPDAYS 함수입니다! 이 함수는 COUPDAYBS와 짝꿍 같은 함수예요.
COUPDAYBS가 '시작일부터 결산일까지'였다면, COUPDAYS는 '이번 이자 계산 기간의 총 일수 (즉, 이표 시작일부터 다음 이표 지급일까지)'를 알려줘요.
보통 '경과 이자' 를 계산할 때 (경과일수 / 총 일수) * 이자액 이렇게 계산하잖아요? 이때 분모에 해당하는 값이 바로 COUPDAYS입니다. 🤓
함수 구문
=COUPDAYS(settlement, maturity, frequency, [basis])
인수 설명
와! 인수가 COUPDAYBS와 100% 동일하죠?
(settlement: 결산일, maturity: 만기일, frequency: 빈도, [basis]: 기준)
📈 예제 2: 총 이표 기간 일수 계산하기
위에서 사용한 동일한 예제 데이터에, H열에 '총 이표 기간 일수'를 계산해 볼게요.
채권명,결산일(거래일),만기일,연간 이표빈도,날짜기준,경과일수(COUPDAYBS),총 이표일수(COUPDAYS)
A-1 채권,2025-02-15,2030-10-01,2,1,137,
B-2 채권,2025-03-20,2028-05-15,4,1,34,
... (이하 동일)
H2 셀에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COUPDAYS(B2, C2, D2, E2)

'A-1 채권' 의 경우, 현재 이표 기간(2024-10-01 ~ 2025-04-01)의 총 일수인 182일이 계산됩니다. 'B-2 채권' 은 분기 지급(4) 이므로 해당 분기의 총 일수인 89일이 나오네요.
이제 '경과일수' 와 '총 이표일수' 를 모두 구했으니 경과 이자 비율도 쉽게 구할 수 있겠죠?
⏪ 3. COUPPCD 함수: 직전 이표 지급일
마지막 주자는 COUPPCD입니다! 'Previous Coupon Date'의 약자예요.
이름 그대로 '결산일(거래일)을 기준으로 바로 직전의 이자 지급일'이 언제였는지 날짜를 정확하게 찾아줍니다.
앞선 두 함수는 '일수(숫자)'를 반환했지만, 이 함수는 '날짜'를 반환한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점이에요!
함수 구문
=COUPPCD(settlement, maturity, frequency, [basis])
인수 설명
네, 맞습니다! 이 함수도 인수가 앞의 두 함수와 완전히 동일해요. 엑셀, 참 친절하죠? 😉
(settlement: 결산일, maturity: 만기일, frequency: 빈도, [basis]: 기준)
📈 예제 3: 직전 이표 지급일 찾기
자, 그럼 마지막으로 G열에 '이전 이표일' 을 찾아볼까요?
채권명,결산일(거래일),만기일,연간 이표빈도,날짜기준,경과일수,총 이표일수,이전 이표일(COUPPCD)
A-1 채권,2025-02-15,2030-10-01,2,1,137,182,
B-2 채권,2025-03-20,2028-05-15,4,1,34,90,
... (이하 동일)
G2 셀에 입력해 주세요.
=COUPPCD(B2, C2, D2, E2)

'A-1 채권' 의 결산일 2025-02-15 를 기준으로, 직전 이표일은 2024-10-01 (날짜)이 정확하게 반환됩니다.
💡 Tip!
만약 45565 같은 이상한 숫자가 나온다면? 당황하지 마세요! 그건 엑셀이 날짜를 숫자로 표시한 것뿐이에요. [홈] 탭 - [표시 형식] 그룹에서 '간단한 날짜' 로 서식만 변경해 주면 됩니다.
⚠️ 잠깐! 이런 오류가 생길 수 있어요 (#오류)
Q: 함수를 입력했는데 #NUM! 오류가 떠요!
A: 가장 흔한 오류예요. 😥 몇 가지 이유가 있는데요.
- 날짜 기준(basis)이 0, 1, 2, 3, 4 중 하나가 아닌 경우
- 이표 빈도(frequency)가 1, 2, 4 중 하나가 아닌 경우
- 가장 중요! 만기일(maturity)이 결산일(settlement)보다 이전 날짜일 경우 (날짜 순서가 바뀌지 않았는지 꼭 확인하세요!)
Q: #VALUE! 오류는 왜 뜨나요?
A: 입력한 날짜(결산일, 만기일)가 엑셀이 인식하지 못하는 텍스트 형식이거나, 빈도(frequency) 같은 인수가 숫자가 아닐 때 발생해요. 날짜 인수는 DATE(2025, 10, 30) 처럼 입력하거나, 날짜가 입력된 셀을 참조하는 것이 가장 안전해요.
🔗 함께 알면 좋은 관련 함수들
오늘 배운 함수들은 '결산일' 을 기준으로 계산했죠? 이것들과 짝을 이루는 재무 함수들이 더 있답니다.
- COUPNCD (Next Coupon Date): COUPPCD의 반대! 다음 이표 지급일을 알려줘요.
- COUPNUM (Coupon Number): 만기일까지 남은 이표 지급 횟수를 계산해요.
- ACCRINT (Accrued Interest): 경과 이자(미수 이자) 금액을 계산합니다. (오늘 배운 함수들의 원리가 여기에 다 녹아있죠!)
- YIELD: 채권의 만기 수익률(YTM)을 계산합니다.
🎯 핵심 요약 및 마무리
오늘은 조금 전문적일 수 있는 엑셀의 채권 관련 재무 함수, COUPPCD, COUPDAYS, COUPDAYBS에 대해 알아봤어요.
- COUPDAYBS: 이표 시작일부터 결산일까지 경과 일수 (숫자)
- COUPDAYS: 현재 이표 기간의 총 일수 (숫자)
- COUPPCD: 결산일 기준 직전 이표 지급일 (날짜)
재무 함수가 처음엔 낯설어도, 그 원리만 이해하면 정말 강력한 무기가 된답니다! 오늘 배운 예제 데이터를 엑셀에 직접 입력해 보면서 꼭 한번 실습해 보세요. 💻
오늘 내용이 여러분의 엑셀 실력 향상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과 댓글은 제게 정말 큰 힘이 됩니다! ☺️
혹시 주변에 채권 계산이나 재무 함수로 어려움을 겪는 동료가 있다면 이 글을 공유해 주세요! 다음에도 더 유용하고 알찬 엑셀 팁으로 돌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바쁘신 분들을 위한 [모바일 1분 요약]
주제: 엑셀 채권 이자/날짜 계산 함수 3가지
1. COUPDAYBS (경과 일수)
- 뜻: 이표 시작일 ~ 결산일(거래일)까지 며칠 지났나?
- 예: =COUPDAYBS(결산일, 만기일, 빈도, 기준) -> 137 (일)
2. COUPDAYS (총 이표일수)
- 뜻: 이번 이자 기간의 총 일수는 며칠인가?
- 예: =COUPDAYS(결산일, 만기일, 빈도, 기준) -> 182 (일)
- 활용: 경과이자 비율 계산 (137 / 182)
3. COUPPCD (직전 이표일)
- 뜻: 결산일 기준, 직전 이자 받은 날이 언제?
- 예: =COUPPCD(결산일, 만기일, 빈도, 기준) -> 2024-10-01 (날짜)
⚠️ 주의!
- #NUM! 오류: 만기일 < 결산일 (날짜 순서 확인!)
- 인수 (결산일, 만기일, 빈도, 기준)는 세 함수 모두 동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