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COMBIN 함수는 집합 전체 원소를 선택한 갯수로 조합할 수 있는 갯수를 계산하여 반환한다. 비슷한 유형의 경우의 수 계산 함수로 PERMUT 이라는 순열 수를 구하는 함수도 있다.
엑셀 COMBIN 함수 기본 설명
설명 : 전달된 number 인수가 전체 원소 갯수일때, number_chosen 인수만큼 선택한다면 조합될 수 있는 가짓수를 반환한다.
구문 : COMBIN( number, number_chosen )
인수 :
number : 집합의 전체 개체 수
number_chosen : 집합에서 선택후 조합할 개체 수 (1개의 조합에 사용될 원소 갯수)
노트1 : 인수 중 하나가 소수값으로 전달된다면 소수부는 버리고 정수부만을 취한다.
참고1 : COMBIN 함수는 중복값을 계산에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COMBINA 함수는 중복 사용을 허용한다.
참고2 : COMBIN 함수는 조합수를 구한다. 따라서, 그 순서에 상관하지 않는다. 순서에따라 다른 개체로 계산하려면 순열수를 구하는 PERMUT 함수를 사용한다.
참고3 : COMBINA 함수는 엑셀 2013 버전 이상부터 사용할 수 있다.
관련 링크 :
위키백과 조합 : https://ko.wikipedia.org/wiki/조합
위키백과 순열 : https://ko.wikipedia.org/wiki/순열
엑셀 COMBIN 함수 사용 예제
이제 COMBIN 함수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 예제를 풀어보면서 확실하게 익히자.
[그림1] 엑셀 COMBIN 함수로 조합수 계산하기
사용 예제1 : =COMBIN( 3, 1 )
사용 결과1 : 3
3개 개체로 이루어진 집합에서 1개의 개체로 조합할 수 있는 수는 얼마일까? 이것을 COMBIN 함수가 답하고 있다. 예로 A, B, C 로 이루어진 집합 내 개체를 1개 원소로 조합하여 만들 수 있는 개체는 A, B, C 의 총 3가지일 것이다.
사용 예제2 : =COMBIN( 3, 2 )
사용 결과2 : 3
A, B, C 3개로 이루어진 집합 원소들을 2개로 조합하여 이룰 수 있는 조합수는 AB, AC, BC 총 3가지이다. AA, BB, CC 는 개체의 중복 사용으로 제외된다. [참고1] 또, BA, CA, CB 는 개체 순서를 바꾼 것이기에 제외된다. [참고2]
사용 예제3 : =COMBIN( 4, 3 )
사용 결과3 : 4
A, B, C, D 4개의 원소로 이루어진 집합에서 중복없이 3개씩의 개체를 순서에 상관없이 조합할 때의 경우의 수를 구한다. ABC, ABD, ACD, BCD 총 4개의 조합이 만들어질 수 있다.
참고로 조합수는 nCr = n! / (r! * (n-r)!) = 4! / (3! * (4-3)!)
관련 링크 :
나무위키 조합 : https://namu.wiki/w/조합
나무위키 순열 : https://namu.wiki/w/순열(수학)
엑셀 COMBIN 함수 오류
COMBIN 함수에서 오류가 발생한다면 다음 중 하나일 가능성이 높다.
- #NUM! 오류 :
number 인수로 0 미만의 값이 전달될 때 발생.
number_chosen 인수가 0 미만일 때 오류 발생.
number 인수가 number_chosen 인수보다 작을 때 발생.
- #VALUE! 오류 : 전달된 인수가 숫자가 아닌 경우 발생.
COMBIN 함수는 일반적인 엑셀 함수와는 달리 조금 생소하다. 그러나, 어려운 함수도 아니고, 경우의 수 확인 방법 중 하나인 조합을 계산할 수 있는 유용한 함수이다.
관련 링크 :
조합 순열 계산기 http://ko.numberempire.com/combinatorialcalculator.php
순열과 조합 : https://ghebook.blogspot.kr/2010/10/permutation-combination.html
마늘빵.
'엑셀 컴활 함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타 함수] 엑셀 GCD 함수로 최대 공약수 구하기 (0) | 2017.11.27 |
---|---|
[기타 함수] 엑셀 PERMUT 함수로 순열 계산하기 (0) | 2017.11.17 |
[기타 함수] 엑셀 MROUND 함수로 가까운 배수에 업다운하기 (0) | 2017.10.11 |
[기타 함수] 엑셀 IFNA 함수로 찾을 수 없는 값 대체하기 (0) | 2017.10.02 |
[기타 함수] 엑셀 TIMEVALUE 텍스트 문자열 시간 변환하기 (0) | 2017.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