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엑셀 SUBTOTAL 함수 완벽 가이드 - 자동 집계와 필터링 활용법

엑셀로 데이터를 정리하다 보면 특정 조건에 맞는 데이터만 합계를 내거나 평균을 구해야 할 때가 많아요. 특히 필터링된 데이터에서만 계산하고 싶을 때 일반적인 SUM 이나 AVERAGE 함수로는 한계가 있죠. 이럴 때 정말 유용한 것이 바로 SUBTOTAL 함수예요!

 

📌 핵심: SUBTOTAL 함수는 필터링된 데이터나 숨겨진 행을 자동으로 인식해서 보이는 데이터만 계산해주는 똑똑한 함수입니다.

 

🎯 SUBTOTAL 함수란?

엑셀 SUBTOTAL 함수는 데이터 범위에서 다양한 집계 기능(합계, 평균, 개수, 최대값, 최소값 등)을 수행하는 함수예요. 가장 큰 장점은 필터링된 데이터나 숨겨진 행을 자동으로 제외하고 계산한다는 점이에요.

함수 구문

=SUBTOTAL(집계함수번호, 범위1, [범위2], ...)

매개변수 설명

  • 집계함수번호: 수행할 집계 함수의 번호 (1-11 또는 101-111)
  • 범위1: 집계할 첫 번째 데이터 범위
  • 범위2: (선택사항) 추가 데이터 범위

집계함수번호 종류

번호 함수 설명 숨겨진 행 포함 여부
1/101 AVERAGE 평균 계산 포함/제외
2/102 COUNT 숫자 개수 포함/제외
3/103 COUNTA 비어있지 않은 셀 개수 포함/제외
4/104 MAX 최댓값 포함/제외
5/105 MIN 최솟값 포함/제외
6/106 PRODUCT 곱하기 포함/제외
7/107 STDEV 표준편차 포함/제외
8/108 STDEVP 모집단 표준편차 포함/제외
9/109 SUM 합계 포함/제외
10/110 VAR 분산 포함/제외
11/111 VARP 모집단 분산 포함/제외

📝 주의사항: 1-11번은 숨기기로 숨겨진 행도 포함하여 계산하고, 101-111번은 숨기기한 행을 제외하고 계산해요. 필터링으로 제외된 행은 항상 제외되요.

 

💡 SUBTOTAL 함수 활용 예제

예제 1: 기본 사용법 - 급여 관리

HR 부서에서 급여 데이터를 관리할 때 활용하는 예제예요:

사원번호,성명,부서,기본급,수당,급여
E001,김철수,영업부,3500000,500000,4000000
E002,이영희,마케팅부,3200000,300000,3500000
E003,박민수,개발부,4000000,600000,4600000
E004,최수지,인사부,3000000,200000,3200000
E005,정하늘,재무부,3800000,400000,4200000
E006,강바다,영업부,3300000,450000,3750000
E007,윤별빛,개발부,4200000,700000,4900000
E008,임구름,마케팅부,3100000,250000,3350000
E009,조나무,재무부,3600000,350000,3950000
E010,한산들,인사부,2900000,180000,3080000
E011,신바위,영업부,3400000,480000,3880000
E012,오하늘,개발부,4100000,650000,4750000

전체 급여 합계:

=SUBTOTAL(9, F2:F13)

예제1: 엑셀 SUBTOTAL 함수 기본 사용법 합계 계산

첫번째 인수 9 는 SUM 함수를 사용하고, 범위는 급여 범위 F2:F13 이에요.

 

실무 포인트: 특정 부서 직원만 보고 싶을 때 부서 컬럼을 필터링하면 해당 부서의 급여 합계만 자동으로 계산돼요!

 

예제 2: 중급 활용 - 재고 관리 시스템

창고 관리자가 재고 현황을 파악할 때 사용하는 실무 예제예요:

품목코드,상품명,분류,현재고,안전재고,단가,재고금액
ITM001,프린터용지,사무용품,2500,500,800,2000000
ITM002,볼펜,사무용품,1200,300,500,600000
ITM003,모니터,전자제품,85,20,350000,29750000
ITM004,노트북,전자제품,45,10,800000,36000000
ITM005,책상,가구,25,5,150000,3750000
ITM006,의자,가구,40,8,80000,3200000
ITM007,복합기,전자제품,12,3,1200000,14400000
ITM008,파일박스,사무용품,800,200,2000,1600000
ITM009,캐비닛,가구,18,4,250000,4500000
ITM010,키보드,전자제품,150,30,45000,6750000
ITM011,마우스,전자제품,200,50,25000,5000000
ITM012,화이트보드,사무용품,30,10,35000,1050000

ㄱ. 전체 재고 금액: 첫번째 인수 9 일때와 같지만, 숨기기된 행이 있다면, 9는 숨기기 포함/109는 숨기기 제외

=SUBTOTAL(109, G2:G13)

ㄴ. 분류 "사무용품" 품목만 필터링 후 "안전재고" 수량 평균:

=SUBTOTAL(101, E2:E13)

예제2: 엑셀 SUBTOTAL 함수로 필터링 제외하고 빠른 계산

A1:G13 범위를 선택하고 필터링(단축키: CTRL+SHIFT+L) 후 "사무용품" 만 선택, AVERAGE 함수를 바로 사용하면 필터링이 적용되지 않아요. 숨겨진 값들까지 모두 포함하는 거지요. 그래서, SUBTOTAL 함수를 사용하는 거에요.

 

예제 3: 다양한 집계 함수 활용 (고급)

필터링된 데이터에서 여러 통계값을 한 번에 구하기:

지역,판매원,월매출,분기목표,달성률
서울,김철수,2500000,7500000,33.3
부산,이영희,3200000,9000000,35.6
대구,박민수,1800000,6000000,30.0
인천,최수지,2900000,8500000,34.1
광주,정하늘,2100000,7000000,30.0
대전,강바다,2600000,8000000,32.5
울산,윤별빛,1900000,6500000,29.2
세종,임구름,2400000,7200000,33.3
경기,조나무,3100000,9500000,32.6
강원,한산들,1700000,5800000,29.3
충북,신바위,2300000,7100000,32.4
충남,오하늘,2800000,8400000,33.3

ㄱ. 최고 월매출: MAX 함수의 기능을 하는 인수번호 104

=SUBTOTAL(104, C2:C13)

예제3: 엑셀 SUBTOTAL 함수로 최댓값과 최솟값 계산하기

ㄴ. 최저 월매출: MIN 함수의 기능을 하는 인수번호 105

=SUBTOTAL(105, C2:C13)

ㄷ. 판매원 수: COUNTA 함수의 기능을 하는 인수번호 103

=SUBTOTAL(103, B2:B13)

예제3: 엑셀 SUBTOTAL 함수 지역 필터링후 셀 갯수 세기

위 그림의 지역만 필터링하면 결과는 6 , 하지만 =COUNTA(B2:B13) 의 결과는 보이지 않는 셀 수까지 계산, 그래서 12.

수시로 조건이 바뀌고 필터링 적용이 필요할 때는 SUBTOTAL 함수를 사용합니다.

 

이렇게 SUBTOTAL 함수는 실시간 데이터 분석이 필요한 모든 업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정말 강력한 도구예요! 💪

 

⚠️ SUBTOTAL 함수 사용 시 주의사항

1. 텍스트 데이터 처리

=SUBTOTAL(109, A1:A10)  // 텍스트가 섞여 있으면 0으로 처리

숫자가 아닌 텍스트나 공백은 0으로 처리되니 주의하세요.

2. 잘못된 집계함수번호

=SUBTOTAL(0, A1:A10)  // 오류 발생

유효하지 않은 집계함수번호를 사용하면 #VALUE! 오류가 발생해요.

 

🔧 오류 해결 방법

#VALUE! 오류

  • 집계함수번호가 1-11, 101-111 범위에 있는지 확인
  • 범위가 올바르게 지정되었는지 확인

#REF! 오류

  • 참조하는 셀이 삭제되었는지 확인
  • 범위가 유효한지 확인

예상과 다른 결과

  • 숨겨진 행 포함 여부 확인 (1-11번 vs 101-111번)
  • 필터링 상태 확인

 

🔗 관련 함수들

SUBTOTAL 함수와 유사하거나 함께 사용하면 좋은 함수들이에요:

 

📝 마무리

SUBTOTAL 함수는 필터링된 데이터를 자동으로 인식해서 계산해주는 정말 유용한 함수예요. 특히 대용량 데이터를 다루거나 동적 대시보드를 만들 때 없어서는 안 될 기능이죠!

 

여러분도 이제 SUBTOTAL 함수를 활용해서 더 효율적인 엑셀 작업을 해보세요! 💪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공유 부탁드려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로 물어보세요~ 😊

 

 

작성자: 마늘빵


📱 모바일용 빠른 학습 가이드

SUBTOTAL 함수 핵심 정리

🎯 용도

  • 필터링된 데이터 자동 집계
  • 숨겨진 행 제외 계산

📋 기본 문법

=SUBTOTAL(집계번호, 범위)

💡 자주 사용하는 번호

  • 합계: 9(숨기기된 셀 계산포함) / 109(제외)
  • 평균: 1(포함) / 101(제외)
  • 개수: 3(포함) / 103(제외)

⚡ 빠른 팁

  1. 101-111번 = 숨겨진 행 제외
  2. 1-11번 = 수동으로 숨긴 행 포함
  3. 필터링 시 자동 재계산

❌ 주의사항

  • 텍스트는 0 으로 처리
  • 함수 중첩 사용 시 중복 주의
  • 올바른 집계번호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