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MDURATION 함수 완벽 가이드: 채권 투자 이자율 민감도 (수정 듀레이션) 쉽게 계산하는 법

 

안녕하세요! 😊

 

엑셀로 재무 관리나 투자 분석을 하시다 보면, 특히 '채권'을 다룰 때가 있는데요. 채권 투자의 가장 큰 적! 바로 '이자율(금리) 변동'이죠. 😱 금리가 1% 오르면 내가 가진 채권 가격은 얼마나 떨어질까? 이 위험을 정확히 숫자로 알고 싶을 때가 많으셨을 거예요.

 

오늘은 바로 이 '이자율 변동에 대한 채권 가격의 민감도'를 측정하는 아주 중요한 재무 함수, 엑셀 MDURATION 함수에 대해 쉽고 자세하게 알려드릴게요!

 

📌 [핵심] MDURATION 함수는 이자율(수익률)이 1% 변할 때 채권 가격이 약 몇 % 변하는지(수정 듀레이션)를 계산해주는 재무 함수예요.

 


📈 엑셀 MDURATION 함수, 대체 뭔가요?

MDURATION 은 'Modified Duration'의 약자, 우리말로는 '수정 듀레이션'이라고 불러요.

 

🤔 듀레이션(Duration)? 그게 뭔데요?

쉽게 말해 채권 투자 원금을 회수하는 데 걸리는 평균 시간(가중평균만기)을 의미하는데요, 이 듀레이션은 이자율 변화에 채권 가격이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 보여주는 척도로도 사용돼요.

 

여기서 MDURATION (수정 듀레이션)은 한발 더 나아가, "만기 수익률(YTM)이 1% (또는 100bp) 변동할 때 채권 가격이 몇 퍼센트(%) 변동하는지"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값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채권의 MDURATION 값이 '5'가 나왔다면?

  • 이자율(수익률)이 1% 상승하면 ➡️ 채권 가격은 약 5% 하락 📉
  • 이자율(수익률)이 1% 하락하면 ➡️ 채권 가격은 약 5% 상승 📈

한다는 의미죠. 투자 위험 관리에 정말 필수적인 지표랍니다!

📝 [참고]

위에서 bp는 'Basis Point(베이시스 포인트)'의 약자입니다.

금융 분야, 특히 금리(이자율)나 채권 수익률처럼 아주 미세한 변화를 다룰 때 사용하는 '최소 단위'라고 생각하시면 쉬워요.

  • 1 bp = 0.01% (즉, 1%의 100분의 1)
  • 100 bp = 1%

왜 % 대신 bp를 쓸까요?

금융 시장에서는 0.25%, 0.5%처럼 소수점 단위로 금리가 변동하는 경우가 아주 흔한데요,

  • "금리가 0.25%포인트 올랐습니다."
  • "금리가 25bp 올랐습니다."

이렇게 말할 때, 'bp' 단위를 쓰면 소수점 없이 정수로 깔끔하게 표현할 수 있고, "0.25%가 올랐다"와 "25%가 올랐다"처럼 헷갈릴 수 있는 실수를 줄여주기 때문에 현업에서 아주 즐겨 사용한다고 해요!

 


🔍 MDURATION 함수 구문과 인수 살펴보기

엑셀 MDURATION 함수의 기본 생김새(구문)는 이렇습니다.

=MDURATION(settlement, maturity, coupon, yld, frequency, [basis])

인수가 좀 많아 보이지만, 재무 함수는 인수가 대부분 비슷해요. 하나씩 살펴볼게요!

인수 설명 필수/선택
settlement 결제일 (매입일): 채권을 실제로 구매한 날짜예요. (유통일) 필수
maturity 만기일: 채권의 원금과 마지막 이자를 받는 날짜죠. 필수
coupon 표면 이자율: 채권에 적혀있는 연간 이자율이에요. (예: 5% -> 0.05) 필수
yld 수익률 (YTM): 해당 채권의 만기 수익률(Yield To Maturity)입니다. (예: 4.5% -> 0.045) 필수
frequency 연간 이자 지급 횟수: 1 (연 1회), 2 (반기, 연 2회), 4 (분기, 연 4회) 중 하나를 숫자로 입력해요. 필수
[basis] 날짜 계산 기준 (선택): 날짜 계산 방식을 정해요. 생략하거나 0을 쓰면 미국식(30/360) 기준입니다. (1: 실제/실제, 2: 실제/360, 3: 실제/365, 4: 유럽식 30/360) 선택

📝 중요 노트!


- settlement (결제일) 와 maturity (만기일) 은 반드시 엑셀이 인식하는 날짜 형식이어야 해요. (예: "2024-10-25" 또는 DATE(2024, 10, 25) 함수 사용)

- coupon 과 yld 는 퍼센트(%)가 아닌 소수점 형태 (예: 3.5% ➡️ 0.035)로 입력해야 정확해요.

- frequency 는 반드시 1, 2, 4 중 하나의 정수여야 합니다!

 


📊 MDURATION 함수 실전 예제 (데이터 포함)

자, 이제 실제 업무에서 사용할 법한 데이터로 MDURATION 함수를 연습해 볼게요.

아래는 가상의 채권 포트폴리오 데이터입니다.

채권명,결제일,만기일,표면이율,수익률,이자지급(회),날짜기준
국고채 A,2024-01-15,2029-01-15,0.035,0.040,2,1
회사채 B,2023-05-10,2028-05-10,0.050,0.045,2,0
국고채 C,2024-03-01,2034-03-01,0.030,0.038,1,1
회사채 D,2023-11-20,2026-11-20,0.042,0.040,2,0
특수채 E,2024-06-01,2027-06-01,0.038,0.039,4,1
회사채 F,2023-09-01,2030-09-01,0.045,0.048,2,0
국고채 G,2024-02-15,2027-02-15,0.028,0.035,1,1
회사채 H,2023-12-30,2025-12-30,0.055,0.050,4,0

(위 데이터를 엑셀 시트 A1:G9 범위에 복사해서 붙여넣고 [데이터] - [텍스트 나누기] - [쉼표(,)로 구분]을 실행하면 표로 만들어져요!)


예제 1: 기본 사용법 (국고채 A)

A2:G2 범위의 '국고채 A' 데이터를 이용해 MDURATION을 계산해봅니다.

  • 결제일(B2): 2024-01-15
  • 만기일(C2): 2029-01-15
  • 표면이율(D2): 0.035 (3.5%)
  • 수익률(E2): 0.040 (4.0%)
  • 이자지급(F2): 2 (반기)
  • 날짜기준(G2): 1 (실제/실제)

[I2 셀에 입력할 수식]

=MDURATION(B2, C2, D2, E2, F2, G2)

 

예제1. 엑셀 MDURATION 함수로 투자 위험도 계산 기본

 

[결과]

약 4.534 가 나옵니다. (소수점 자릿수에 따라 다를 수 있어요)

 


예제 2: 날짜를 DATE 함수로 직접 입력 / 회사채 B

만약 데이터가 셀에 없고, 날짜를 직접 입력해야 한다면 DATE 함수를 쓰는 것이 가장 안전해요. '회사채 B' 의 정보를 이용해볼게요.

  • 결제일: 2023-05-10 ➡️ DATE(2023, 5, 10)
  • 만기일: 2028-05-10 ➡️ DATE(2028, 5, 10)
  • 표면이율: 0.05
  • 수익률: 0.045
  • 이자지급: 2
  • 날짜기준: 0

[임의의 셀에 입력할 수식]

=MDURATION(DATE(2023, 5, 10), DATE(2028, 5, 10), 0.05, 0.045, 2, 0)

 

예제2. 엑셀 MDURATION 함수식에 DATE 함수를 이용한 날짝 직접입력

 

[결과]

약 4.393 이 계산됩니다.

 


예제 3: 이자 지급 횟수 비교 / 국고채 C vs 특수채 E

이자 지급 횟수(frequency)가 듀레이션(투자금 회수기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해볼까요?

 

ㄱ. 국고채 C (연 1회 지급)

=MDURATION(B4, C4, D4, E4, F4, G4)

[결과] 약 8.416

 

ㄴ. 특수채 E (분기 4회 지급)

=MDURATION(B6, C6, D6, E6, F6, G6)

[결과] 약 2.822

 

예제3. 엑셀 MDURATION 함수 이자 지급 횟수에 따른 반환값의 차이

 

(만기나 수익률이 다르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이자를 자주 지급할수록(frequency 숫자가 클수록) 원금 회수가 빨라지므로 듀레이션(MDURATION) 값은 짧아지는(작아지는) 경향이 있어요.

 


예제 4: 실무 활용 (결과 해석하기!) ⭐️

이게 제일 중요하죠! "그래서 이 숫자가 무슨 뜻인데?"

 

예제4. 엑셀 MDURATION 함수의 결과가 의미하는 것은? - 국고채A

 

예제1 에서 계산한 '국고채 A'의 MDURATION 값 4.534 를 해석해 봅시다.

  • 해석: 이 채권(국고채 A)은 현재 시장 금리(수익률)가 1% (100bp) 상승할 경우, 채권 가격이 약 4.534% 하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반대로: 시장 금리가 1% 하락하면, 채권 가격은 약 4.352%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MDURATION 값이 클수록 이자율 변동에 가격이 더 민감하게 반응(위험이 크다)하고, 값이 작을수록 덜 민감하게 반응(위험이 작다)한다는 뜻이에요.

📝 [노트]

엑셀의 MDURATION 함수가 반환하는 값은 '회수 기간(시간)'이 아니라, '가격 민감도(%)'를 의미합니다.

  • MDURATION (수정 듀레이션): 이자율 1% 변동 시 가격이 몇 % 변하는지 (가격 민감도 '%' 📉📈)
  • DURATION (매콜레이 듀레이션): 투자 원금을 회수하는 데 걸리는 평균 시간 (회수 기간 '년(Year)' 🗓️)

그래서 MDURATION 결과값이 '5' 가 나왔다면, "5년 걸린다" 가 아니라 "이자율 1% 변할 때 가격이 5% 움직인다" 라고 해석하는 것이 맞습니다!

 


🚨 MDURATION 함수, 이럴 때 오류 나요! (오류 해결)

함수를 쓰다 보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죠. 당황하지 마세요!

  • #NUM! 오류:
    • settlement (결제일)이 maturity (만기일)보다 나중 날짜일 때.
    • coupon (표면이율)이나 yld (수익률)가 0보다 작을 때 (음수일 때).
    • frequency (이자 지급 횟수)가 1, 2, 4가 아닌 다른 숫자일 때 (예: 3).
    • basis (날짜 기준)가 0, 1, 2, 3, 4 이외의 숫자일 때.
  • #VALUE! 오류:
    • settlement 또는 maturity가 유효한 날짜 형식이 아닐 때 (예: 텍스트로 "2024년 1월 15일"이라고 입력).
    • 다른 인수들(coupon, yld, frequency, basis)이 숫자가 아닌 텍스트일 때.

 


🔗 함께 알면 좋은 재무 함수들

MDURATION을 사용하신다면 아래 함수들도 분명 필요하실 거예요!

  • DURATION: 수정 듀레이션(MDURATION)의 기반이 되는 '매콜레이 듀레이션(Macaulay Duration)'을 계산합니다. (원금 회수 기간)
  • PRICE: 수익률(YTM)을 알 때 채권의 현재 가격을 계산합니다.
  • YIELD: 채권의 현재 가격을 알 때 만기 수익률(YTM)을 계산합니다. (PRICE와 반대)
  • ACCRINT: 결제일(매입일)까지 발생한 경과 이자를 계산합니다.

 


🙋‍♀️ 마무리하며

어떠셨나요? 엑셀 MDURATION 함수, 이름은 조금 어려웠지만 알고 보니 채권 투자의 위험을 관리하는 데 정말 강력하고 유용한 도구죠? 🤓

 

특히 포트폴리오에 채권을 담고 계시거나, 재무/회계 관련 업무를 하신다면 이자율 변동에 따른 자산 가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MDURATION(수정 듀레이션) 개념은 꼭 알아두셔야 해요. 오늘 배운 예제 데이터를 활용해서 직접 엑셀에 입력해보고, 숫자도 바꿔보면서 꼭 손에 익혀보시길 바라요!

 

오늘 내용이 여러분의 엑셀 실무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과 댓글 잊지 마시고요! 궁금한 점이나 다음에 다뤄줬으면 하는 엑셀 함수가 있다면 언제든 편하게 남겨주세요.

 

그럼 우린 다음 엑셀 게시물로 또 만나요! 👋

 


📱 바쁘신 분들을 위한 [MDURATION 함수] 모바일 요약

 

1. MDURATION 함수란?

'수정 듀레이션' (Modified Duration) 계산.

핵심: 이자율(수익률) 1% 변동 시 채권 가격이 몇 % 변하는지 알려줌.

(예) MDURATION = 3 이면 ➡️ 금리 1% 오르면 가격 3% 하락.

 

2. 함수 구문

=MDURATION(결제일, 만기일, 표면이율, 수익률, 이자지급횟수, [날짜기준])

 

3. 필수 인수

settlement : 결제일, 채권 산 날 (날짜 형식!)

maturity : 만기일, 채권 끝나는 날 (날짜 형식!)

coupon : 표면 이율 (예: 5% -> 0.05)

yld : 만기 수익률 (예: 4.5% -> 0.045)

frequency : 연 이자 지급 횟수 (숫자 1, 2, 또는 4)

 

4. 자주 나는 오류
  #NUM! : 결제일 > 만기일 경우, 이율/수익률 < 0 경우, frequency가 1/2/4가 아닌 경우.

  #VALUE! : 날짜가 텍스트임, 숫자가 텍스트임.

 

5. 실무 활용 팁
- MDURATION 값이 클수록 금리 변동에 민감 (위험 큼).

- MDURATION 값이 작을수록 금리 변동에 둔감 (위험 작음).


채권 포트폴리오의 위험 관리에 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