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SHEET 함수는 전달된 참조가 위치하는 시트의 번호를 얻어 숫자로 반환한다. 참고1 : SHEET 함수는 엑셀 2013 이후 버전부터 추가된 함수이다. 엑셀 SHEET 함수 기본 설명 설명 : 전달된 참조 인수가 위치하는 시트의 지정 번호를 숫자로 반환한다. 구문 :SHEET( [value] ) 인수 : value : 시트 전체 혹은 시트가 포함하는 셀에 대한 참조. 옵션 인수로 생략시, 함수식이 포함된 시트가 기본값. 엑셀 SHEET 함수 사용 예제 SHEET 함수를 사용한 단순 예제들이다. 사용 예제1 : =SHEET( ) 사용 결과1 : 3 SHEET 함수로 인수가 전달되지 않았다. 이때는 현재 이 함수식이 위치하는 시트 번호가 결과로 반환된다. 현재 예제는 'Sheet3' 에서 작성되고 있..
엑셀 ISFORMULA 함수는 수식을 포함하는 셀이라면 TRUE 를 반환하고, 그렇지 않다면 FALSE 를 반환하는 함수이다. 참고1 : ISFORMULA 함수는 엑셀 2013 버전 이상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그 이전 버전에서는 볼 수 없는 함수이다. 엑셀 ISFORMULA 함수 기본 설명 설명 : 전달되는 인수는 셀 참조이다. 이 셀이 엑셀 수식을 포함하는지 테스트하고, 논리값으로 반환한다.구문 : ISFORMULA( reference )인수 :reference : 참조하는 셀 엑셀 ISFORMULA 함수 사용 예제 ISFORMULA 함수로 수식을 확인하는 간단한 예제이다. 사용 예제1 : =ISFORMULA( E5 )사용 결과1 : TRUE E5 셀을 참조하고, 이를 ISFORMULA 함수의 인수로 ..
엑셀 ISREF 함수는 전달된 값이 참조인지를 테스트한다. 참조라면 TRUE 를 반환하고 그렇지않다면, FALSE 를 반환한다. 엑셀 ISREF 함수 기본 설명 설명 : 전달된 인수가 셀 참조인지 아닌지를 테스트한다. 구문 : ISREF( value ) 인수 : value : 테스트 할 값이나 표현식 엑셀 ISREF 함수 사용 예제 몇 가지 예제로 ISREF 함수를 확인한다. 사용 예제1 : =ISREF( C4 ) 사용 결과1 : TRUE ISREF 함수로 value 인수 C4 가 전달되었다. 이는 C4 셀의 참조를 의미한다. 그래서, ISREF 로 참조 확인해 보면, TRUE 가 결과 반환된다. 관련 함수 : [컴활 1급] 엑셀 ISNUMBER 함수로 숫자값 찾아내기 사용 예제2 : =ISREF( B5..
엑셀 ARABIC 함수는 로마 숫자를 아라비아 숫자로 변환한다. 이전에 배운 로마 숫자 변환 함수인 ROMAN 의 역기능을 하는 함수이다. 참고1 : 이 함수는 엑셀 2013 이후 버전에 추가된 함수이다. 그 이전 버전에서는 볼 수 없는 함수이다. 관련 링크 : 위키백과 로마 숫자 https://ko.wikipedia.org/wiki/로마_숫자 엑셀 ARABIC 함수 기본 설명 설명 : 텍스트로 전달된 로마 숫자를 아라비아 숫자로 변환하여 반환한다. 구문 : ARABIC( text ) 인수 : text : 로마 숫자의 텍스트 표현 ( 255자내의 길이 ) 노트1 : 로마 숫자의 전달이지만, text 인수는 텍스트 표현이다. 따라서, 직접 전달시는 쌍따옴표로 묶어주어야 한다. 노트2 : text 인수가 공..
엑셀 ROMAN 함수는 전달된 아라비아 숫자를 로마 숫자로 변환한다. 이는 전달된 정수를 로마 숫자 형식의 텍스트 문자열로 반환한다는 것이다. 관련 링크 :위키백과 로마 숫자 : https://ko.wikipedia.org/wiki/로마_숫자WIKIPEDIA Roman_numerals : https://en.wikipedia.org/wiki/Roman_numerals 엑셀 ROMAN 함수 기본 설명 설명 : 전달된 number 인수의 숫자를 로마 숫자로 변환하고, 텍스트 형식으로 반환한다.구문 : ROMAN( number, [form] )인수 :number : 로마 숫자로 변환할 정수 ( 0 ~ 3999 )[form] : 반환될 로마 숫자의 형식을 지정하는 옵션 인수, 생략시 기본값인 0노트1 : [fo..
엑셀 DECIMAL 함수는 텍스트로 표현된 숫자를 십진수로 변환한다. 이전에 배운 BASE 함수의 역함수로 볼 수 있다. 참고1 : DECIMAL 함수 역시, BASE 함수와 마찬가지로 엑셀 2013 이후 버전에 추가된 함수이다. 엑셀 DECIMAL 함수 기본 설명 설명 : radix 인수의 진수법을 기준으로 텍스트 표현된 숫자인 text 인수를 십진수로 바꾸어 반환한다. 구문 : DECIMAL( text, radix ) 인수 : text : 변환을 원하는 숫자의 텍스트 표현 ( 256자 보다 작아야 ) radix : text 인수의 진수법 ( 2 이상 36 이하의 정수 ) 참고2 : text 인수를 직접 전달할 때는 쌍따옴표로 묶어주어야 한다. 엑셀 DECIMAL 함수 사용 예제 DECIMAL 함수를 ..
엑셀 BASE 함수는 숫자를 원하는 진수법으로 바꿔 표현한다. 또, 반환값은 숫자가 아니라 텍스트 형식이 된다. 참고1 : BASE 함수는 엑셀 2013 이후 추가되었다. 그래서, 그 이전 버전의 엑셀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엑셀 BASE 함수 기본 설명 설명 : 전달된 숫자를 원하는 진수법으로 변환하고, 이를 텍스트로 반환한다. 구문 : BASE( number, radix, [min_length] ) 인수 : number : 진법 변환을 원하는 숫자 ( 0 이상, 2^53 미만의 정수 ) radix : number 인수가 변환될 진법 ( 2 이상, 36 이하의 정수 ) [min_length] : 반환될 값의 최소 자리수(문자수), 옵션 인수 노트1 : min_length 는 0 이상, 256 미만의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