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COMBIN 함수는 집합 전체 원소를 선택한 갯수로 조합할 수 있는 갯수를 계산하여 반환한다. 비슷한 유형의 경우의 수 계산 함수로 PERMUT 이라는 순열 수를 구하는 함수도 있다. 엑셀 COMBIN 함수 기본 설명 설명 : 전달된 number 인수가 전체 원소 갯수일때, number_chosen 인수만큼 선택한다면 조합될 수 있는 가짓수를 반환한다. 구문 : COMBIN( number, number_chosen ) 인수 : number : 집합의 전체 개체 수 number_chosen : 집합에서 선택후 조합할 개체 수 (1개의 조합에 사용될 원소 갯수) 노트1 : 인수 중 하나가 소수값으로 전달된다면 소수부는 버리고 정수부만을 취한다. 참고1 : COMBIN 함수는 중복값을 계산에 포함하지 않..
엑셀 MROUND 함수는 M(multiple)이 의미하듯, 지정한 배수중 가장 가까운 값으로 업/다운한 값을 결과로 반환한다. 엑셀 MROUND 함수 기본 설명 설명 : 전달되는 number 인수를 가장 가까운 multiple 인수의 배수에 라운딩한다. 구문 : MROUND( number, multiple ) 인수 : number : 라운딩할 수 multiple : 라운딩을 위한 배수 노트1 : multiple 인수는 number 인수와 동일한 산술 부호( 양, 음 )를 가져야 한다. 참고1 : 엑셀에서 '라운딩' 이란, 올림/내림/반올림/버림 등과 같이 수를 일정 규칙으로 뭉뚱그리는 것을 말한다. 관련 문제 : [필기 풀이] 컴활2급 기출문제 2016년3회-22번 엑셀 반올림 함수 엑셀 MROUND 함..
엑셀 IFNA 함수는 첫번째 전달 인수( 값 또는 수식 )가 #N/A 오류를 발생하는지 테스트한다. 만일, 그러하다면 IFNA 함수는 전달된 대체값( 두번째 인수 )을 반환하고, 그렇지않다면, 첫번째 인수를 그대로 반환한다. 이는 우리가 엑셀을 이용하여 값을 찾을 때, 찾는 값이 없어 발생하는 #N/A 오류 대신 임의의 값을 표시할 수 있는 유용한 함수이다. 관련 게시물 : [엑셀 실무] 값을 수식에 사용할 수 없을때 #N/A 에러 엑셀 IFNA 함수 기본 설명 설명 : 전달된 value 인수가 #N/A 오류인지 체크하고, 그렇다면, value_if_na 인수를 반환한다.구문 : IFNA( value, value_if_na )인수 :value : 값 또는 수식value_if_na : #N/A 오류 메세지..
엑셀 TIMEVALUE 함수는 시간을 나타내는 텍스트 문자열을 시간 일련번호( 소수 )로 변환한다. 엑셀 TIMEVALUE 함수 기본 설명 설명 : 엑셀이 인식할 수 있는 시간 텍스트 문자열을 엑셀 시간값으로 변환한다. 구문 : TIMEVALUE( time_text ) 인수 : time_text : 엑셀이 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는 텍스트 문자열, 시분초는 콜론( : ) 으로 구분. 노트1 : time_text 의 예로는, 21:10, 10:23 AM, 10:11:24, 10시 32분 등.. 노트2 : 콜론( : ) 구분된 두 값( 10:15 )은 시와 분( 10시 15분 )으로 처리된다. 노트3 : 초를 전달하려면 시간과 분은 0으로 지정한다. ( 00:00:10 ) 노트4 : time_text 인수에 ..
엑셀 FORMULATEXT 함수는 셀에 사용된 수식을 텍스트 문자열로 반환한다. 엑셀에서 셀에 수식이 사용되면 계산 결과가 표시되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다. 이때 많은 셀의 수식을 보다 편리하게 확인하는 방법이 FORMULATEXT 함수이다. 이 함수는 엑셀 2013 버전부터 추가되어, 그 이전 버전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엑셀 FORMULATEXT 함수 기본 설명 설명 : 수식 입력 셀을 참조 인수로 전달하면, 해당 셀의 수식을 텍스트 문자열로 반환하는 함수이다.구문 : FORMULATEXT( reference )인수 :reference : 워크시트의 셀 참조. 현재 워크북의 다른 워크시트 혹은 열려있는 다른 통합문서도 참조 가능. 참고1 : 만일, 현재 열려있지 않은 다른 워크북( 통합문서 )을 참조..
엑셀 함수들 중에서 빠질수 없는 함수가 조건을 비교 평가하여 그에 대응하는 인수를 결과로 반환하는 IF 함수이다. 이 조건 비교함수 IF 에서 발전된 함수가 오늘 배우는 IFS 함수이다. -S 가 의미하듯, 이 함수는 조건이 복수(여러)개이다. 따라서, 그에 대응하는 결과값도 여러개이다. 한가지 더 IF 함수와의 차이라면, 조건이 거짓( FALSE )일 경우는 해당 반환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함수는 엑셀 2016 버전부터 추가되어, 그 이전 버전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관련 함수 : [엑셀 모바일] 논리 함수 IF로 조건 비교후 참 거짓 반환 엑셀 IFS 함수 기본 설명 설명 : IFS 함수는 전달된 여러 조건을 순서대로 테스트하고, 참으로 평가되는 첫번째 조건에 부합하는 인수를 결과 반환한다. 구문..
엑셀 DAYS 함수는 전달되는 두 날짜 사이의 일수( days )를 결과로 반환한다. 비슷한 함수로 DAYS360 함수가 있다. 하지만 DAYS360 함수는 1년을 360일로 계산하고, DAYS 함수는 그대로의 일자 수로 계산한다. DAYS360 함수가 불편하였다면 DAYS 함수를 사용해 보자. 단, 이 함수는 엑셀 2013 버전에 추가되어, 그 이후부터 사용가능하다. 엑셀 DAYS 함수 기본 설명 설명 : 종료일과 시작일 순으로 전달된 날짜 사이의 일수를 계산하고 반환한다. 구문 : DAYS( end_date, start_date ) 인수 : end_date : 종료일. 참조나 수식 반환된 날짜. start_date : 시작일. 참조나 수식 반환된 날짜. 노트1 : 인수가 이렇게 전달되는 이유는 텍스트..
엑셀 XOR 함수는 전달된 인수의 배타적 논리 연산 결과를 반환한다. 배타적 논리합( eXclusive OR )은 둘 중 하나만 TRUE(참) 일때만 TRUE(참) 를 결과로 반환한다. 보다 쉽게는 서로 다른 논리값이면 참이 되는 함수이다. 엑셀 XOR 함수 기본 설명 설명 : 전달된 하나의 인수가 참인 경우, 혹은 둘 이상의 인수 중 홀수개의 조건이 TRUE 인 경우 TRUE 를 결과 반환한다. 구문 : XOR( logical_test1, [logical_test2], ... ) 인수 : logical_test1 ... : 참이나 거짓을 평가할 수 있는 논리 조건이나 논리값( TRUE, FALSE ) 노트1 : logical_test 인수는 1 ~ 254개 까지 노트2 : 문자나 숫자 0 은 FALSE..
엑셀 T 함수는 텍스트인지 검사하여, 텍스트라면 그대로 반환하고, 그렇지 않다면, 공백을 결과로 반환한다. [컴활 1급] 엑셀 ISTEXT 함수로 텍스트 문자열 찾아내기 :http://secstart.tistory.com/687 엑셀 T 함수 기본 설명 설명 : 전달 인수가 텍스트라면 인수를 반환하고, 그렇지 않다면, T 함수는 빈 텍스트 문자열을 반환한다.구문 : T( value )인수 :value : 검사하려는 값 엑셀 T 함수 사용 예제 전달 인수에 따라, 엑셀 T 함수가 반환하는 결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예제로 배워보자. 사용 예제1 : =T( E5 )사용 결과1 : Text String 엑셀 T 함수의 value 인수로 E5 셀의 'Text String' 이 참조되었다. 참조 셀은 텍스트 문자열..
엑셀 CONCAT 함수는 여러 텍스트 문자열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텍스트 문자열로 조합하고 합치는 함수이다. 엑셀 2016 버전부터 추가되어 이전의 CONCATENATE 함수를 대체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함수이다. 따라서, 그 이전 버전의 엑셀에서는 이 함수를 사용할 수 없다. 이 CONCAT 함수는 이전의 CONCATENATE 함수가 범위를 전달할 수 없는 단점 등을 보완하고 발전시킨 함수이다. 참고 : 엑셀 2016 버전이라도 오피스 365 를 통해서 설치되지 않았다면 2016 버전에 추가된 함수들을 사용할 수 없다. [엑셀 함수] 텍스트 연결하여 합치기, CONCATENATE 함수 :http://secstart.tistory.com/608 엑셀 CONCAT 함수 기본 설명 설명 : 전달된 일련의 텍스트..
엑셀 NUMBERVALUE 함수는 로케일 독립적인 방법으로 텍스트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하는 함수이다. 엑셀 2013 버전부터 추가된 함수이다. 따라서, 이전 버전의 엑셀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엑셀 NUMBERVALUE 함수 기본 설명 설명 : 텍스트 문자열을 여러 구분자를 이용하여 숫자값으로 변환한다. 구문 : NUMBERVALUE( text, [decimal_separator], [group_separator] ) 인수 : text : 숫자값으로 변환을 원하는 텍스트 문자열 [decimal_separator] : 옵션 인수, text 인수의 소수 부분과 정수 부분의 구분 문자 [group_separator] : 옵션 인수, text 인수의 그룹을 구분하는 문자 ( 예: 천단위, 백만단위 등 ) 노트1..
엑셀 DOLLAR 함수와 WON 함수는 숫자값을 통화 형식의 텍스트 문자열로 변환한다. 이 과정에서 반올림 작업도 일어나기에 일반 숫자의 통화 형식 표시 과정을 간편하게 진행될 수 있게 돕는다. 엑셀 DOLLAR, WON 함수 기본 설명 설명 : [decimals] 인수의 지정 자리수에서 number 숫자 인수를 반올림한 뒤, 통화 형식의 텍스트 문자열로 변환한다. 구문 : DOLLAR( number, [decimals] ) 인수 : number : 텍스트 문자열로 변환할 숫자나 숫자 형태의 문자열. [decimals] : 옵션 인수. 반올림될 자릿수 지정. ( 2라면 소수이하 2째자리까지 표시하게 반올림 ) 노트1 : decimals 인수 생략시 기본값은 2 이다. decimals 이 음수이면 정수부 ..
엑셀 CLEAN 함수는 텍스트에 포함된 프린트 할 수 없는 문자를 제거하는 함수이다. 불필요한 텍스트 문자열을 셀 데이터에서 제거하여 파일 크기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두 줄 이상의 멀티라인으로 표시되는 셀 데이터를 한 줄로 표시할 때 주로 사용된다. 엑셀 CLEAN 함수는 복사해 온 텍스트 중에서 종종 발견되는 아스키코드( ASCII CODE ) 0 ~ 31번의 출력되지 않는 문자인 제어 문자를 제거한다. 이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함수로는 공백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는 TRIM 함수가 있다. 이 TRIM 함수는 아스키코드 32번 문자인 추가 공백( SPACE )을 텍스트 문자열에서 제거한다. [엑셀 모바일] TRIM 함수로 불필요한 공백 제거하기 :http://secstart.tistory.com/..
엑셀 CODE 함수는 전달된 아스키코드 문자에 대응하는 코드를 정수로 반환하는 함수이다. 이전에 배운 CHAR 함수의 역방향 함수인 것이다. 따라서, 이 CODE 함수도 운영 체제에 따라 다른 문자셋을 가지며 CHAR 함수와 같이 다른 결과를 반환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가자. 엑셀 CODE 함수 기본 설명 설명 : 전달된 문자에 해당하는 코드를 정수로 반환한다. 구문 : CODE( text ) 인수 : text : 변환을 원하는 문자로 시작하는 1자 이상의 텍스트 문자열 노트1 : text 의 첫번째 문자의 코드를 반환한다. 참고1 : OS 마다 사용하는 문자셋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그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엑셀 CODE 함수 사용 예제 사용 예제1: =CODE( "Alpha" ) 사용 ..
엑셀 CHAR 함수는 전달된 숫자 인수를 코드 번호로 하는 아스키코드 문자를 반환하는 함수이다. 함수명 CHAR 은 '글자' 를 의미하는 character 를 줄인 이름이다. 함수의 기능이 바로 느껴질 것이다. CHAR 함수를 함께 배워보자. 엑셀 CHAR 함수 기본 설명 설명 : 문자표에서 전달된 숫자에 대응되는 문자를 반환하여 표시한다. 구문 : CHAR( number ) 인수 : number : 1 ~ 255 사이의 정수 참고 : 문자 집합은 운영 체제마다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같은 인수가 전달되어도 다른 결과가 반환될 수도 있다. 엑셀 CHAR 함수 사용 예제 각 예제마다 다른 숫자가 전달되어 서로 다른 결과를 반환한다. 이 반환 문자들에는 표시되지 않는 문자들도 존재한다. 사용 예제1: =C..